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 18일, 그날도 일요일이었다.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D-29
향팔이모임지기의 말
향팔이
“ 신군부세력은 5·18항쟁이 예전의 사건들처럼 시간의 흐름에 묻히거나 지워질 것으로 기대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신군부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사회에는 커다란 변화가 생겨났다. 5·18진상규명투쟁으로 대변되는 5월운동이 시작되어 1980년대 한국사회 민주화운동의 밑거름이 되었고, 군부독재를 향한 국민들의 날선 비판과 투쟁은 1987년 6월항쟁으로 폭발했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의 짧은 기간 동안 광주 시민들은 그렇게 역사를 만들었다. 이후 5·18항쟁은 한국 현대사에서 공권력이 국민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준 대표적인 국가폭력이며, 동시에 한국전쟁 이후 처음으로 국민들이 무기를 들고 올바르지 않은 공권력에 맞선 항쟁으로 기록됐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 많은 사람들, 그중에서도 공수부대 출신들을 어렵사리 만날 수 있었다. 1980년 5월 19일부터 광주에 있었던 공수부대 중에 11공수여단이 있다. 5·18 때는 강원도에 주둔했으나 지금은 광주 인근에 있다. 15년 전 부대를 찾아갔을 때 〈늙은 군인의 노래〉에 꼭 어울리는 분들이 있었는데, 그분들은 5·18 당시에는 막 근무를 시작한 초년병들이었다. 그분들에게 제2의 고향이 된 광주는, 5·18은 어떤 의미일까.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향팔이
향팔이님의 문장 수집: "많은 사람들, 그중에서도 공수부대 출신들을 어렵사리 만날 수 있었다. 1980년 5월 19일부터 광주에 있었던 공수부대 중에 11공수여단이 있다. 5·18 때는 강원도에 주둔했으나 지금은 광주 인근에 있다. 15년 전 부대를 찾아갔을 때 〈늙은 군인의 노래〉에 꼭 어울리는 분들이 있었는데, 그분들은 5·18 당시에는 막 근무를 시작한 초년병들이었다. 그분들에게 제2의 고향이 된 광주는, 5·18은 어떤 의미일까."
책머리에 나온 <늙은 군인의 노래>를 알지 못해서 찾아 들었다. 김민기 선생님의 노래였구나. 그야말로 단순한 선율과 소리인데 왜 이렇게 마음을 아리는지. 김민기 선생님과 정태춘 선생님의 노랫말은 내가 읽은 어떤 문학보다 깊고, 아프고, 아름답다.
https://youtu.be/2Eqe732heLE?si=XqE3DTLtM_MGI6k_
김민기 - 늙은 군인의 노래
향팔이
“ 《그들의 5·18》은 40년 전 광주에서 왜 군이 국민을 폭행하고 발포했는가에 주목한 책이다. 그동안 5·18의 실체적 진실과 관련하여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핵심 쟁점들은 지금도 풀리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점점 심해지는 왜곡을 목격하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자료에 대한 의구심을 떨쳐버릴 수 없다.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고 있지만 이미 핵심 자료는 조작되고 사라진 느낌이다. 이러한 의혹의 중심에는 신군부로 대표되는 정치군인들이 있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향팔이
향팔이님의 문장 수집: "《그들의 5·18》은 40년 전 광주에서 왜 군이 국민을 폭행하고 발포했는가에 주목한 책이다. 그동안 5·18의 실체적 진실과 관 련하여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핵심 쟁점들은 지금도 풀리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점점 심해지는 왜곡을 목격하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자료에 대한 의구심을 떨쳐버릴 수 없다.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고 있지만 이미 핵심 자료는 조작되고 사라진 느낌이다. 이러한 의혹의 중심에는 신군부로 대표되는 정치군인들이 있다."
