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유행에 따라 편히 살려하고 일본은 가업을 잇고 그걸 지키며 살려고 한다.
봄밤의 모든 것
D-29
Bookmania
Bookmania
결국 인간은 오래 같이 산 것과 잘 헤어지기 어렵다는 얘기를 하는 건가.
Bookmania
인간은 재지만 개는 안 잰다.
Bookmania
인간의 정은 떼기 무섭다는 건가.
Bookmania
동물을 잃은 것도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말을 하는 것 같다. 잃어서 슬프니 다른 것을 사면 되겠네, 하는 사람을 가장 미원한단다. 그 동물이 자기 자식과 같다고 한다. 나는 아직 그걸 이해하지 못하겠다.
Bookmania
약한 개가 자신만 믿고 살다가 이젠 없어 슬픔에 빠진 것이다.
Bookmania
작가는 개를 엄청나게 좋아하는 것 같다.
Bookmania
피해의식 처리
안 좋은 환경에서 자랐고 지금도 거기서
못 벗어난 경우면 당연히 피해의식이 생겨
그런 사람의 80% 이상은 어떤 식으로든
사회에 보복하려고 한다.
아니면 자기 자신에게.
그러나 그래서 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자기와 사회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결국
그 에너지를 쏟는 게 결국은 좋다.
Bookmania
남자들에게 칭찬을 받는 여자는 같은 여자들이 무슨 안 좋은 것을 귀신같이 반드시 찾아내 그걸 언급함으로써 자신을 위로한다.
Bookmania
진짜 좋아하면 거리낌 없이 다가가지 못한다
진짜 좋아하는 이상형의 여자를 만나면
자꾸 곁으로 가지 못하고 쭈뼛거린다.
자꾸 다가가 이 얘기 저 얘기하는 건 그렇게까지
그 여자가 이상형도 아니고 그렇게까지 맘에 드는 여자가
아니란 말이다.
그냥 약간 선호하는 편에 속한다.
아예 싫은 유형이면 그렇게 안 한다.
진짜 맘에 드는 여자는 그렇게 스스럼없이
다가가 말을 걸지 못한다.
나중에 결국 다가가긴 하지만
이것저것 많이 따진 후 겨우 그렇게 한다.
아마 여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Bookmania
아름다운 한글
요즘 K팝이나 K드라마가 인기여서 그런 것도 있겠지만,
일본인이 한글을 들으면 뭔가 세련된 느낌이 든다고 한다.
특히 젊은 한국 여자들의 말이 그렇단다.
여자들은 언어창조의 귀재들이다.
‘꽃’, ‘멍멍’, ‘아유!’ 같은 한글의 모양과 소리에 푹 빠졌단다.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위대함을 새삼 느낀다.
한글이 아름답다는 말도 외국인들이 많이 한다.
특히 녀자(女子)가 여자가 되는 두음법칙(頭音法則)으로
‘ㅇ’이 많이 들어가 그런 것 같다.
가만히 보면 동그라미가 참 많이 한글에는 들어가 있다.
강남, 역삼, 선릉, 삼성 등 2호선 역만 봐도
지하철 역명엔 동그라미가 들어간 역이 그렇게나 많다.
아니 한글 자체에 동글동글한 이응이 원래 많다.
무심코 쓴 위 문장만 봐도 동그라미가 열두 개나 들어가 있다.
외국인이 이런 한글을 보고 꼭 예술작품 같다는
말을 들은 적도 있다.
그러니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을 가져 한글을 더 아껴
사랑하고 갈고 닦을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모양도 아름답고 듣기에도 감미로워,
한글 배우기 열풍이 세계적인 추세에 있는 것도 당연하다.
Bookmania
일본 고독한 미식가는 그저 먹는 것에 진심이다. 그러나 한국의 성시경이나 허영만은 같잖게 그것에 무슨 의미를 두려고 한다. 트로트 가수도 같잖게 무슨 내면 같은 소리를 해서 듣기가 거북하다. 그저 아이처럼 먹고 노래를 부르면 되는 것이다.
Bookmania
마광수는 이미 몸은 더럽혀 졌지만 정신만은 고결한 그런 고급 창녀를 추앙한다.
Bookmania
소음인은 일이 중요하고 사람을 멀리하며 사람을 만나도 이기적으로 자기 위주로 잠시 만난 다음에 다시 자기 자리로 반드시 돌아가야 한다. 안 그러면 에너지가 소진된다. 혼자 독서에 장시간 빠져야 에너지가 보충된다.
Bookmania
남자 의사가 간호사 언덩이를 만진다. 지켜보면 다른 여자 의사가 그 의사의 손을 물어뜯어 그 간호사를 지킨다. 강한 게 약한 것을 지키는 것 같아 뭔가 기분이 더럽다. 꼭 시혜를 베푸는 것 같다.
Bookmania
술 많이 마셔 간이 망가진 것도 있지만 요새 날씨가 궂어 늙은이들이 피곤이 안 가시는 것도 있다. 나도 그렇다. 잠을 무조건 푹 자야 한다.
Bookmania
일본은 조금씩 여러 가지 음식을 먹는 주의고 한국은 한가지를 주고 먹는다. 칼국수 집에 칼국수는 별로고 다른 수육 같은 게 더 주요리면 단시 그게 더 많이 남는 장사라 그런 것이다.
Bookmania
우리나라는 아직 먹고 살기에서 벗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사실 요리의 다양성에서 일본과 중국에 딸린다. 그리고 이건 독자층도 그렇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