G-spot이 쾌락이 아닌 죄책감(guilt)을 나타낼 줄이야..!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2. <어머니의 탄생>
D-29

borumis

오구오구
“ 데이비드 랙은 어미의 삶에서 근본적인 타협을 식별해 냈다. 어미들은 많은 새끼를 낳을 때에는 각각의 알에 적게 투자하는 반면, 적게 낳을 때는 각각에게 많이 투자했다. 이러한 "적응도 타협(Fitness tradeofff)" 개념은 어미가 생태 조건에 부합하게 어미 투자(maternal investment)를 조절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연구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했다. 랙의 패러다임에서 어미들은 자기희생은커녕 유연하고 조작적인 기회주의자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73,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랑구르의 영아 살해는 어떤 행동이 종의 이익을 위해 진화한 것이 아닌 사례를 생생하게 보여 준다. 살해자는 자신이 죽인 새끼, 그 새끼의 아비인 경쟁 상 대 수컷. 그리고 그 시점까지 투자한 모든 것을 잃은 어미 까지, 세 개체 모두의 희생을 대가로 이득을 본다. 이런 현상이 처음으로 연구된 랑구르원숭이에서는 수컷들의 무리 점령이 반복적으로 발생하 다음 단계로 영아 살해가 저질러질 경우 집단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특별히 취약한 집단은 잠재적으로 멸종에 이를 수도 있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76,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영아살해는 적어도 35종의 영장류에서 관찰되 었고, 일부 종에서는 가장 흔한 새끼 사망 원인임.
전체 새끼의 30% 이상이 수컷에게 살해되기도 함
이런 행동이 진화한 것에는 성선택이 이유임
성선택: 같은 성에 속한 개체들이 짝짓기를 위해 서로 경쟁하는 과정. 폐배자는 새끼를 거의 남기지 못함...

오구오구
“ 초기 사회 생물학자들이 어미가 경험하는 선택압을 이해하려는 과정에서 마주하게 된 가장 큰 과제는, (암컷 선택이 나 수컷 선택과 같은 것을통해) 성선택되는 특질에 대한 고려와, 최소한 그 만큼은 중요한 것으로 어미 또는 자손의 생존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자연선택된 암컷의 특질에 대한 고려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 지 하는 것이었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89,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암컷은 진화에서 단순히 수동적으로 선택당하는 존재가 아니라,
종의 생존력과 진화 방향을 이끄는 결정적 주체이며,
그 자유와 선택이 보장될수록 생존과 번식 성공률도 높아짐
--> 앞부분은 핵심내용이 암컷들과 아주 유사하네요~ 다시 봐도 낯선 개념들입니다. 머리로는 이해되지만 살아온 환경과 문화적 맥락에서는... 낯선... 개념이네요~ :)

향팔
“ 이러한 생애사적 접근의 렌즈를 통해 자연 세계를 관찰해 보면, 프랑스 의사 길리베르와 같은 남성이 상상하는 자기-희생적 어미와 같은 생명체가 얼마나 특수한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런 어미들이 있긴 하지만, 아주 가혹한 상황이 아니라면 암컷이라는 성의 종-전형적 특성이 될 만큼 보편적으로 진화하지는 않는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가슴에는 아기, 한팔에는 술병을 들고 있는 론 뮤익의 조각을 보고 그림 2.6에서 생존과 번식 사이의 타협에서 균형을 잡는 어머니의 모습이 그려지네요.

향팔
“ 초기 사회 생물학자들이 어미가 경험하는 선택압을 이해하려는 과정에서 마주하게 된 가장 큰 과제는, (암컷 선택이나 수컷 선택과 같은 것을 통해) 성선택되는 특질에 대한 고려와, 최소한 그 만큼은 중요한 것으로 어미 또는 자손의 생존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자연선택된 암컷의 특질에 대한 고려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향팔
“ 알트먼의 현장 연구는 초점을 그동안 지나치게 강조되었던 수컷 간 경쟁과 짝 선택으로부터 자연선택으로 돌려놓았다. 살아남고 번식하기 위해 균형 잡힌 타협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어미 삶의 측면 대부분은 자연선택에 의해 형성되었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큰 야망을 품은' 암컷의 성향은 모성과 충돌하기는커녕 어머니의 성공에서 본질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stella15
헉, 그런가요? 야망과 모성은 배치된다고 생각하는데. 하긴 세계적 여성 CEO 보면 자녀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야망이 없어요. 제 한 몸 건사하기도...ㅠㅠ

향팔
@stella15 제가 또 꿈도 야망도 지위 추구도 전혀 없는 인간입니다. (아 어쩌면 그래서 제가 아이 없는 삶을 선택하게 된 걸지도? 하하)

향팔
“ 플로와 같은 어미 침팬지들은 그저 맹목적인 양육자인 것이 아니라 기업가적인 제왕이기도 하다. 암컷의 지위 추구(야망이라고 부를 수도 있겠다.)는 자손과 손자들이 살아남게 하는 능력과 분리될 수 없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stella15
와우, 그렇군요! 정말 침팬치를 보면 인간을 알 수도 있겠어요. 근데 향팔이님과 저 은근 공통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하하
그나저나 주문한 <암컷들>은 언제 올지 모르겠습니다. 내일은 오려나...

오구오구
모성이 강한 추동력이 된다는 의미겠죠?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5월 7일에는 3장 '발달에 숨겨진 수수께끼'를 읽습니다. 이 장에서는 환경, 특히 어머니의 영향이 유전이 표현형으로 발현될 때 나타나는 영향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요.
이번 장부터는 문맥을 꼼꼼히 읽어야 할 부분이 나오는데요. 1월에 『행동』 읽으실 때 10장 '행동의 진화'와 중복되는 내용이 많으니 연상해 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조금 따라가기 힘든 대목이 나오더라도 스토리(이야기)와 메시지에 주목하시면 큰 무리는 없으실 거예요. :)

YG
“ 사회 생물학자 메리 제인 웨스트-에버하드(Mary Jane West-Eberhard)가 다음과 같이 강경하게 말할 수 있는 까닭은 여기에 있다. “오직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의미에서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특정한 상황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어떤 유전자도 발현되지 않는다. …… 유전자는 특정한 단백질을 위한 것이다. 이와 다른 주장을 하는 사람은 기본도 모르는 사람이다.”
웨스트-에버하드는 유전자가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니라 그 능력이 외부적인 맥락과 발달상의 맥락 모두를 포함하는 맥락들과 분리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3장 110쪽,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YG
“ 겉보기에는 믿을 수 없을 만큼 단순한 해밀턴의 방정식 C<Br은 모든 사회성 생물에서 나타나는 돕기 행동 진화의 바탕에 놓여 있다. 이 규칙은 혈연선택(kin selection) 배후에 있는 일반 이론과 더불어 말벌에 대해서는 웨스트-에버하드에 의해 거의 즉시 검증되었고 다른 동물들에 대해서도 곧 검증되었다. 궁긍적인 수준에서 혈연선택은 혈육을 선호하는 인간 보편적인 경향을 설명해 준다. 인간의 경우 배후에 상이한 신념과 관습들이 있지만 결과물은 어디에서나 동일하다. 혈육이 비혈육보다 선호되는 것이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3장 119쪽,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웨스트-에버하드는 유전자가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니라 그 능력이 외부적인 맥락과 발달상의 맥락 모두를 포함하는 맥락들과 분리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 행동이 "유 전적으로 결정되었다"는 주장은 유전자가 행동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주장만큼이나 어불성설이다. ”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