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담 보바리> 2부 끝까지 ■■■■
●함께 읽기 기간: 6월 15일(일) ~ 6월 21일(토)
안녕하세요, 그믐클럽지기입니다!
드디어 2부의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는 만큼, 에마의 이야기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계실 것 같아요.
이번 분량은 주인공의 삶이 극단으로 치닫는 과정이 그려질 것입니다. 그녀의 욕망과 현실 사이의 괴리, 그리고 그로 인한 파국이 적나라하게 드러날 텐데요. 각자의 자리에서 이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어떻게 읽어내셨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집니다.
<마담 보바리>는 시대를 초월하여 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질문을 던지는 작품입니다. 이번 주 분량을 통해 우리가 느꼈던 감정과 생각들을 가감 없이 나누면서, 에마 보바리라는 인물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럼, 다음 주 일요일 만나요! 어떤 이야기들을 들려주실지 기대됩니다.
[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C-1. 어떤 점이 인상 깊으셨나요? 여러분의 생각을 자유롭게 들려 주세요. 책 내용과 상관은 없지만 연관되어 떠오른 다른 생각들도 좋습니다.
RAMO
인사이드 아웃, 보바리 부인, 그리고 고독
픽사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은 감정을 탁월하게 그려낸 영화입니다. 사춘기 소녀 '라일리'에게는 수많은 감정들이 자라나는데, 그중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은 그녀를 대표하는 감정 캐릭터입니다. 이들이 펼치는 이야기는 보이지 않는 감정에 캐릭터성을 부여하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돋보였습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감정들을 등장인물로 형상화하여 서사를 부여함으로써, 우리는 라일리의 행동을 쉽게 이해하고 깊이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감정이라는 렌즈로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 속 에마를 들여다보면, 그녀에게는 사랑이 가장 큰 감정 캐릭터로 보입니다. 남편이 있음에도 사랑이 식었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새로운 사랑을 찾아 위험한 선택을 하게 됩니다. 그녀의 파멸의 중심에는 항상 '사랑'이 있습니다. 불륜을 시도하는 큰 원인이 식어버린 사랑이며, 새로운 사랑이 찾아오면 그것이 마치 태양을 바라봐야 살아가는 해바라기처럼 자연의 이치인 양 끌려가는 듯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는 한 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수많은 사랑을 그려냈지만, 그 사랑의 시작은 과연 무엇일까? 에마가 파멸의 길을 걷는 선택이 사랑 때문이라면 그 사랑이 시작되는 지점, 격동적인 가슴의 떨림이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궁금해졌습니다. 문학에서 사랑은 오랫동안 사랑받는 주제였고, 사랑 때문에 죽고 사는 이야기는 현재에도 통용되는데, 정작 '사랑의 시작'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본 적은 드뭅니다. 에마의 행동을 비판하기 이전에 그녀가 그럴 수밖에 없었던 원인에 대해 저는 무척이나 알고 싶었습니다.
'사랑의 기술'이라는 책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친 에리히 프롬은 그에 대한 답으로 고독을 꼽았습니다. 인간은 고독하기에 그 고독을 견디기 매우 힘들어하며 이를 탈출하고자 다른 이와 함께하고자 하는 욕망, 즉 사랑이 생겨난다는 것입니다. 일견 이해가 되는 설명입니다. 사랑을 통해 하고자 하는 것은 타인과의 강렬한 연결입니다. 그 반대는 홀로 존재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고독입니다. 고독에서 연결로 이어지는 길에 사랑이 있다면, 사랑이 시작하는 지점에는 항상 고독이 따라올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에마를 단순히 도덕적으로 비난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그녀는 결혼생활에 무책임했지만, 그 무책임의 근원에는 자신조차 명확히 인식하지 못했던 깊은 고독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랑은 그 고독을 무마하려는 시도였고, 반복되는 새로운 사랑은 고독이 결코 사라지지 않았음을 역설적으로 증명하는 셈입니다.
결국 '보바리 부인'을 읽으며 저는 '감정은 어디서 시작되는가'라는 질문에 머뭅니다. 사랑이라는 감정의 화려함보다 그것을 촉발한 고독이라는 감정의 그늘에 시선을 돌릴 때, 독자로서 저는 에마 보바리의 삶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궁극적으로 저 자신에게도 되돌아옵니다. 과연 고독을 확실하게 인식한 적이 있는가? 그리고 그 고독을 어떻게 다루어왔는가? 이를 답할 수 있다면 에마 보바리의 사랑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김새섬
'고독'을 키워드로 잡으셨군요. 저에게는 보바리 부인의 '권태'가 참 절절하게 다가오더라고요. 빌리 조엘의 '피아노 맨'이라는 노래를 좋아하는데 한 구절이 잠깐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여기만 아니라면, 난 무엇이든 될 수 있어' 라는 감상이 슬펐어요.
Now John at the bar is a friend of mine
He gets me my drinks for free
And he's quick with a joke or to light up your smoke
But there's some place that he'd rather be
He says, "Bill, I believe this is killing me"
As the smile ran away from his face
"Well, I'm sure that I could be a movie star
If I could get out of this place"
RAMO
저도 좋아하는 노래예요! 말씀하신 부분도 공감하구요. 이참에 다시 노래를 들으면서 책을 읽어볼게요~
깃털처럼
@김새섬 저도 보바리 부인이 가장 견디기 힘들었던 건, '고독'과 더불어 '권태'가 아니었을까 생각했어요.
깃털처럼
@RAMO 지난 번에 이어 좋은 글들 잘 읽고 있습니다 . 여러가지 생각 할 거리를 제공해 주시는군요. 감사합니다.

