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06,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지도자, 권력자는 규범적인 초자아로서 성격을 강하게 띠는 동시에 자아이상, 그러니까 예외적인 인물로서 나보다 더 나아보이는 이상으로 사랑받는다. 지도자가 초자아 70에 자아이상 30이었다면, 육각형 스타는 자아이상 90에 가까워진.
청명하다
공통적으로 한 사람을 향한다는 한 가지점에서의 가까움을 연대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12,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팬클럽을 상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동시에 실제 팬클럽 안의 관계를 설명하는 건 아니다. 현실의 팬클럽은 같은 스타를 좋아한다는 이유로 만났지만, 우애를 나누는 친구가 될 수 있는 그룹이고, 이번 탄핵 시위처럼 서로 연대하는 공동체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청명하다
사람은 자신의 세계 안에 살기 마련이지만, 나르시시즘이 만연해질수록 진정함 타인을 만날 수 없는 것은 부정적으로 생각된다. 낯선 타인과 만나면서 갈등하고 타협하고 교섭하며 자신의 세상을 유연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근데 또 타인과 조율하는 과정에 들일 에너지(시간적, 경제적, 체력적, 심적 여유)조차 없는 세상이기도 하고.
청명하다
집단조직의 축소, 밥과 기준 저편에서 형성되는 그룹은 자유로이 부유하는 다양한 정서를 고양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21,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감정화하는 사회오쓰카 에이지는 국내에 주로 만화 원작과 작법서를 통해 알려졌지만 일본에서는 사회, 정치, 문학을 가로지르는 전방위 비평가로 묵직한 질문들을 던져 왔다. 2000년대 들어 민속학과 이야기론에 몰두했던 그는 이 책으로 첨예한 현실 문제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자로 돌아왔다.
책장 바로가기
청명하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그런 "노골적인 반감"이 프로이트에 따르면 "자기애, 나르시시즘의 표현"이라는 점이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23,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명상, 순종, 자기 성팔 같은 수도원의 기술은 모두 이러한 자아 포기를 위한 것이었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31,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프로테스탄티즘 윤리란 바로 생활 태도의 외면화된 규정을 대신하는 내면화된 규정을 의미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33,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이것은 '신 없는 수직성'이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43,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다시 말해 평균에 대한 적응과 순응을 요구하기보다 향상을 규범으로 요구하는 자아 이상 사회에서 묘하게 부적절하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47,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수양이란 늘 자기를 괴롭히는 일이기도 하다. 그런데 바로 그것이 이제 생산적인 것이 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52,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그러니까 미라클모닝이나 갓생이
청명하다
좋음, 윤리적인 좋음은 우리가 도덕적 선으로 이해하는 그것이 아니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61,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선호 정체성 정치와 연결되는 구간
청명하다
우리의 느낌은 우리에게 증거가 된다. 우리에게 그것은 우리의 구체적 실존을, 우리의 구체성을 보증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69,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타자들은 내가 규정하는 것에 그냥 동의해야 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78,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김영사/책증정] 왜 협상 가능한 세계에서 총을 겨눌까? 《우리는 왜 싸우는가》 함께 읽기[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조지 오웰에 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불멸의 디스토피아 고전 명작, 1984 함께 읽기[그믐북클럽X교보문고sam] 20.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읽고 답해요[책걸상 함께 읽기] #7. <오웰의 장미>조지 오웰 [엽란을 날려라] 미리 읽기 모임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매달 다른 시인의 릴레이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9월 '나와 오기'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