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국 나는 빈손으로 되돌아왔다 / 할아버지, 이 땅엔 노래가 없어요 / 울음을 터뜨리는 내게 할아버지는 말씀하셨다 / 벌거숭이의 노래를 가져왔구나, 얘야 / 그건 아주 뜨겁고 간절한 노래란다 ”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87) <내가 달의 아이였을 때> 부분,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늘도
이 시를 읽으며 누군가를 살리기 위해 내가 가진 게 별 것 아닌 것이라도 그것을 기꺼이 내놓을 수 있다면, 더 이상 아무것도 가진 게 없어도 많은 것을 가진 게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쳐 쓰러진 누군가를 돌보고 돌아보려는 마음이 곧 세상을 "뜨겁고 간절한 노래"로 채우게 되리라는 것도요. 오늘도 누군가는 노래를 만들어 내고 있다는 생각에 가슴이 뜨거워지네요~
하금
모 두들 바늘구멍을 보고 있다. 각자의 낙타를 데리고 어떻게 그곳을 통과할지에 대해.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64 <단란>,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무엇이 나무를 부러뜨린 거지?
기껏해야 밤이었는데
우리가 미래나 보루 같은 말들을 믿지 않았던 게 아닌데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66 <폭풍우 치는 밤에>,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비록 내가 나무 너머를 그린다 한들 나무가 없다면 그게 다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71 <에프트>,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에프트의 포플러나무는 에프트에만 있다는 사실
오늘의 포플러나무는 오늘의 색으로 빛나고
유예된 죽음만이 내게 하루치의 물감을 허락하는 것이기에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72 <에프트>,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내 안의 어린 시인에게 묻는다
-작고 날렵하고 갉아 먹는 것을 떠올려보렴
내가 생각했던 답은 죽음이었지만
어린 시인은 별 고민 없이 다람쥐라고 말한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78 <영혼 없이> -2 ,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시를 환상 속에 두지 마세요
어린 시인은 단호히 말한다
쓰러진 물컵 속에는 물 외엔 아무것도 없다
슬픔이나 절망 같은 건 더더욱 없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79 <영혼 없이>-2,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아침저녁으로 피를 씻어내는 일이 나의 묵상입니다
하지만 무엇으로도 씻기지 않는 것들이 끝내 나이겠지요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85 <생선 장수의 노래>,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 고작 이런 풍경을 보려고 여기까지 온 것일까
너는 헤엄치는 법을 알아야만 바다를 건널 수 있는 건 아니라고 했지만
내일부턴 더 추워지겠네 쓸쓸히 웃었다
너무 어두워서 분명해지는 세계가 거기 있었다 ”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89 <실감>,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너는 투명해지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나의 땅은 그럴 때 흔들린다
네가 어떤 모양으로 이곳까지 흘러왔는지 모를 때
온 풍경이 너의 절망을 돕고 있을 때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90 <아침은 이곳을 정차하지 않고 지나갔다>,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나의 상상은 맥없이 시든다
언어만으로는 어떤 얼굴도 만질 수 없기 때문이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90 <아침은 이곳을 정차하지 않고 지나갔다>,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늘도
“ 죽은 나무에서만 자라는 버섯들 / 기억하기를 멈추는 순간, 어둠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방 / 어제 놓친 손이 오늘의 편지가 되어 돌아오는 이유를 / 이해해보고 싶어서 / 뒤로 더 뒤로 가보기로 한다 / 멀리 더 멀리 가보기로 한다 ”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43,44), <자이언트> 부분,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 잘린 꼬리는 도마뱀인가요, 돠뱀이 아닌가요?
영혼이라는 말은 불에 가까운가요, 물에 가까운가요?
질문을 시작했을 때
너, 정말로 착한 아이구나
그들이 기특하다는 듯 웃는다
입으로는 웃고 있지만 눈으로는 조금도 웃지 않는다 ”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63 <지배인>,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오늘도
♥오늘(6월 16일)부터 6월 22일까지 3부를 함께 읽어요♥ 책의 135페이지까지입니다.
안녕하세요~ 비가 내리는 월요일 아침입니다. 짙은 초록으로 물들어 가는 6월의 잎사귀들을 하염 없이 내리는 비들이 더더욱 푸른빛으로 빛나도록 도와줄 것 같네요~
당신의 여름은 어떻게 깊어가고 있나요? 때로는 한숨과 슬픔과 눈물로 마음이 무거워질 때도 있겠지만 때로는 내리는 비가 슬픔과 어둠을 씻겨주고 마음을 맑게 해줄 때도 있는 것 같아요.
비와 함께, 뜨거운 공기와 함께 오르는 여름 언덕은 더더욱 숨차고 힘들테지만 "언덕의 기분"을 살피며 하루하루를 올라가다 보면 "다른 풍경"을 만나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글에 댓글로 참여해주시면 이번주, 우리만의 '시감 노트'가 됩니다♥
올려주신 문장들을 보며 저의 시감 노트도 더더욱 풍성해지고 있네요~ 이번주도 시와 함께 우리만의 여름 풍경을 차곡차곡 쌓아가요~
오늘도
월요일의 비내리는 풍경도 함께 올립니다~
여름엔 이 초록의 잎들과 비를 빼놓을 수 없는 것 같아요~
하금
오늘도 그는 새를 기다리러 간다
그의 새장은 아직 비어 있고
아직 오지 않은 것은 영영 오지 않는다는 것만 제외하면
모든 것이 완벽하다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95 <반려조(伴侶鳥)>,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 폭발음도 없이 한 우주가 잠든 곳, 추락한 비행기의 잔해를 그러모으는 일, 나는 네가 이런 것을 사랑이라고 믿지 않을까봐 두렵다, 네가 침잠하는 모든 시간에 언제나 한 사람이 곁에 있었는데도 ”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p.98 <덧칠>, 안희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덧칠>은 사랑을 종결로 여기며 지나간 사랑의 잔재를 돌보지 않고, 또 그렇기 때문에 결국 떠나보냄을 견디는 나를 돌보지 않을 '너'를 걱정하는 목소리 같아요. 이미 사랑도 '너'도 겪을 만큼 겪을 사람이 보내는 당부의 말 같이 들리기도하고, 그래서 미래의 '너'가 지금의 '너'에게 보내는 말 같기도 하네요.
오늘도
"미래의 '너'가 지금의 '너'에게 보내는 말"이라는 하금님 말씀이 참 좋네요.. "추락한 비행기의 잔해를 그러모으는 일"은 슬프고 마음 아픈 일이지만 저 역시 그런 행동과 마음 모두 사랑이겠구나 생각해봅니다~
[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