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굴뚝'이라는 것이 좁고, 갑갑하고, 어둡고, 먼지가 많다는 것을 생각했을 때 화자의 마음이 정말 굴뚝과 같은 마음이 아닐까 생각했어요~ "어둠 위에 어둠을 껴입고"라는 구절에서도 '굴뚝'을 떠올렸구요~
<굴뚝의 기분>을 여러번 읽으며 큰 슬픔을 느꼈지만 이상하게도 위로받는 기분이었어요~ "망가질 대로 망가진" 꽃병을 들고 있지만 괜찮다고 등을 토닥이며 위로해주는 시의 마음이 있더라고요~ 오늘 만나는, 시가되는 모든 것들이 "괜찮아 괜찮아" 하고 우리의 삶을 토닥여 주길 바라겠습니다.
[오늘도, 시] 시집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함께 읽기
D-29
오늘도

하금
굴뚝과 같은 마음, 이라는 말씀을 들으니까 시가 이해하기 훨씬 편해진 것 같아요! 길잡이 같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ㄴ비다 ㅎㅎㅎ

하금
[업힌]은 읽고나니 요근래 방송사 다큐멘터리 소재로 자주 언급 되던 ‘은둔청년‘ 그리고 ‘은둔중년‘이 떠오르는 시였어요. 산책 가기 싫어서 죽은 척하는 강아지와 하루를 갉아 먹는 것이 최선인 시의 화자. 가장 자연스러운 삶의 일부를 외면하고싶어 납작하게 몸을 웅크린 모습이 닮아있는 것 같습니다.
예쁜 걸 곁에 두면 예뻐질 줄 알고, 라는 문장이 참 아프게 공감 되었던 것 같아요. 작고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것을 사면 내가 그렇게 소중한 존재가 될 것 같은 마음. 수집벽이 약간이라도 있는 사람이라면, 사물에 애착을 쉽게 가져 방이 항상 어수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 같네요.

하금
[내가 달의 아이였을 때]는 한편의 동화 같은 시였네요. 할아버지가 쪼개고 있던건 무엇일까요? 하나의 생에 할당된 행복을 아주 잘게 쪼개 눈에 보이지 않는 시간의 곳곳에 감춰둔걸까 싶었어요.
허물 수 없다면 세계가 아니라는 말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유한하기에 생이 가치있는거란 말과 같은 궤를 돌고 있는 말인 것 같아요. 허물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언제나 소중히 여기고 지키려 애쓰는 시간의 연속이 하나의 세계를 이루는걸까 싶네요.
오늘도
나는 흰 벽에 빛이 가득한 창문을 그렸다
너를 잃어야 하는 천국이라면 다시는 가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21, <면벽의 유령> 부분,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오후에]는, 하루의 마무리를 짓는 매듭 같은 시간을 그리는구나 싶었어요. 늘 같은 하루를 반복하는데도 유난스럽게 막막하고 먹먹한 날의 감상 같다고 할까요.
저한테 두리번거리는 습관이 있어서 그런지... 두리번거리다 한생이 끝난것 같다, 는 말이 되게 개인적인 문장처럼 느껴졌어요. 화자가 저처럼 말하기보다 보고 듣기를 좋아하는 사람일까, 하는 상상도 해보게 되고요. 하루내내 관찰한 것이 많은 하루는 24시간이 아니라 48시간처럼 느껴지곤해요. 음식을 허겁지겁 먹어서 체했을 때처럼 내가 소화 할 수 없는만큼의 정보와 감각을 받아들였단 기분이 들거든요. 망치를 들고 눈을 깨러 오는, 나면서 내가 아닌 나의 연속점에 있는 존재를 생각하니 얹힌 속이 싹 내려가는 것 같아요. 그런 의미에선 오후가 되어 '나'를 배웅하는 '나'는, 이제 그만 잠들어 하루를 끝내자는 인삿말 같기도 해요.

Alice2023
만년설을 녹이기 위해 필요한 건 온기가 아니라 추위 아닐까
안에서부터 스스로 더 얼어붙지 않으면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누구도 해치지 않는 불을
꿈꾸었다
삼키는 불이 아니라 쬘 수 있는 불
태우는 불이 아니라 쬘 수 있는 불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10 [불이 있었다],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호주머니 속 언 손을 꺼내면
비로소 시작되는 이야기
손금이 뒤섞이는 줄도 모르고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p.10-11 [불이 있었다],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불은 꺼진 지 오래이건만
끝나지 않는 것들이 있어
불은 조금도 꺼지지 않고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11 [불이 있었다],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비밀을 들키기 위해 버스에 노트를 두고 내린 날
초인종이 고장 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자정 넘어 벽에 못을 박던 날에도
시소는 기울어져 있다
혼자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12 [소동],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너는 모든 것이 너를 조롱하고 있다고 느낀다
의자가 놓여 있는 방식
달력의 속도
못 하나를 잘못 박아서 벽 전체가 엉망이 됐다고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14 [굴뚤의 기분],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생각으로 짓는 죄가 사람을 어디까지 망가뜨릴 수 있을까
이해받고 용서받기 위해
인간이 저지를 수 있는 최대치란 무엇일까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16 [업힌],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예쁜 걸 곁에 두면 예뻐질 줄 알고
책장 위에 차곡차곡 모아온 것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17 [업힌],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보기에 좋아야 한단다 아가야, 허물 수 없다면 세계가 아니란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18 [내가 달의 아이였을 때],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하루 일과를 끝낸 뒤엔 그네를 탔다. 그곳에서 내려다본 지상에서 어둠을 향해 막 걸음마를 떼는 사람이 보였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p.18-19 (내가 달의 아이였을 때),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여름은 폐허를 번복하는 일에 골몰하였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20 [면벽의 유령],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기껏해야 안팎이 뒤집힌 잠일 뿐이야
저 잠도 칼로 둘러싸여 있어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21 [면벽의 유령],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나는 흰 벽에 빛이 가득한 창문을 그렸다
너를 잃어야 하는 천국이라면 다시는 가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21 [면벽의 유령],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너를 잃어야 하는 천국이라면 다시는 가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