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0일의 글은, 앞으로 (책의 순서상으로는 뒤에) 나열 될 서효인 시인의 시를 읽는 하나의 또다른 방법을 제시해준 것 같아서- 그리고 아마 저는 평생을 몰랐을 시인들의 세계에서 시인들만이 나누는 세계관을 엿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어요.
이 시대에서 시는 가능한가. 요새 제가 읽는 시집 중 한 권은 정확히 제가 태어난 해에(그러니까 20여년 전에), 한 권은 5년 전에, 그리고 이 시집은 1년 전에 출판 되었네요. 이 시대에 시는 가능한가... 질문이 ‘사람들을 위하고 또 나를 위한 시가 가능한가‘로 바뀌어야 할 것 같단 생각도 들어요.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D-29

하금

하금
그는 오늘 강의에서 유튜브 알고리즘이 우리 삶에 끼치는 불손하고 불쾌한 망령에 대해 일갈했고, 집에 오는 길에 홀린 듯 유튜브 짧은 영상을 두어 시간 내리 보았다.
『좋음과 싫음 사이 - 시의적절, 그 여섯번째 이야기』 p.96 (6월 11일의 시, 좋음과 싫음), 서효인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지구는 뜨겁거나 차가워도 지구, 인간은 시커멓게 타버리가 새하얗게 얼어버릴 인간. 인간은 이렇게 살아갈 것이다. 인간은 그렇게 멸절할 것이다.
『좋음과 싫음 사이 - 시의적절, 그 여섯번째 이야기』 p.100 (6월 12일의 시, 유월과 생일), 서효인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이제 인생을 시작한 것들이 우리의 추잡한 바통을 건네받기 위한 훈련에 열중한다. 나는 어떻게든 넘어지지 않고 건네주자는 주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