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밤의 모든 것

D-29
한국은 유행에 따라 편히 살려하고 일본은 가업을 잇고 그걸 지키며 살려고 한다.
결국 인간은 오래 같이 산 것과 잘 헤어지기 어렵다는 얘기를 하는 건가.
인간은 재지만 개는 안 잰다.
인간의 정은 떼기 무섭다는 건가.
동물을 잃은 것도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말을 하는 것 같다. 잃어서 슬프니 다른 것을 사면 되겠네, 하는 사람을 가장 미원한단다. 그 동물이 자기 자식과 같다고 한다. 나는 아직 그걸 이해하지 못하겠다.
약한 개가 자신만 믿고 살다가 이젠 없어 슬픔에 빠진 것이다.
작가는 개를 엄청나게 좋아하는 것 같다.
피해의식 처리 안 좋은 환경에서 자랐고 지금도 거기서 못 벗어난 경우면 당연히 피해의식이 생겨 그런 사람의 80% 이상은 어떤 식으로든 사회에 보복하려고 한다. 아니면 자기 자신에게. 그러나 그래서 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자기와 사회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결국 그 에너지를 쏟는 게 결국은 좋다.
남자들에게 칭찬을 받는 여자는 같은 여자들이 무슨 안 좋은 것을 귀신같이 반드시 찾아내 그걸 언급함으로써 자신을 위로한다.
진짜 좋아하면 거리낌 없이 다가가지 못한다 진짜 좋아하는 이상형의 여자를 만나면 자꾸 곁으로 가지 못하고 쭈뼛거린다. 자꾸 다가가 이 얘기 저 얘기하는 건 그렇게까지 그 여자가 이상형도 아니고 그렇게까지 맘에 드는 여자가 아니란 말이다. 그냥 약간 선호하는 편에 속한다. 아예 싫은 유형이면 그렇게 안 한다. 진짜 맘에 드는 여자는 그렇게 스스럼없이 다가가 말을 걸지 못한다. 나중에 결국 다가가긴 하지만 이것저것 많이 따진 후 겨우 그렇게 한다. 아마 여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아름다운 한글 요즘 K팝이나 K드라마가 인기여서 그런 것도 있겠지만, 일본인이 한국어를 들으면 뭔가 세련된 느낌이 든다고 한다. 특히 한국 젊은 여자들의 발음(Pronunciation)은 마치 고저장단이 있는 음악처럼 들린다고 한다. 아무래도 여성들의 언어 능력이 앞서기에, 그래서, 그들은 언어창조의 귀재(鬼才)라 아니 할 수 없다. ‘꽃’, ‘오빠’, ‘아유!’ 같은 한글의 모양과 소리에 푹 빠졌단다. 불어 등 발음 시 한글로 써놓은 게 더 정확하다고 한다. 표음문자(表音文字)로서 한글이, 전 세계 언어의 표준 발음기호로 정착될 날도 머지않을 거라 단언해 본다. 하긴 한글로 표현 못 하는 소리가 어디 있겠나? 단지 백성들이 편하게 쓸 수 있도록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업적에 새삼 감사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또한 한글이 예쁘고 아름답다고 외국인들이 곧잘 감탄한다. 특히 녀자(女子)가 여자가 되는 두음법칙(頭音法則)으로 초성에 ‘ㅇ’이 많이 들어가 그런 것 같다. 가만히 보면 동그라미가 참 많이 한글에는 들어가 있다. 강남, 역삼, 선릉, 삼성 등 2호선 역만 해도 지하철 역명엔 동그라미가 들어간 역이 그렇게나 많다. 아니, 한글 자체에 동글동글한 이응이 원래 많다. 무심코 쓴 위 문장만 해도 동그라미가 열두 개나 들어가 있다. 이런 한글을 보고 꼭 예술작품 같다는 말을, 외국인에게 들은 기억도 난다. “민우야!”, “달성아!” 하고 사람 이름을 부를 때, 우린 언제 ‘야’를, 언제 ‘아’를 붙일지 일일이 문법을 따져 가며 부르지 않는다. 이건, 뛰어난 언어인 한글을 나면서부터 써온 한국인만의 특혜랄 수 있다. 그러니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을 가져 한글을 아끼고 사랑해 더 갈고 닦아야 할 것 같다. 더불어, 먼저 말이 있고 말에 관한 규칙인 문법(Grammar)이 있는 것이지, 그 거꾸로는 아닌 것 같다. 그러나 우린 외국어를 배울 때 주로 문법부터 배운다. 어린애가 모국어를 배우는 식으로 언어를 배우는 게 첩경이고 정석 아닐까. 모양도 아름답고 듣기에도 감미로워, 한글 배우기 열풍이 세계적인 추세에 있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귀결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 고독한 미식가는 그저 먹는 것에 진심이다. 그러나 한국의 성시경이나 허영만은 같잖게 그것에 무슨 의미를 두려고 한다. 트로트 가수도 같잖게 무슨 내면 같은 소리를 해서 듣기가 거북하다. 그저 아이처럼 먹고 노래를 부르면 되는 것이다.
마광수는 이미 몸은 더럽혀 졌지만 정신만은 고결한 그런 고급 창녀를 추앙한다.
소음인은 일이 중요하고 사람을 멀리하며 사람을 만나도 이기적으로 자기 위주로 잠시 만난 다음에 다시 자기 자리로 반드시 돌아가야 한다. 안 그러면 에너지가 소진된다. 혼자 독서에 장시간 빠져야 에너지가 보충된다.
남자 의사가 간호사 언덩이를 만진다. 지켜보면 다른 여자 의사가 그 의사의 손을 물어뜯어 그 간호사를 지킨다. 강한 게 약한 것을 지키는 것 같아 뭔가 기분이 더럽다. 꼭 시혜를 베푸는 것 같다.
술 많이 마셔 간이 망가진 것도 있지만 요새 날씨가 궂어 늙은이들이 피곤이 안 가시는 것도 있다. 나도 그렇다. 잠을 무조건 푹 자야 한다.
일본은 조금씩 여러 가지 음식을 먹는 주의고 한국은 한가지를 주고 먹는다. 칼국수 집에 칼국수는 별로고 다른 수육 같은 게 더 주요리면 단시 그게 더 많이 남는 장사라 그런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먹고 살기에서 벗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사실 요리의 다양성에서 일본과 중국에 딸린다. 그리고 이건 독자층도 그렇다.
대선 선거운동 소리 독서에 너무 방해가 된다. 시끄러워 죽겠다. 그리고 원하는 후보가 아니면 더 짜증난다.
일본 AV 보면 여배우를 개줄로 묶어 끌고다니는 것도 있다. 여자는 애완견처럼 다루는 것이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김영사/책증정] 왜 협상 가능한 세계에서 총을 겨눌까? 《우리는 왜 싸우는가》 함께 읽기[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조지 오웰에 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불멸의 디스토피아 고전 명작, 1984 함께 읽기[그믐북클럽X교보문고sam] 20.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읽고 답해요[책걸상 함께 읽기] #7. <오웰의 장미>조지 오웰 [엽란을 날려라] 미리 읽기 모임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매달 다른 시인의 릴레이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9월 '나와 오기'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