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할 수 있지만, 누구나 할 수 없는 것이 사실 제일 어렵지요. 배우기도 쉽지 않고, 배운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라스트 사피엔스/도서 증정] 해도연 작가와 함께 하는 독서 모임
D-29

해도연
만렙토끼
오 저도 깨어났을 때 기억을 못하는게 꼭 게임의 시작 같기도 했어요, 저는 특별하다기 보단 일반인 같은 부분이 오히려 더 마음에 들었던 것 같아요.

반디
[질문이어요^^]
우리는 배드 피플일까요? 우리는 투리일까요?

해도연
배드 피플과 투리 모두 우리 인간에서 (어떤 형태로든) 갈라져 나온 것이니 우리 자신이라기보다는 우리의 '흔적'에 가깝겠지요..! 어떤 흔적을 남길지는 결국 우리 하기 나름이겠고요.

반디
작가님의 의견에도 충분히 공감합니다.
더불어 저는 배드 피플과 투리 모두 우리라고 생각합니다.
배드 피플이 보여주는 모습(스포가 되니 생략할게요)과
투리가 보여주는 모습(자손을 남기고자 하고, 흔적을 남기고자 하는 등) 모두 우리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니까요.
만렙토끼
현대 사회를 생각해 보면 배드 피플의 비중이 더 많은 것 같긴해요, 밈으로도 유명한 인간이 미안해가 생각나네요

반디
저도요~~~
스스로 배드피플이 되지 않기 위해 애써야겠다는 다짐만 하고 있답니다.

Alice2023
두려움과는 달랐다.
두려움은 적어도 그 감정을 투사할 대상이라도 있었다.
『라스트 사피엔스』 해도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혼자 남겨진 에리카가 야생동물에 대한 두려움은 있지만
정말 혼자라는 사실을 깨달았을때의 그 고독함을
저는 상상도 할 수 없어서인지 더 궁금하고 막막하게 느껴지네요.
차라리 누군가와 함께 있으면서 적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이 나을까요.
켄티펀트 전까지 읽었는데 에리카가 어떻게 살아갈지 궁금하네요.
오랜만에 무인도에 남겨졌던 톰행크스의 영화도 생각나구요. ^^

해도연
<로빈슨 크루소>와 <캐스트 어웨이>는 명작이지요. (특히 <캐스트 어웨이>에서 배구공 하나로 관객의 눈물을 뽑아바리는 연출은 정말...) 이 두 이야기와 비교하자면 에리카는 바다라는 공간보다는 2만 5천 년이라는 시간 속에 고립된 것에 가깝지요. 그런 의미에서 <로빈슨 크루소>와 <캐스트 어웨이>와 모티프는 제법 비슷합니다. 하지만 조금 다른 방식과 메시지로 풀어나가고 싶었고요.

Alice2023
인간이 사라진 곳에서
인간의 흔적을 남기는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라스트 사피엔스』 해도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왕모루
아직 읽고 계신 분들이 계실까 하여 질문을 남길까 고민하다가 질문을 드립니다. (스포성 질문)
책을 다 읽고 여운이 계속 남아서 곱씹다 보니 결국 모든 일의 발단이 다 같이 깨어나지 않아서 생겼던 것이 원인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프로그래밍 쪽 일을 하는 사람이다보니 일의 종료 조건에 대해서 항상 고민을 합니다. 어쩌면 가장 큰 목표인 동면의 종료 조건이 이렇게 허술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 안타깝고 준비 과정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패신저스 같은 영화를 봐도 목표지 도착 직전에 모두가 동면에서 깨어나는 장면이 인상적었습니다, 그랬기에 깨어난 사람들은 어째서 동면 중인 사람들에게 대해서 그렇게 오랜 시간 동안 알지 못했나 하는 답답함이 있습니다. 그랬기에 더 여운이 남았을 수 있습니다만 이유에 대해 언급이 전혀 없는 것이 궁금합니다. 해피엔딩(?)이긴 하지만 같은 일이 또 반복되었기에 더 안타까움을 줍니다.

해도연
사실 가장 고민했던 부분이기도 합니다. 어떤 일이 실패할 정당성을 만들다보면, 왜 이걸 미리 막지 못할까? 라는 생각이 드니까요. 그렇다고 예상 가능한 실수의 여지를 모두 막다보면 실패를 일으켜 이야기를 시작할 방법이 없어지고요. 그래서 일단 생각했던 건 '동면이 1만 년 이상 이어질 거라고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1만 년 정도 지났을 즈음엔 방주의 내구성에도 문제가 누적되어 자유로운 조작이 어렵다', '1만 년 즈음에 깨어난 사람들은 아직 잠들어 있는 깨우는 자들을 일부러 깨우지는 못했고, 대신 일종의 역사적 유물로 보존했다' 입니다. 아마 1만 년 즈음에 깨어난 사람들 사이에서도 이후 방주를 어떻게 처리할지, 아직 남아있는 깨우는 자들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이런 저런 논쟁을 하지 않았을까합니다. 그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 생각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네요.

물고기먹이
느린거북이처럼 50페이지 연장하며 읽고 있습니다ㅎ
Q. 110p까지 읽고 있는데요. 작가님 글을 읽다보면 '심연'이라는 단어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이 단어를 자주 사용하시는 이유가 무엇인지? 작가님 본인의 심연을 바라보기 위 해 노력하시는 분이신지? 살짝콩 궁금합니다!
45p 이 깊은 심연 속에서 손을 내밀어 붙잡아주는 구원의 손길처럼 느껴졌다.
48p 완벽하게 정제된 형태를 유지하며 별들 사이의 심연속에서 타오르고 있었다.
109p 검은 심연 속에서 찬란하게 빛나는 별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110p 이제껏 상상하지 못했던 아찔한 심연과 그 속을 유영하는 끝없는 별빛들.

해도연
우주 이야기를 좋아하다보니 심연이라는 말을 자주 쓰네요. 심연이라는 단어 자체가 마치 하나의 장르적 클리셰처럼 느껴지기도 하고요. 우주에서 느끼는 두려움을 보여주는데 심연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으면 좀 섭섭하지.. 같은 느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만렙토끼
오 심연이 이렇게 자주 나온다고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꼼꼼히 읽으시는게 대단합니다! 저도 다음에는 신경써서 봐야겠어요ㅎㅎ

물고기먹이
Q. 연도가 계속 언급되어서 급 궁금해졌는데요 설정을 왜 25000년이라고 설정하신 이유가 좀 궁금합니다! (살짝 노아의 방주 성경책을 펼쳐봐야하나ㅋㅋㅋ했어요)

해도연
지구 자전축의 세차운동 주기가 약 2만 7천 년 정도됩니다. 그래서 서력을 기준으로 지구가 고개를 한 번 까딱하는 정도의 시간이 지난 거죠. 사실 지질학적으로 보면 그리 긴 시간은 아니지요. 그래서 지구 입장에서 보면 짧지만, 인간 입장에서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으로 설정했습니다.
만렙토끼
지구의 입장에서는 이 주기가 짧다는게 다시 한 번 우리가 정말 작은 점에 불과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도연
인류의 역사 기록은 길게 잡아도 2만 년 정도 거슬러 올라가는데, 공룡이 살았던 시기 중에서도 일부에 불과한 쥐리가만 해도 5천만 년이 넘으니까요. 인간 문명은 아직 지구에 등장한 직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