“ 그럼 무엇이 필요한가. 병사들의 증언이다. 언젠가 노근리사건을 다룬 BBC 다큐 《Kill’em all》을 봤을 때 젊은 날로 돌아간다면 입대하지 않겠다며 눈물 흘리던 노병이 있었다. 전부는 아니겠지만 당시 광주에 투입된 병사들도 비슷한 경험과 아픔이 있지 않을까. 일부 정치군인들의 권력욕 때문에 1980년 5월 광주의 경험을 마음의 짐으로 안고 평생을 살아가는 ‘태양의 후예’들이 많지 않을까. 40년 전 5월 광주에 다녀오지 않았다면 자랑스럽게 이야기했을 군대 경험이 어느새 감추고픈 과거가 된 병사들, 그분들의 용기 있는 사죄와 고백을 기대해본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 5·18항쟁기 군 지휘계통은 ‘계엄사령부(육군본부) —2군지구계엄사령부(2군사령부) —전남북계엄분소(전투교육사령부) —31사단 —공수부대’이다. 광주로 파견된 공수부대는 31사단으로 배속됐으나 실제 이 지 휘체계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문이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全 閣下 : 哨兵에 對해 亂動時 軍人服務規律에 依據 自衛権 發動 強調
전 각하 : 초병에 대해 난동시 군인복무규율에 의거 자위권 발동 강조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향팔이
향팔이님의 문장 수집: "全 閣下 : 哨兵에 對해 亂動時 軍人服務規律에 依據 自衛権 發動 強調
전 각하 : 초병에 대해 난동시 군인복무규율에 의거 자위권 발동 강조"
전두환이 발포를 직접 명령했다는 군측 증거 자료가 이미 나와 있었구나.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789147.html

향팔이
“ 2018년 이전까지 정부와 군은 5·18항쟁 기간에 헬기가 ‘경고문’을 뿌리고 선무방송만 하며 날아다녔다고 했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헬기 사격을 목격한 증인들도 있고 헬기 사격의 흔적이 지금도 전일빌딩 10층에 남아 있다. 여성들에 대한 인권침해(성폭력, 성추행 등)도 마찬가지다. 그런 일이 없었다는 정부와 군의 발표와 달리 피해자들은 여전히 고통 속에 있지만 가해자들은 밝혀지지 않았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1980년 5월 21일은 광주 사람들에게 무척이나 긴 하루였다.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박정희 정권의 입법부 장악
1. 유신헌법 - 국회의원의 3분의 1을 대통령이 지명 (유신정우회)
2. 중선거구제(한 선거구에서 2명을 뽑음)에 힘입어 여당이 또 의석의 3분의 1을 차지. (선거구마다 두 명씩 뽑으면 자금이나 조직 면에서 우세한 여당 후보가 한 명씩은 당선될 것이라는 계산. 야당 강세 지역이라도 여당 후보놈이 2등은 먹겠지? 그럼 그놈도 당선되는 것)
> 따라서 국회 의석수 3분의 2를 일단 먹고 시작
향팔이
“ 유신헌법 중에서도 악명 높은 조항으로 대통령의 ‘긴급조치권’이 있다. “대통령은 천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경제상의 위기에 처하거나,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가 중대한 위협을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어, 신속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때에는 내정·외교·국방·경제·재정·사법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필요한 긴급조치를 할 수 있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박정희 정권의 대표적 공안사건 및 살인
1. 간첩사건 조작
동백림 사건(1967년 7월 8일)
재일동포 간첩 사건(서승·서준식 형제 외)
2. 납치와 살해
김대중 납치 사건(1973년 8월 8일)
최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1973년 10월 19일)
장준하 의문사 사건(1975년 8월 17일)
3. 사법살해
인혁당재건위 사건(1975년 4월 9일)
향팔이
“ 긴급조치 제1호는 “대한민국 헌법을 부정, 반대, 왜곡 또는 비방하는 일체의 행위”와 헌법 개정이나 폐지를 제안하거나 청원하는 일체 행위를 금지하며, 이를 위반할 때는 “법관의 영장 없이 체포, 구속, 압수, 수색하여 1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와 함께 민간인을 군법회의에 회부하고 중앙정보부가 수사할 수 있는 긴급조치 2호를 동시에 선포했다. […] 이로부터 시작된 긴급조치는 1975년 5월 19일 결정판인 긴급조치 9호로 이어졌으며, 1979년 12월 8일 해제될 때까지 무려 2,159일간의 이른바 ‘긴급조치(긴조)의 시대’를 만들었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군의 정치 동원에 물꼬를 튼 것은 박정희 정권이다.
