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제일 바쁜 4, 5월입니다. 그럼에도 도서관 근무자라면 한 권쯤은 읽을 수 있겠죠? 2024년도에 너무나 뜨거웠던 김기태 작가의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이 이번 달 선정도서입니다. 이 책에는 각종 상을 휩쓴 단편 9편이 수록되어 있는 소설집입니다. 사회 세태를 반영한 소설을 써서 생각할 거리도 많지만 재미는 덤입니다. 9편을 다 읽기란 힘들 수 있으니, 그 중에 한 편 정도를 다뤄볼까 합니다. <보편교양>은 교육 문제를 다루고 있고 고전 읽기에 진심(?)인 선생님이 주인공입니다. 그럼 5월에는 가볍게 단편 하나 읽어볼까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공공도서관 "도도한 북클럽"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D-29
아기달별모임지기의 말
화제로 지정된 대화
아기달별
약 30페이지 정도 분량의 단편을 읽어본 소감은 어떠신가요? 나에게 "고전"이란 무엇이며, 읽었던 '고전' 중 기억에 남는 책을 써주세요. 좋아하는 이유와 추천글도 함께 써 주세요~
순후추
어릴 때 필독서 목록으로 고전을 접했을때는 어렵기도하고 숙제같기도해서 항상 중간에 포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자료실에 근무하고서부터는 고전하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이 생각나네요. 이제는 왜 이 작품들이 지금 시대까지 고전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언급되는지 알겠더라고요. 바뀐 시대상을 감안하면서 읽어야 하지만요.
지금 생각나는 고전은 단테의 신곡입니다. 아무래도 문학이네요. 읽는 내내 흥미롭고 재미있었지만 제 짧은 배경지식으로 두루뭉술하게 넘겼던 부분이 많아서 아쉬움도 컸습니다. 제가 읽었던 책에 실려있던 윌리엄블레이크의 삽화가 인상적이기도 했고요.
사부작사부작
"고!전!"
간만에 고전이란 무엇인가를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았네요.
학생시절 고전을 읽어보겠다고 과감하게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선정.
읽어내려갈수록 도대체 뭔 내용인지 이해를 못했던 기억 과 함께 너무 광대한 페이지에 그만 손을 놓아버렸던 슬픈 기억이 납니다.
그 후로 몇권의 고전을 읽었지만 기억에는 지워져버린 고전들!
짧은 페이지의 고전부터 다시 도전해 봐야크~~을....
아기달별님이 보내 준 30페이지의 내용을 읽으면서 비교과 교사들의 애환을 느꼈고, 우리 학교의 현실을 보게 되었고, 꿋꿋하고 자신의 마음 가짐으로 진정성을 보인 은재의 모습에 박수를 보내게 되었네요.
아기달별님 "쌩유"~~
사부작사부작
@아기달별 님... 담에도 이번추륵 해줘요~~
skygksmf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이 사라나는 이야기에 숨이 막혔다가 스르르 내어 쉬었다가 세상이 변했구나 안도했습니다. 교사의 태도에 감동 받고 과거 저의 생각과 행동에 반성을 했습니다.
최근 '이방인'을 다시 읽었습니다. 텀을 두고 주기적으로 읽게 되는 책이 고전 같습니다. 읽기는 하는데 잘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논어나 맹자를 읽으며 멍 해졌다가 무릎을 탁 치게 되는 구절이 나오면 놀랍기도 합니다. 동물농장과 어린왕자는 더 자주 읽게 됩니다. 고착화 되는 나이일수록 경계하려는 몸부림이고 나이와 반대로 순수한 마음이 소중하게 느껴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타타
<보편교양>의 교사와 학생이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물론 어딘가에 있겠지만, 이런 단편을 보며 희망을 품기에는 암담합니다. 책, 고전과 가장 가까운 일터인 도서관 또한 이런 마음을 품거나 시도를 할 수 없는 환경인 것 같습니다. 다른 일을 공모할 여유가 없고 눈앞의 바쁜 일을 처리하느라 허덕이고 있지 않나요.
어렸을 적 친구네 놀러 갔을 때 <앵무새 죽이기>라는 책이 놓여 있어서 공포 소설인 줄 알고 이건 무슨 책이냐 물었더니, 어려워서 너는 못 읽을 거라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이후 몇 년이 흘러 그 책을 손에 들었고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고, 재밌었고, 감동적이어서 한동안 뿌듯했던 기억이 납니다. 특히 주인공의 아버지는 저의 롤모델로 오래 자리잡았습니다. 지금 읽으면 동화 같은 면이 없지 않나 싶지만, 그 책이 말하는 주제는 지금 시대에도 여전히 적용되고 있는 것 같네요.
오도카니
인상깊게 읽고 sns에 짧게 감상평 올렸던 책이라 개인적으로는 매우 반가웠습니다.
교사가 '보편교양'이라고 생각하는 책의 목록들에 주눅이 들기도 했구요.
이런 책들이 '보편'적으로 지녀야할 교양인 읽어야할 책이라면 난 평생 교양인 못할거 같은데...
책을 전혀 읽지 않는 '비독서 학생'들에게 어떻게든 한 권이라도 읽혀보려고 고군분투하는 특성화고 국어 선생님 친구가 생각나기도 했어요.
이젠 밥벌이로서의 기능이 훨씬 크지만 아직 일에 대한 직분?을 느끼며 어쩌면 그걸 같이 부풀릴 누군가가 있지 않을까 기대하며 일을 도모해보는 한풀 꺾인 순진함이 짠하기도 하고... 마음이 많이 갔습니다.
단 한 사람이라도 그걸 알아봐주는 사람이 있다면 무의미한 일이 아니지 않을까 하는 나이브한 생각을 해봤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아기달별
"고전"에 대한 여러분의 깊은 생각에 감명 받았습니다. 이토록 책을 사랑하는 분들이 업무에 치여 잊고 있거나 읽을 시간이 없어 책을 깊이 있게 대하지 못하는 건 너무나 슬픈 일이에요. 근래에 제주도에 불미스러운 사건이 있었지요. 이 단편 첫부분을 다시 읽으면서 그 선생님이 생각나 마음이 너무 아팠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보편교양에 나온 교사 '곽'은 굉장히 열정적인 것 같으면서도 냉소적이기도 하고 현실적이기도 하죠. '곽'에 대한 느낌은 어땠나요? 어떤 교사로 보이시나요? '곽'의 성격이 드러나는 부분을 문장 발췌로 올려봐주세요~
skygksmf
......하지만 학생들은 나의 식민지가 아니다.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p160, 김기태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기달별
교사는 감사한 직업이고, 가끔은 아주 감사한 직업이에요. 학생에게 뭘 가르치려고 하지 않는다면 말예요.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150-151쪽, 김기태 지음
문장모음 보기
순후추
나는 『자본론』을 제대로 읽지도 않고 수업을 했다.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p.177, 김기태 지음
문장모음 보기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