가리봉탁구부
2부는 보바리 부인의 불륜과 애정 행각이 주된 내용이지만 11장, 샤를의 실패한 외과수술을 다룬 부분이 인상적이면서도 마음이 불편해서 읽기 어려웠습니다. 순진한 이폴리트를 꼬시는 주변 사람들이 악마 같이 느껴졌고요. 특히 이 내용 이전까지는 조금 답답한 면이 있지만 측은하게 느껴졌던 샤를에게 이제는 분노가 느껴졌습니다. 요즘으로 따지면 심각한 의료 사고인데요. 한 사람의 인생을 망쳐 놓고 마지막까지 내반족, 외반족을 따지는 모습이 소시오패스 같이 느껴졌고요. 공감 능력이 떨어지고 무능하고 대책 없는 사람의 전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사족이지만 비단 의료계뿐 아니라 소위 전문가 집단이 어설픈 지식에 기반한 확신으로 힘없는 개인에게 치명적이고 그릇된 행위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화가 나고 안타깝습니다.

김새섬
농진회(?)에서 수상식하는 장면과 보바리 부인의 밀회 장면이 교차되는 부분이 참 아름답고 문학적이네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대사들의 향연.
책을 영상예술보다 선호하는 편인데 이 장면은 머릿속에서 바로 영상으로 탄생합니다.

김새섬
<채유 종자의 깻묵 활용 상!>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보바리 부인은 읽을수록 처음 예상과는 달리 야하다는 느낌보다는 안타깝다는 느낌 뿐입니다.
보바리 부인의 선택과 그 이후의 일련의 사건들이 음.... 더 나은 선택은 없었을까... 다른 미래는 없었을까.... 슬프네요.....
저는 에마가 소통할 사람을 찾지 못한 '고독' 그리고 '권태' 사이에서 괴로워하며 찾은 일련의 선택과 행동들이 너무 단기적 해소만을 추구한 것은 아닌지, 그 무책임함은 돌이킬 수 없는 파국으로 이들을 이끄는 것 같아 속상하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C-2.마음에 남은 문장을 적어주세요.(댓글창 아래 있는 문장수집 기능을 이용해 주시면 더욱 좋습니다.)

가리봉탁구부
“아니 어쩌면 외반족이 아니었을까?” 생각에 잠겨 있던 보바리가 갑자기 소리쳤다.
『마담 보바리』 2부 11장 중에서,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 가령 언젠가 정원의 샛길에서 이쪽으로 가까이 오는 발소리가 나는 것 같아서 “누가 와요!” 하고 그녀가 말했다.
그는 불을 훅 불어 껐다.
“권총 갖고 있어요?”
“왜?”
“왜긴요…… 방어를 해야죠.” 에마가 대답했다.
“당신 남편을 상대로? 아! 그 한심한 작자!” ”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로돌프 때려주고 싶네요~ 자신과 관계를 갖는 유부녀의 남편을 한심하게 생각하는건 당연한 마음인가 ? 음 어쨌든~전 로돌프 허세에 짜증이 납니다

거북별85
“ 그는 이미 옛날처럼 그녀를 울리던 저 감미로운 말을 더 이상 입에 담지 않게 되었고 그녀를 미치게 하던 저 열렬한 애무도 더 이상 하지 않게 되었다. 그 결과, 그녀가 그 속에 흠뻑 빠져 지내고 있던 그들의 엄청난 사랑이 마치 강바닥으로 빨려 들어가는 강물처럼 그녀의 발밑에서 줄어들어 가는 것 같았고 마침내 그녀의 눈에 강바닥의 개흙이 보였다. 그녀는 그걸 믿고 싶지 않았다. 그녀는 더욱더 많은 애정을 쏟았다. 그러자 로돌프 쪽에서는 점차 무관심을 감추려 하지 않게 되었다 ”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싫증난 불륜관계를 이렇게 섬세하게 묘사하다니 플로베르는 천재인듯 합니다^^

거북별85
“ 자기가 약하다고 느끼는 데서 오는 굴욕감은 원한으로 변해 갔지만 육체의 쾌락이 그것을 무마해 주었다. 그것은 애착이 아니라 끊임없는 유혹과도 같은 것이었다. 로돌프가 그녀의 마음을 휘어잡고 있었다. 그녀는 그 점에 대해서 공포를 느낄 지경이었다. ”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그리하여 반년이 지나 봄이 돌아왔을 때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해 조용히 가정적인 사랑의 불꽃을 지켜 나가는 부부와 같이 느끼고 있었다.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불륜도 오래 지속되면 부부같아지나 보죠? ^^;;
문제는 관계성이 아니라 시간인가보죠~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