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위기에 맞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주 오랜만에 행복하다는 느낌
D-29
Bookmania
Bookmania
TV 조선에서 한창 밝게 자라야 할 5살 어린이에게 인생의 고달픔이 담긴 트로트를 부르게 하는 게 말이 되나. 그걸 들으면 늙은 것들은 또 감탄을 해요.
Bookmania
일년 농사 지은 걸 여자에게 빠져 그 여자한테 다 바치는 경우도 있다.
Bookmania
요즘 이대남들은 생각은 없고 헬스만 해서 몸이 꼭 짐승처럼 우람하기만 하고 둔해 더 생각이 없는 짐승처럼 보인다. 저런 것들은 저울로 달아 몸무게가 오버면 돈을 더 받아야 한다. 면적을 너무 많이 차지한다.
Bookmania
남자에게 토끼라며 놀리는, 아무렇지 않게 성희롱하는 여자들이 많다. 드라마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뭔가 제재를 가해야 한다.
Bookmania
감칠맛
자주 듣고 쓰는 말인데도 그 뜻을 정확히
모르는 단어가 있는데,
‘감칠맛’이 그렇다.
맛의 진가를 처음엔 모르겠다가
나중에 입안에 서서히 감도는 그런 맛을 말하는 건가.
아니면 금방 사라지는 맛이 아니라
그 여운이 입안에 오래 남는 그런 맛인가.
생전 처음 만난 맛인데도,
절대 잊을 수 없는 그런 맛을 말하는 건가.
그래서 기어이 찾아가 다시 맛보는 그런 맛.
직접 앞에 없지만 먹방에서 그 음식을 보고
당장 나도 해 먹고 싶은 그런 맛인가.
땀 뻘뻘 흘려가며 “아, 이러면 살찌는데.” 하면서도
숟갈이 자꾸 가는, 보글보글 끓는 곱창전골 같은 칼칼한 맛.
아니면 얕지 않고, 오래 삭힌 홍어나 묵은지처럼
은은하면서도 톡 쏘는, 깊이 있는 그런 맛인가.
뱉거나 빨리 삼켜버리고 싶은 그런 맛이 아니라
입안에 음식을 오래도록 머무르게 해 더
음미하고 싶은 그런 맛인가.
입에 착 달라붙는 맛.
탕에 들어가 “어, 시원하다!” 소리가 절로 나올 나이가 된,
애들은 모르는 진정한 어른의 맛.
고춧가루 팍팍 넣어 속이 확 풀리는,
황태 콩나물해장국 같이 구수하고 시원한 맛.
나와 세월을 같이한 그 맛.
간고등어 냄비 바닥에 붙어 조금 탄 짭조름한 감자,
송송 썬 풋고추가 들어가 매콤한 된장찌개와 밥에 찐
가지를 넣은 보리 비빔밥, 금방 해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큼지막하게 썰어놓은 고소한 부두.
감방 생활하고 나온 건 아니지만,
나는 앉은 자리에서 이런 두부, 세 모를 먹을 수 있다.
이런 게 내겐,
감칠맛 당기게 하는 한국 음식들이다.
자극적이지 않지만, 맛이 풍부해 이젠
인(燐)이 박혀 도저히 끊을 수 없는 맛.
아니면 어머니가 늘 해주던 맛이라
외국에 나가 그 맛이 그리운 그런 맛이나
식욕이 안 생기다가 다시 식욕을 당기게 하는
그런 맛을 말하는 건가.
먹으면서 보고 싶은, 아끼는 사람이 생각나는 그런 맛.
격하게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고, 그리하여
“이 감칠맛 나는 음식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면
얼마나 행복할까!” 하며
갑자기 코끝이 찡해오고 눈물이 핑 도는 그런 맛.
‘감칠맛’의 진짜 의미가 지금 말한 맛 중에
하나라도 있으면 좋겠다.
아니, 다였으면 좋겠다.
Bookmania
작가가 어떤 상황에서 느낀 것을 그냥 죽 나열만 해도 공감을 얻어 많이 팔리기도 한다. 이렇게 책을 파는 작가도 있다.
Bookmania
마광수는 아무리 어렵게 살아도 공부를 안 하면 대우를 안 해준다. 노숙자라도 공부를 많이 하고 배우려고 하는 사람만 대우해 준다.
Bookmania
전쟁 때문에 신경증에 안 걸리기도 한다. 그럴 여유가 없는 것이다.
Bookmania
나는 내가 연구하고 싶은 걸 깊고 넑게 파면서 현실에서 발생하는 하찮은 것들을 다 눌러버릴 것이다.
Bookmania
왜 그런지 모르겠다. 언제부터 그랬는지. 방에서 발바닥에 뭔가 묻어나는 게 그렇게 싫다. 근데 다른 곳은 지저분해도 괜찮다. 방바닥만 깨끗하면 된다.
Bookmania
나는 오늘도 책에 고맙다며 세 번 절을 올렸다.
Bookmania
오늘은 비가 와 옆에서 공사를 안 해 좋다. 이렇게 뭐든 나쁜 건 좋은 점이 반드시 있는 법이다. 세상 만사가 다 그런 것 같다.
Bookmania
몸에 기름을 부른다는 것보다 오일을 바른다는 말이 더 잘 어울린다. 이처럼 단어는 문맥에 따라 어울리고, 안 어울리는 단어가 있다. 문맥에 따라 단어를 적절히 쓰는 것도 중요하다.
Bookmania
아, 감기 기운이 약간 있는 거 같은데 오늘 같이 비오는 날은 막걸리 좀 과하게 먹으면 깨끗이 낫는다. 희한한 일이다.
Bookmania
김명신이 처음엔 넙데데했는데 수술해 그렇게 갸름하게 계란형으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그럼 넙데데하게 생긴 사람은 다 죽으란 말이냐?
Bookmania
변비가 있다가 기름기 있는 걸 먹어 물찌똥이 나오면 밑에서부터 내려가는 게 원칙이라 묵은 똥이 내려가겠지만 기분이 영 그게 버티고 안 나오는 것 같아 기분이 찝찝하 다.
Bookmania
마광수는 영원한 내 편이다. 술을 먹어야 깊은 철학을 낳는다고 했다.
Bookmania
역시 다 단점이 있으면 장점이 반드시 있다. 술을 먹었더니 감기가 달아났다.
Bookmania
이제 눈이 잘 안 보여 자신이 없으면 어디에 갇힌 기분이 들 것이다. 서서히 늙어가는 것이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