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구려 눈물이라는 말이 참 슬프네요, 물론 모든 졸업을 슬퍼 할 수는 없겠지만 꼭 그렇게 표현 했어야 했을까요ㅠㅠ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
D-29
만렙토끼

물고기먹이
저는 '첫 졸업' 이라는 걸, 정말 문장그대로 ㅎㅎㅎㅎ 할아버님께서 돌아가신 걸 '졸업'이라고 하셔서 처음 누군가를 떠나보냄으로써 첫 졸업을 맞이했다라고 생각했거든요.
다양한 생각들을 나누면서 정말 이런 모임이 필요하구나~라는 걸 다시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저는 조영주 작가님의 [첫 졸업]을 읽으면서 사람의 내면에 대해서 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저의 내면에 악한 부분이 있고, 그걸 생각해본적이 있는 사람으로써 유향의 감정선을 자꾸 이해하려는 제 모습이 보이더라구요. 당연 유향은 그걸 실제로 실천하고 쾌감을 느꼈지만 저는 실천해보지는 않았습니다
그 요양병원 원장님께서 '저를 많이 닮았어요'하는 부분이 왜이리 싫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지만 내면에 악한 부분이 사람마다 있다는 건 저 역시 닮았다라고 생각하면서 읽었습니다.
사실 AI 관련 내용을 처음 접한게 수북강령 마티스x스릴러 북토크(그때도 마티스블루 출판사네요!) 뒷풀이때 마티스블루 출판사 대표님과 박산호 작가님께서 이야기 나누시는 걸 듣고 AI가 생각보다 우리 삶에 밀접하게 있구나~란 생각을 했는데 저는 요즘 회사 하루의 시작과 끝을 쳇GPT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ㅋㅋㅋㅋㅋ
업무적인 부분에 도움을 받고, 궁금한 기사들 찾아달라고도 하고 등등
꽤 재미있게 하고 있어요. 그래서 서평을 쓸때도 도움을 받기는 하는데, 직접 읽고 제 감정으로 직접 쓰는 서평이 확실히 더 기억에 남고 소중한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꽃의요정
저도 지선 씨가 자꾸 유향 씨의 모든 것을 아는 듯이 말하는 게 좀 마음 에 안 들었어요. 본인이 그런 일을 겪고 자성도 많이 해서 사람 보는 눈이 깊고 넓어졌을 수는 있지만, 타인에 대해 모두 이해한다는 식의 말투는 잘못하면 그 사람에게 다른 상처를 주는 방식일 수 있어서요.
저도 매일 다른 사람들을 만나야 하는 직업이라, 어느 정도 감정선 차단하고 살지만, 웃고 인사할 때는 진심을 다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이불킥 안 하더라고요. 좀 힘들다고 대충하거나 억지로 웃으면 나중에 한숨만 나와서....
그래도 유향 씨가 나중에 "괜찮지 않아요!"라고 소리 지를 수 있어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바닿늘
헉.. ㅋㅋㅋㅋㅋ
저도 그 사이에. 껴 있었고 ~
당시엔 AI 전혀 안 썼는디..
요즘은 엄청 많이 활용합니다.
만렙토끼
어쩌면 그곳에 가면 뭔가 느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지만 실천에 옮길 수는 없었다. 가까스로 느낀 감정이 공포일까 두려웠다. 아, 그때는 두려움을 느꼈었군
『처음이라는 도파민 - 무모하고 맹렬한 모든 처음에 관한 이야기』 131, 김의경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만렙토끼
우리랑 안 맞는 것 같네요. ^^ 그걸로 끝이었다. 하루 일당 같은 건 없었다.
『처음이라는 도파민 - 무모하고 맹렬한 모든 처음에 관한 이야기』 135, 김의경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만렙토끼
오줌을 싸면 안아준다. 나는 정답을 머리에 저장한다.
『처음이라는 도파민 - 무모하고 맹렬한 모든 처음에 관한 이야기』 148, 김의경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만렙토끼
안 괜찮아요! 하나도 안 괜찮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