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인 복종, 이것이 저자의 의문점이다. 왜 사람들은 대체로 사회의 질서를 따르며 살아갈까, 극소수의 인물들이 권력을 얻고 다수를 지배할 수 있을까. 머릿수로, 그러니까 1:1로 물어뜯으면 쪽수가 많은 편이 이기기 마련이지 않은가. 물론 나도 사회의 일원으로 그 안에서 제법 순순히 살아가지만, 마음 한구석에 비슷한 의문을 품었다. 아마 책 제목을 보건대 그 의문을 '나르시시즘'으로 풀려는 듯하다.
독서기록용_나르시시즘의 고통
D-29

청명하다모임지기의 말

청명하다
이 말인즉슨 자발성이란 단순히 명령을 따르는 데 그치지 않고 "진심으로" 따르는 것이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19,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신민들은 자신의 구원을 예속과 혼동하기만 하는 게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복종을 자발성과 혼동하기만 하는 게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군주을 신과 헌동하기도 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19,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청명하다
청명하다님의 문장 수집: "신민들은 자신의 구원을 예속과 혼동하기만 하는 게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복종을 자발성과 혼동하기만 하는 게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군주을 신과 헌동하기도 한다."
전지전능한 신, 혹은 그에 버금가는 군주나 영웅에 대한 투사 또는 뭐든 다 해결해주겠지라는 책임전가

청명하다
즉 그런 신만이 스피노자의 표현처럼 "다른 모든 사람보다" 나를 사랑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0,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청명하다
청명하다님의 문장 수집: "즉 그런 신만이 스피노자의 표현처럼 "다른 모든 사람보다" 나를 사랑한다."
단숨에 나에서 신이라는 경로를 거쳐 나에게로 돌아온다는 논지로 파고든다. 내 입맛에 맞는 영웅을 선택(소비, 수집)한다라는 이승윤의 <영웅수집가>라는 노래가 떠오르기도

청명하다
이때 자발적 복종을 우리는 복종으로 체험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을 우리가 자발적으로 따르는 부름으로 체험한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24,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우리의 '세계', 이것은 상상적 관계이자 체험된 관계이자 견딜만한 관계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33,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청명하다
청명하다님의 문장 수집: "우리의 '세계', 이것은 상상적 관계이자 체험된 관계이자 견딜만한 관계다."
세계를 알기에는 연약한 인간은 세계를 조각내서 이해한다-는 이야기는 <죽음의 부정>에서 먼저 읽은 적있다. 사람들은 저신만의 무대에서 각자가 경험한대로 살아가기 마련이다. 그래서 만남을 통해, 배움을 통해 다른 삶을 알아야 하는 것이고.

죽음의 부정 - 복간본퓰 리처상 수상, 인간 실존에 관한 답을 제시한 죽음학 분야의 고전, 국내 초판 출간 12년 만의 복간. 죽음을 향한 호기심과 두려움 사이를 오가는 인간의 심리를 탁월하게 분석해낸 책이다.
책장 바로가기

청명하다
타자의 소멸, 자아의 확장은 <사물의 소멸>에서도 이야기된 바있다.

사물의 소멸 - 우리는 오늘 어떤 세계에 살고 있나스마트폰에서 셀피, 스마트홈,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까지 디지털화한 세상에서 우리가 세계와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한 철학적 성찰. ‘사물 세계의 관상학자’를 꿈꾸는 한병철이 그려낸 정보의 현상학.
책장 바로가기

청명하다
'자기'의 이미지에 대한 자발적 복종. 우리는 그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지만 그것을 실현하려 애쓴다.
『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p.53,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청명하다
청명하다님의 문장 수집: "'자기'의 이미지에 대한 자발적 복종. 우리는 그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지만 그것을 실현하려 애쓴다."
'나르시시즘'에 대한 설명으로 당연하게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이 바탕이 된다. 이해하기로는 거울에 비친 자신은, 실제로 '나'가 아닌 나를 담은 외부 이미지인 동시에 자신에 대한 사랑의 대상이 된다. 현실의 자아가 아닌 사회적으로 규정된 이상적인 기준으로서.
채팅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