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뇽하세요 쪼하림입니다 ~_~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
D-29

조영주

스마일씨
알면 두려움이 줄어들잖아. 두려움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관리하는 거래.”
『처음이라는 도파민 - 무모하고 맹렬한 모든 처음에 관한 이야기』 48, 김의경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스마일씨
선생님은 반 아이들에게 쌀을 조금씩 가져오라고 한 다음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엄마에게 건네줬다 - 43p
와 이건 진짜 폭력, 학대 아닌가요??😱🤬😡

아린
아오 ㅜㅜ..
저 초등학생때 급식할때..선생님이 급식반찬을 비닐에 하나하나 싸서 빈 아이들 다 있는 교실에서 반 남자애한테 주면서 어짜피 집에 가면 먹을 반찬도 없자나 이거 가져가라..하면서 주셨거든요..
그때 어린나이였지만..너무 불쾌하고 제가 대신 부끄럽더라고요..
도대체 왜 그러는 걸까요?

김의경
아동학대죠. 그런데 그 시절에는 그냥 그러려니 했던 거 같아요. 한 학급에 학생이 많아서 효율성 때문에 그렇게 한 건지... 눈감고 부모님이 이혼한 사람 손들어봐~ 하던 시절인데 무슨 말을 하겠어요 ㅎㅎ

스마일씨
친구들과 밤을 보내는 건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처음이라는 도파민 - 무모하고 맹렬한 모든 처음에 관한 이야기』 14, 김의경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스마일씨
이건, 특히 여자애들에겐 진짜 너무 중요하죠. 같이 시간을 보내는 것. 아이들은 집단 밖으로 내몰리지 않는 걸 목숨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요.
만렙토끼
맞아요, 글을 보면 어릴때 콘도에 간 일은 기억나지 않을 거다 라고하는데, 콘도에 간 일은 기억이 나지 않을 수 있어도 부모님이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게 한 일은 기억에 남을거고, 친구들과 놀러를 갔단 일은 기억에 남을거 란 얘기를 하림의 부모님께 너무너무 해주고 싶었어요

스마일씨
엄마도 하림과 같이 의대반을 다니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 51p
맞아요. 저는 한 때 입시생 키우지 않은 부모와는 말을 섞고 싶지 않다고 농담처럼 말했어요. 고3미만 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더 키우고 오 라고. ㅎㅎ 그런 제가 재수생을 키우고 보니 고3 부모도 내 앞에서 말을 마시오 하고 싶은 마음......ㅠ.ㅠ

꽃의요정
운전대를 잡았다가는 교통사고를 내고 여생을 감옥에서 살게 될 거라고 생각했다. 그만큼 운전이 두려웠다.
『처음이라는 도파민 - 무모하고 맹렬한 모든 처음에 관한 이야기』 '첫 키스처럼 조심스럽게' - 김의경, 김의경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꽃의요정
제가 운전면허 엄두도 못 내는 이유입니다.

꽃의요정
“ “너 운전 못 한다면서? 당장 면허부터 따라.”
엄마가 우물대자 할머니가 호통을 쳤다.
“딸내미 라이딩도 안 해줄 거니? 라이딩은 이 나라 엄마가 자식에게 해줄 수 있는 최소한의 것이야.” ”
『처음이라는 도파민 - 무모하고 맹렬한 모든 처음에 관한 이야기』 '첫 키스처럼 조심스럽게' - 김의경, 김의경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수북강녕
기사님을 붙여주는 시어머니도 있던데~ 호통칠 건 아닌 듯합니다 후훗~~~

꽃의요정
전 최소한의 것을 못해 줘서, 아이의 학원은 차량이 있는 곳이나 도보 가능한 곳으로만 알아 봅니다. ㅎㅎ

아린
그럼..저도 최소한의 것을 못하고 있는거네요..
무서워서ㅠ아직 운전면허증이 없는데..아마 따도 운전을 못하지 않을까 싶어요..
자유롭게 여기저기 가고 싶은 맘과 두려움이 공존하는 데.. 자율 주행차가 생기면 좀 여기저기 다닐 수 있으려나요..

물고기먹이
원래 운전에 자신이 없을수록 비싼차를 사라~라는 말이 있드라구요 ㅋㅋㅋㅋㅋㅋ

꽃의요정
저도 완전 자율주행차만 기다리고 있어요 ㅎㅎ

김의경
자율주행차 나와도 운전에 대해서는 알아야 한다고 따라고 하더라고요~

주영
일정보다 먼저 읽고 일정이 지난 후에야 글을 남기는 저는 청개구리과 인가 봅니다.
저는 첫 졸업을 단순히 현생의 졸업으로만 생각했었는데 수북강녕님께서 올려주신 AI의 요약을 읽고 졸업에 그런 의미도 있었구나 하며 그런 생각까지 하지 못한 저에 대해 아쉽더라구요.
정말 단숨에 재밌게 읽었고 단편을 읽으니까 이렇게 책에 대해 이야기를 할 수 있어서 더욱 좋은 것 같네요.
다음 소설도 얼른 재밌게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영주
아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