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

D-29
좀전에 현충일 추념식 보면서 <냉전>을 마침 읽는 게 현재를 읽는 거구나 생각했어요. 정말 우연은 비껴가지 않는가 봐요~
저도 오늘 현충일 추념식과 어제 채상병 특검법 통과 현장 영상을 잠깐 봤는데 가슴이 뭉클해졌어요. 6월과 어울리는 책을 골라주신 @YG 님께 감사 인사를…
저도 안그래도 어제 현충일 태극기들 보면서.. 우와 YG님의 빅픽쳐!라고 소름이 돋았다는 ㅋㅋㅋ
히틀러는 먼저 오스트리아를 집어삼킨(1938년) 뒤 체코슬로바키아 서부를 차지했다(1939년 초). 영국, 프랑스, 미국은 히틀러를 전혀 저지하지 않았다. 3개국 지도자는 히틀러의 영토 요구가 충족되기를 희망했고, 그중 일부는 독소전쟁이 이어지기를 기대했다. 영국의 많은 보수당원은 두 독재 정권이 서로 산산조각 낼 것이라는 전망에 아무 불만이 없었다. 본능적인 반공주의자임에도, 프랑스와 영국과 소련이 힘을 합쳐야만 히틀러의 팽창을 막을 수 있음을 일찍부터 깨달은 윈스턴 처칠 같은 부류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이는 거의 없었다. 서구 열강과 집단안보 협정을 교섭하려 한 스탈린의 필사적인 시도는 무위로 돌아갔다.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영국 수상 체임벌린이 히틀러에게 체코를 넘겨주는 협정을 체결하고 돌아오는 길에 그 협정문을 팔락팔락 흔들면서 “우리 시대의 평화”를 외쳤던가요? 정작 당사자인 체코 대통령은 회의장에 들어갈 자리도 없었다고 하던데요. (맞는 얘긴지 모르겠어요 또 무슨 유툽 채널에서 주워들은 기억이.. 사실이라면 참 남의 일 같지 않고 동병상련이 느껴집니다.)
체코 2회: 1)→당시에는 체스코슬로벤스코(체코슬로바키아). 2)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Czechoslovakia#See_also 참조.
아, 뮌헨 협정! @청사죽백 님께서 주신 위키 링크와 몇 가지 더 찾아봤는데 체코슬로바키아(당시에는 그냥 체코 아님!) 대표들은 회담장에 못 들어간 게 맞고 옆방에서 피마르게 대기타고 있었다고… 청사죽백 님 덕분에 한번 생각하고 말 것을 두번 더 생각하게 됩니다. 저를 공부하게 만들고 계셔요.
오오 진짜 팍 와닿는데요... 갑자기 향팔님이 보신 유튜브 채널이 궁금해지네요. 제가 몰라서 그렇지 참 재미있는 역사 채널이 많나봅니다.
저도 어디서 본 건지 잘 모르겠어요. 주로 고양이화장실 치울 때나 라면 끓일 때, 설거지 할 때, 빨래 널 때 아무거나 나오는 대로 틀어둬서요. 아마 역전다방, 역사를보다, 토크멘터리전쟁사 중의 하나일 것 같습니다.
1930년대 영국과 프랑스, 미국은 전쟁보다 복지에 더 많은 관심을 쏟았다. 3개국 지도자는 대공황의 파국적인 사회적 결과를 누그러뜨리지 않는다면 자국 정치 체계가 내부에서 위협받을 것임을 깨달았다. 러시아, 독일, 이탈리아와 에스파냐에서 권력을 잡은 것과 같은 유형의 세력이 주요한 위협이었다.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읽기표대로 오늘 1장을 읽었습니다. 1차대전이 불러온 소련의 탄생으로 서구 열강들이 느낀 공포, 상대방을 향한 증오와 적대의 씨앗이 어떻게 뿌려졌는지 볼 수 있어서 ‘출발점들’이라는 제목에 잘 맞는 장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밖에도 미국의 부상, 대공황의 영향, 파시즘과 나치즘의 등장, 스탈린 체제의 테러, 2차대전 발발 등 많은 내용이 압축 정리되어 있어서 읽는 재미는 쏠쏠한데 머리통이 다소 지끈..
'열강들': 1)→'강대국들' 또는 '열강'. 2) 列은 복수형이라는 의미를 지니므로, '열강들' 은 '역전 앞' 처럼 부정확함.
하하 예전에 학교 다닐 때 매주 페이퍼를 한 장씩 제출하면 빨간펜으로 코멘트를 달아서 돌려주시던 교수님이 계셨는데 그분을 다시 뵌 것 같습니다. 무심코 쓰는 표현들이 부정확한 게 많은데, 모르고 넘어가면 다음에 그걸 또 쓰게 되겠죠. 앞으로도 가차없는 빨간펜 부탁드립니다.
To err is human, but to persist in the errors is diabolical.
앗 맞아요. 저도 영어선생님이 에세이 제출하면 빨간펜으로 가득 채워서 돌려주시던 거 생각나요..ㅎㅎㅎ 근데 당시 영어는 많이 교정해주셔서 그나마 좀 나아졌는데 한국어는 에세이를 쓴 경험(교정받은 경험도)이 없어서 그런지..자꾸 못 고치네요..;; 많은 지도 부탁드립니다!
그쵸.. 전 고등학교 들어가서부터 본격적으로 현대사를 배우게 되었는데 그 전 역사까지는 그래도 이름이나 연도 등 자잘한 걸 외울 만하던데 19세기말~20세기로 넘어오면서 정말 대대적인 폭격을 맞는 것처럼 동시다발로 너무 많은 일들이 얽히고설켜 있어서 자잘한 걸 외우긴 커녕 큰 맥락도 간추리기 힘들었던 느낌이에요;; 다행히 저희 선생님은 항상 역사시험을 오픈북 에세이형식으로 내서 외울 필요는 전혀 없긴 했지만;; 만약 제가 암기를 엄청 시키는 한국에서 역사를 배웠으면 정말 힘들었을 것 같아요;;
1차 냉전 전문 YouTube 채널 1개 소개: https://www.youtube.com/@TheColdWarTV
오드 아르네 베스타가 진행하였던 1차 냉전의 역사 관련 강연들의 동영상들: https://www.youtube.com/watch?v=i8CfvI2fxk4 https://www.youtube.com/watch?v=gVyaAtLkpJo https://www.youtube.com/watch?v=DzD3PUtgGAA
오드 아르네 베스타 관련 인터넷 웹사이트들: http://oaw.cn https://jackson.yale.edu/person/arne-westad
냉전의 지구적 전개 관련 참조 권장 한국어 단행본 서적들 2종을 제시합니다.
냉전의 지구사 - 미국과 소련 그리고 제3세계옥스퍼드대학교의 고전학자 재스퍼 그리핀은 "우리가 역사를 들여다보는 데에는 두 가지 동기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하나는 과거를 알기 위한 호기심, 또 다른 동기는 현재를 이해하려는 희망이다. 이 책은 오늘날의 세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기 위한 글이다.
냉전이란 무엇인가 - 극단의 시대 1945~199120세기 후반 전 세계를 아우르는 복잡하고 숨가쁜 역사를 ‘냉전’이라는 핵심적인 키워드를 통해 간결하게 정리하고 있는 책이다. 지은이 베른트 슈퇴버는 냉전이 이른바 중심부의 정치적 군사적 대립의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왔음을 지적하고 시선을 다른 쪽으로 돌려 탐구하고 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