1. 공수부대 동원
- 1961년 5월 16일 군사 쿠데타부터 시작해서, 1964년 6·3항쟁, 1972년 10월 17일 유신 쿠데타, 1979년 10월 부마항쟁 등의 현장에 늘 공수부대를 동원.
- 1961년 6월 수도방위사령부 설치법을 통해 군대를 정치적 목적이나 시위 진압 등에 언제든지 동원할 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 공격형 특수부대인 공수부대의 본래 임무와 역할은 후방의 시위 진압과는 상관이 없음.
- 공수부대의 시위진압훈련인 충정훈련은 1993년에야 폐지됨.
2. 위수령
- 특정 지역에 한정시켜 발동. 그 모법조차 불분명한 대통령 명령으로 1965년 4월과 8월, 1971년, 1979년 부마항쟁시 선포.
- 2018년 폐지. 계엄령과는 달리 국회 동의가 필요 없으므로, 늦게나마 폐지되지 않았다면 2024년 12월 3일 윤석열의 친위 쿠데타에 이용되었을 수도.
향팔이
“ 1979년 10월 18일 밤 부산에서 벌어진 공수부대의 진압 광경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벌어진 참상의 예고편이었다. 5월 20일부터 광주 시내에 투입된 3공수여단은 부마항쟁 기간 부산으로 출동했던 공수부대였다. ”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노영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향팔이
향팔이님의 대화: 책머리에 나온 <늙은 군인의 노래>를 알지 못해서 찾아 들었다. 김민기 선생님의 노래였구나. 그야말로 단순한 선율과 소리인데 왜 이렇게 마음을 아리는지. 김민기 선생님과 정태춘 선생님의 노랫말은 내가 읽은 어떤 문학보다 깊고, 아프고, 아름답다.
https://youtu.be/2Eqe732heLE?si=XqE3DTLtM_MGI6k_
김민기 - 늙은 군인의 노래
어디에도 붉은 꽃을 심지 마라
거리에도 산비탈에도 너희 집 마당가에도
살아남은 자들의 가슴엔 아직도
칸나보다 봉숭아보다 더욱 붉은 저 꽃들
어디에도 붉은 꽃을 심지 마라
그 꽃들 베어진 날에 아 빛나던 별들
송정리 기지촌 너머 스러지던 햇살에
떠오르는 헬리콥타 날개 노을도 찢고, 붉게…
무엇을 보았니 아들아
나는 깃발 없는 진압군을 보았소
무엇을 들었니 딸들아
나는 탱크들의 행진 소릴 들었소
아 우리들의 오월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그날 장군들의 금빛 훈장은 하나도 회수되지 않았네
어디에도 붉은 꽃을 심지 마라
소년들의 무덤 앞에 그 훈장을 묻기 전까지
무엇을 보았니 아들아
나는 옥상 위의 저격수들을 보았소
무엇을 들었니 딸들아
나는 난사하는 기관총 소릴 들었소
어디에도 붉은 꽃을 심지 마라
여기 망월동 언덕배기의 노여움으로 말하네
잊지마라 잊지마 꽃잎 같은 주검과 훈장
누이들의 무덤 앞에 그 훈장을 묻기 전까지
무엇을 보았 니 아들아
나는 태극기 아래 시신들을 보았소
무엇을 들었니 딸들아
나는 절규하는 통곡 소릴 들었소
잊지마라 잊지마 꽃잎 같은 주검과 훈장
소년들의 무덤 앞에 그 훈장을 묻기 전까지
https://youtu.be/uxnpvSNs4kg?si=gmERRzBOiH2REEub
정태춘 - 5.18
채팅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