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인척 연기하는 안드로이드라니.. 나중에 실제로 있을것만 같아 무섭네요..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도서 증정] 이지유 작가와 함께 하는 독서 모임
D-29
느티나무
느티나무
“ "이렇게 될 줄 누가 알았냐고." 정욱이 일본어로 중얼거리다 인상을 찌푸렸다. 착한 눈동자에 어울리지 않는 표정이었다. 정욱은 자신의 나긋나긋한 음성이 어쩐지 기분 나빴다. 늘 그렇게 생각했다. 리나는 정욱의 목소리가 좋다고 했다. 그럴 때마다 비웃고 싶은 걸 참느라 힘들었다. 리나와 보내는 시간은 나름 재미있었다. 리나가 자신의 정체를 상상도 못 할거라고 생각할 때마다 짜릿했다. 함께 식사를 하고 달콤한 시간을 가질 때는 진짜 연인인 것 같은 착각도 들었다. ”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29,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지유
은정욱의 비뚤어진 사고를 보여주는 부분 중 하나였어요.:)
느티나무
은정욱의 어린시절이 궁금하네요. 어린시절에는 어떤 인물이였을지 책에서는 자세하게 안나와서 아쉬워요. 원래부터 철저하게 스파이처럼 자라왔을지 아니면 나중에 그렇게 된건지가 궁금해요.
이지유
혹여 그런 부분이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해서 캐릭터들의 서사에 대해서는 필요한 만큼만 쓰려고 했어요. 이 작품을 쓰며 경계한 것 중 하나가 늘어지는 거였거든요. 액션 스릴러에서는 늘어지는 게 가장 안좋다는 생각이 있었어요. 아쉬워하시는 마음 충분히 공감하고 있어요. 다음에는 서사 부분이 스토리의 흐름과 적절히 부합할 수 있도록 더 균형을 잡아보려 합니다.:)
느티나무
전라남도 구영시의 새벽은 유난히 조용했다. 변형 엔하임 환자가 집단발생한 탓인지 차 한 대도 지나다니지 않았다.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43,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지유
일상의 새벽이 아닌 두려움의 새벽 느낌으로 다가가기를 바랐습니다.:)
느티나무
“ "공항까지 같이 가시죠." 한이 조심히 안으로 들어와 리나에게 팔을 뻗었다. 가방을 달라는 뜻이었다. 리나는 말없이 한에게 가방을 내주었다. 이렇게 찾아와준 게 조금은 고마웠다. 집은 나온 리나는 한의 스카이 카에 오르기 전, 흘끗 뒤를 돌아보았다. 말로 형용할 수 없는 감정이 몰려왔다. "타세요." 담담한 한의 목소리가 어쩐지 위로가 됐다. 한이 괜찮은지 물어봐주지 않아서, 티 나게 위로해주지 않아서 다행이었다. 조수석에 올라탄 리나는 스카이 카가 떠오르며 집이 점점 멀어지는 걸 지켜보았다. 자신과 인만의 추억도 멀어지는 것만 같았다. ”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48,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지유
두 캐릭터 모두 하는 일이 하는 일인 만큼 감정표현을 자제하는 쪽으로 그렸어요. 어투에서 묻어나는 느낌으로 리나가 한의 마음을 안다든지 그러는 편이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느티나무
"리나가 스카이 카를 타고 집을 떠나면서 점점 멀어지는 걸 보며 인만과의 추억도 멀어지는 것만 같았다"라는 문장을 보며 슬펐어요.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만같은 느낌이여서요. 리나는 스카이 카를 타면서 무슨 생각들을 했을까요?
이지유
느티나무님 말씀대로 리나가 다시 그 때로 돌아갈 수는 없을 거예요. 과거에서 현재를 바로잡을 수 있는 걸 가지고 현재를 살아가는 게 우리가 사는 모습 중 하나인 것 같아요.:)
느티나무
"침착해, 김린. 괜찮아" 리나는 자신의 본명을 부르며 스스로를 다독였다.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56,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지유
겉포장을 어떻게 바꾸든 본질은 그대로인 것이죠. 리나가 갖고 있는 변함없는 정체성은 김린이기에, 스스로에게 솔직해질 때 본명을 말하는 것으로 표현했 어요.
느티나무
'이자카야 건물은 원래 쇼핑몰이었어.' 리나의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 차올랐다. '나는 어릴 때 여기 온 적이 있어.'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 리나는 결국 구토를 하고 말았다.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59,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지유
눈을 가리고 있던 것들이 벗겨지고 자신의 진실을 알았을 때, 이제껏 덮어왔던 것들에 대한 신물 나는 것과 더불어 리나가 육체적으로도 여러 기관의 작용 때문에 일어나는 반응을 겪는 부분이었어요.
느티나무
“ 아버지 인만은 질병청 관리국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인공변이 바이러스가 유출되는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고모는 아빠 소식을 듣고 급하게 가다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그 후 린의 기억에서 네 살부터 여섯 살까지의 시간이 사라졌다. 은경은 린의 해마 일부분에 자극을 주는 수술을 결정했다. 심한 충격을 받은 린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었기에 결단한 일이었다. ”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61,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지유
정말 끔찍한 경험은 심리적 작용으로 잊어버리고 사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해요. 리나의 어머니가 리나를 위해 해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기억 제거 수술을 선택한다고 설정했어요. 완벽히 통제 가능한 수술이 아니라는 전제 하에 현재에 이르러 기억이 되돌아온 걸로 했습니다.
느티나무
“ “ 리나가 카페로 돌아오자 가토는 계산을 마치고 문 옆에 서 있었다. 저만치 우뚝 솟은 연구소 단지의 맨 앞 건물이 보였다. 20층 높이에 150평을 차지한 방탄유리 건물은 거만하고 차가워 보였다. ” ”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69,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지유
오챠노미즈에 가서 어떤 건물을 봤는데 딱 저런 느낌이었어요. 연구소의 이미지도 그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느티나무
“ 가토는 싱긋 웃더니 이제 다음 차례로 가자며 리나를 앞서 보냈다. 가토는 자신의 몸으로 맞은편 에스컬레이터를 가리고 섰다. 한국 공공기관의 바이러스 연구사가 왔음에도 정작 중요한 실험실은 보여주지 않겠다는 의미였다. ”
『질병청 관리국, 도난당한 시간들』 p174, 이지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