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덕분에 궁금했던 점이 바로 해결 되었습니다 기왕 사라졌으니 작가님만 괜찮으시다면 모르고 읽는 독자들이 왜 그럴까? 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라스트 사피엔스/도서 증정] 해도연 작가와 함께 하는 독서 모임
D-29
만렙토끼

물고기먹이
“ 햇빛이 옅게 바랜 글씨 위로 아른거렸다. 남아 있는 희미한 글씨 조각들은 서로 맞물리지 못한 채 공중에서 흩어졌다. 읽을 수도, 되돌릴 수도, 닿을 수 없는 시간이 종이 너머의 아득한 과거로 사라지고 있었다. ”
『라스트 사피엔스』 39p, 해도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물고기먹이
점심시간에 사온 김밥을 먹으며 책을 읽고 있습니다~ 읽다보니 57p에 에리카가 그녀라고 지칭되어 깜짝놀랬습니다. 왜지? 왜 나는 에리카라는 여성스런 이름을 한 남자라고 생각하고 있었을까? 싶었는데 9p에 에리카가 깨어나는 모습을 그 라고 지칭이 되어있어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지금보니 표지도 여성이지 말입니다!ㅎㅎㅎ
작가님의 이름을 처음보고 여성 작가님이신가?하며 검색했던 어제의 저와 같은 놀램이였습니다ㅎㅎ

해도연
첫 장면에서의 '그'는 성별을 특정하지 않는 인칭 대명사로 썼습니다. 요즘엔 성별을 가리지 않고 '그'를 쓰는 일이 많아지고 있지요. 에리카 자신도 독자도, 캡슐 안에 있는 게 누구인지, 남성인지 여성인지도 모를 거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했고, 이후에 에리카가 적어도 외관은 여성이는 게 명백해졌을 때부터는 '그녀'를 썼습니다. 사실 '그녀'라는 표현 자체를 쓰지 않으려고 했는데, 사회적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그'만 쓰면 이야기 끝까지 남자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 것 같아서 '그녀'를 조금씩 쓰기로 했습니다.

물고기먹이
앗 오타발견이욥 '떼' '때' ㅎㅎ


해도연
엇, 감사합니다!

왕모루
저도 깨어났을 때 기억을 못 해서 탐험을 통해 세계를 파악하는 측면에서는 무척 좋았다고 생각합니다만, 사람들을 깨우는 역할을 맡은 사람치고는 너무 일반인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도연
저는 오히려 숲 속 폐허를 복원해가며 살아간다는 점에서 비범한 인간이라고 생각을 했어요. 생존과 도구의 제작, 건물의 복구 역시 제법 복합적인 기술이지만, 무엇보다 모든 것이 철저하게 원점 그 이하로 돌아가버린 상황 속에서 스스 로 명확한 목적을 정의/발견하고 그걸 달성하기 위해 주저 없는 노력을 꾸준히 이어간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습니다. 이 정도의 동기부여 능력과 행동력이 있기에, 그 특별한 임무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건 어떻게 보면 인간 개인보다는 인류 전체의 특성과 어울리는 것기도 하겠고요.
만렙토끼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누구나 할 수 없는 그 부분들이 꽤 매력적인 요소 였다고 생각합니다ㅎㅎ

해도연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누구나 할 수 없는 것이 사실 제일 어렵지요. 배우기도 쉽지 않고, 배운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만렙토끼
오 저도 깨어났을 때 기억을 못하는게 꼭 게임의 시작 같기도 했어요, 저는 특별하다기 보단 일반인 같은 부분이 오히려 더 마음에 들었던 것 같아요.

반디
[질문이어요^^]
우리는 배드 피플일까요? 우리는 투리일까요?

해도연
배드 피플과 투리 모두 우리 인간에서 (어떤 형태로든) 갈라져 나온 것이니 우리 자신이라기보다는 우리의 '흔적'에 가깝겠지요..! 어떤 흔적을 남길지는 결국 우리 하기 나름이겠고요.

반디
작가님의 의견에도 충분히 공감합니다.
더불어 저는 배드 피플과 투리 모두 우리라고 생각합니다.
배드 피플이 보여주는 모습(스포가 되니 생략할게요)과
투리가 보여주는 모습(자손을 남기고자 하고, 흔적을 남기고자 하는 등) 모두 우리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니까요.
만렙토끼
현대 사회를 생각해 보면 배드 피플의 비중이 더 많은 것 같긴해요, 밈으로도 유명한 인간이 미안해가 생각나네요

반디
저도요~~~
스스로 배드피플이 되지 않기 위해 애써야겠다는 다짐만 하고 있답니다.

Alice2023
두려움과는 달랐다.
두려움은 적어도 그 감정을 투사할 대상이라도 있었다.
『라스트 사피엔스』 해도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혼자 남겨진 에리카가 야생동물에 대한 두려움은 있지만
정말 혼자라는 사실을 깨달았을때의 그 고독함을
저는 상상도 할 수 없어서인지 더 궁금하고 막막하게 느껴지네요.
차라리 누군가와 함께 있으면서 적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이 나을까요.
켄티펀트 전까지 읽었는데 에리카가 어떻게 살아갈지 궁금하네요.
오랜만에 무인도에 남겨졌던 톰행크스의 영화도 생각나구요. ^^

해도연
<로빈슨 크루소>와 <캐스트 어웨이>는 명작이지요. (특히 <캐스트 어웨이>에서 배구공 하나로 관객의 눈물 을 뽑아바리는 연출은 정말...) 이 두 이야기와 비교하자면 에리카는 바다라는 공간보다는 2만 5천 년이라는 시간 속에 고립된 것에 가깝지요. 그런 의미에서 <로빈슨 크루소>와 <캐스트 어웨이>와 모티프는 제법 비슷합니다. 하지만 조금 다른 방식과 메시지로 풀어나가고 싶었고요.

Alice2023
인간이 사라진 곳에서
인간의 흔적을 남기는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라스트 사피엔스』 해도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