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

D-29
It is my pleasure.
@향팔 @청사죽백 하하하! 저도 청사죽백 님 코멘트 보고서 웃었어요. 청사죽백 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드라이하게 설명하고 링크 주시는데 왜 이렇게 웃기죠. 츤드레 스타일? :)
Be laconic?
맞아요, 링크 툭! 츤데레 선생님~
Because factual errors are not matters of personal relationships.
아하하 YG님 표현이 딱이네요.. 만화나 영화에서 많이 봤던 츤데레 스타일이 덧글로도 접하게 되네요.^^
어제 서문에서 저자가 냉전의 종식이 1990년으로 보고 있고, 그 이후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냉전시대 특징이던 지구적 차원의 이념과 경제 경쟁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라고 했는데요. 그런의미에서 탄생은 2차세계대전 이후가 아닌가요? . 그 전에는 파시즘도 있고 군주정도 있고.. 제국도 있고 다양한 정치형태가 섞여있어 보이는데.. 이념의 탄생이지 냉전시대의 탄생이 맞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탄생의 배경정도가 적당해 보이는데.. 왜 굳이 100년이라고 하는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더군다나, 2차세계대전은 어찌되었든 소련이 연합군 승전국이 되는 결과이고요.
총력전이 낳은 신체적 결과보다 더 나쁜 것은 심리적 결과였다. 전 세대의 유럽인이 이웃을 죽이고 파괴하고 증오하는 것이 삶의 평범하고 일상적인 측면이라고 배웠고, 19세기의 도덕적 확실성은 공허한 문구에 지나지 않았음을 깨달았다. 그들은 승자도 고귀한 목적도 없는 전쟁으로 그들을 끌고 간 기존 질서를 불신하는 법을 배웠다.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독일 의회에서 사회주의자로 유일하게 전쟁에 반대표를 던진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용감히 주장했다. “휘말린 어떤 민족도 바라지 않은 이 전쟁은 독일인이나 다른 어떤 국민을 위해 시작되지 않았다. 이것은 제국주의 전쟁, 즉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이익을 위해, 자본주의가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중요한 식민지를 정치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전쟁이다.”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대전쟁(제1차 세계대전)은 미래 냉전에서 두 초강대국의 운명을 촉발했다. 대전쟁을 계기로 미국은 자본주의의 세계 전형이 되었고, 러시아는 소련으로 변신해서 자본주의 세계의 영원한 적수가 되었다. 따라서 이 전쟁이 낳은 결과는 하나의 국제체계로서의 냉전을 예시했다. 많은 일이 벌어지고 나서야 20세기 말의 완전한 양극화가 나타나긴 했지만 말이다.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화제로 지정된 대화
6월 6일 현충일에는 2장 '전쟁의 시험대'를 읽습니다. 2장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냉전의 형성에 어떻게 결정적 역할을 했는지 살피는 장입니다. 특히, 전쟁을 통해서 소련이 부상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그리고 전후 미국(과 영국)이 소련을 어떻게 견제하면서 새로운 국제 정치의 틀을 짜려 했는지 또 이에 대응해서 소련(스탈린)은 어떻게 대응했는지 등을 살피면서 그 과정에서 우연과 필연이 교직하면서 전후 냉전이 등장하게 된 과정을 설명합니다. 그러고 보니, 6월에 『냉전』을 함께 읽기로 한 것도 (지금 생각해 보니) 절묘한 선택이었네요.
스탈인→스탈린.
좀전에 현충일 추념식 보면서 <냉전>을 마침 읽는 게 현재를 읽는 거구나 생각했어요. 정말 우연은 비껴가지 않는가 봐요~
저도 오늘 현충일 추념식과 어제 채상병 특검법 통과 현장 영상을 잠깐 봤는데 가슴이 뭉클해졌어요. 6월과 어울리는 책을 골라주신 @YG 님께 감사 인사를…
저도 안그래도 어제 현충일 태극기들 보면서.. 우와 YG님의 빅픽쳐!라고 소름이 돋았다는 ㅋㅋㅋ
히틀러는 먼저 오스트리아를 집어삼킨(1938년) 뒤 체코슬로바키아 서부를 차지했다(1939년 초). 영국, 프랑스, 미국은 히틀러를 전혀 저지하지 않았다. 3개국 지도자는 히틀러의 영토 요구가 충족되기를 희망했고, 그중 일부는 독소전쟁이 이어지기를 기대했다. 영국의 많은 보수당원은 두 독재 정권이 서로 산산조각 낼 것이라는 전망에 아무 불만이 없었다. 본능적인 반공주의자임에도, 프랑스와 영국과 소련이 힘을 합쳐야만 히틀러의 팽창을 막을 수 있음을 일찍부터 깨달은 윈스턴 처칠 같은 부류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이는 거의 없었다. 서구 열강과 집단안보 협정을 교섭하려 한 스탈린의 필사적인 시도는 무위로 돌아갔다.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영국 수상 체임벌린이 히틀러에게 체코를 넘겨주는 협정을 체결하고 돌아오는 길에 그 협정문을 팔락팔락 흔들면서 “우리 시대의 평화”를 외쳤던가요? 정작 당사자인 체코 대통령은 회의장에 들어갈 자리도 없었다고 하던데요. (맞는 얘긴지 모르겠어요 또 무슨 유툽 채널에서 주워들은 기억이.. 사실이라면 참 남의 일 같지 않고 동병상련이 느껴집니다.)
체코 2회: 1)→당시에는 체스코슬로벤스코(체코슬로바키아). 2)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Czechoslovakia#See_also 참조.
아, 뮌헨 협정! @청사죽백 님께서 주신 위키 링크와 몇 가지 더 찾아봤는데 체코슬로바키아(당시에는 그냥 체코 아님!) 대표들은 회담장에 못 들어간 게 맞고 옆방에서 피마르게 대기타고 있었다고… 청사죽백 님 덕분에 한번 생각하고 말 것을 두번 더 생각하게 됩니다. 저를 공부하게 만들고 계셔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