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벨 공감합니다. 뭔가 힘차게 저어야만 할 것 같고, 괜히 비장해지는 동작이랄까요(심지어 음악도요). 지금 생각해도 너무 웃긴데, 그 동작이 뭔가 좋았어요. 혼신을 다해 돌리고 싶은 알 수 없는 욕심이 샘솟곤 하지요(하하하).
[📚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D-29

연해

김의경
학창시절에 군대식으로 느껴져서 국민체조 하기 싫었는데 요즘은 떠올리면 웃음이 나오네요. 요즘은 구령에 맞춰 가끔 합니다. 저처럼 운동하기 싫어하는 사람에겐 고마운 체조라는 생각도 들고요.

연해
엇! 요즘도 구령에 맞춰 가끔 하신다니 괜히 제가 다 반갑네요. 저도 초등학생 때는 체육시간이나 운동회 할 때마다 국민체조로 모든 걸 시작하니까(약간 신호탄 같달까요), 좀비처럼 흐물거리는 날도 많았는데요. 지금 생각해보면 다 추억인 것 같습니다. 작가님 혹시 새천년 건강체조도 아시나요? 저는 이 체조는 음악이 흥겨워서 더 신났던 기억이 나요. 이 글을 쓰면서도 혼자 피실피실 웃고 있습니다.

김의경
좀비 흐물...ㅋㅋㅋ 새천년체조는 몰랐는데 찾아보니 국민제초보다 재밌게 할수 있겠네요. 국민체조와 비슷하면서도 더 신나 보여요^^

연해
하하, 네. 새천년건강체조는 음악 자체가 흥겨워서 더 신나게 했던 것 같아요. 특히 손날치기였나? 이름이 가물가물한데, 그 동작도 되게 좋아했어요. 요즘도 초등학교에서 이런(?) 체조들을 하는지 문득 궁금해집니다.

김의경
저 학교 다닐때는 손을 왼쪽 가슴에 올리고 애국가 부르고 그랬는데 그런 걸 설마 지금도 하진 않겠죠? ㅎㅎ 그런데 어릴때는 그런 걸 하는게 재밌었어요. 보이스카웃 걸스카웃 같은 것도 절도 있어서 멋져 보였고요.

연해
엇! 저도요! 매주 월요일마다 조회를 시작하기 전에 운동장에 일렬로 서서 애국가를 부르곤 했죠. 교장 선생님의 훈화 말씀은 덤이었고요. 보이스카웃이랑 걸스카웃도 기억나요. 저희는 아람단? 도 있었던 것 같은데, 말씀하신 것처럼 요즘도 그때의 문화가 그대로 이어져오고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꽃의요정
학생 때 조회 시간, 체육시간마다 하던 국민체조가 다이어트 효과 만점이라고 했음 열심히 했을 거 같아요(여학생 마인드). 나라에서 시키는 운동?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싫어했거든요.
일본에서는 방학 때 아침에 특정 장소(동네 공원이나 놀이터)에 아이들이 모여서 '라디오 체조' 하는 걸 본 적이 있어요. 그거 하면 도장 카드에 도장 받고요. 지금도 하냐고 일본인 직원한테 물어봤더니 그 친구도 응?하고 검색한 결과..."아침부터 시끄럽다..."란 중론으로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하는데, 제일 큰 원인은 코로나 때문이라고 하네요.

연해
하하, 정말 그러네요. 다이어트 효과 만점이라고 했으면 저도 꽤나 좋아했을 것 같아요. 실제로는 유산소 운동 느낌이었지만요. 일본에서도 '라디오 체조'라는 명칭의 운동이 있었군요. 심지어 도장까지? (참 잘했어요 같은 느낌일까요) 신기합니다.
저는 여고를 나왔는데, 학교에서 명상시간이 따로 있었어요. 주로 아침에 했는데, 방송이 시작되면 신발을 벗고 책상 위에 올라가 가부좌를 튼 자세로 앉아야 했죠. 심신의 안정을 위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다들 그 시간에 꾸벅꾸벅 졸기 바빴다죠. 저도 그중 한 명이었고요(헷). 학교마다 이상한 풍습(?)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물고기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