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팔, @YG 님 정말 열심이시네요. 지금 오전 10시도 안된 시각인데. 이건 거의 주경조독인데요? 아침 조자 써서. ㅎㅎ 보기 좋아 저도 이 시각 댓글 남겨 봅니다.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이번 한 주도 쉬엄쉬엄 즐겁게 책 읽으십시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
D-29

stella15

향팔
@stella15 님, 잘 지내시죠? 하하 그저 독서가 피서이자 도피처려니 생각하고 있습니다. 무더위에 건강 조심하세요.

향팔
“ 루뭄바는 서방의 정책을 비난했다. “우리는 서방이 어떤 목적을 추구하는지 압니다. 어제 그들은 우리를 부족과 씨족, 마을 차원에서 갈라놓았습니다. 아프리카가 스스로 해방된 오늘 그들은 우리를 국가 차원에서 나누려 합니다. 그들은 적대 세력과 위성국가를 만들고자 하며, 그런 냉전 단계에서 시작해서 그들의 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해 분열을 심화합니다.” 하지만 소련에 지원 — 킨샤사에 느릿느릿 도착했다 — 을 호소한 것은 루뭄바의 파멸을 자초했다. ”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문장모음 보기

향팔
제3세계 는 한순간이었다. 반둥에서 15년 뒤, 점점 더 많은 신생국은 어느 한쪽의 초강대국과 탄탄히 연계하지 않고서는 버티기가 어렵다고 느꼈다.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문장모음 보기

향팔
저도 한권… 중동이 왜 이 지경이 되었나 궁금할 때 읽었던 책인데요, 복잡한 중동 현대사의 기원과 주요 장면들을 짚어주는 입문서입니다. 읽기 어렵지 않아서 더 좋아요.

중동은 왜 싸우는가? - 정체성의 투쟁, 중동사 21장면이스라엘 대 팔레스타인,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수니파와 시아파, 왕정국가·국민국가, 이슬람 원리주의자와 세속주의자, 여기에 덧붙여 중동 지역 내 여러 민족들 간의 정체성 충돌까지…. 저자는 150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이 같은 정체성들이 서로 다투고 갈등해온 21가지 장면들을 상세히 풀어낸다.
책장 바로가기

YG
냉전기 소련 내부의 사정을 독특하게 그린 스릴러 소설도 소개합니다. 소련의 정보기관 요원 레오 데미도프의 활약을 따라서 1953년(1부), 1956년(2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3부)를 소련 내부를 배경으로 그린 세 편의 소설입니다.
Child 44(2008), The Secret Speech(2009), Agent 6(2012). 이렇게 세 작품이 나왔고 국내에서는 『차일드 44』 세 권으로 나왔어요. Child 44는 스릴러 소설치고는 드물게 부커상 후보로도 올라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무오류의 사회주의 국가에서 연쇄 살인 사건은 없어야 한다는 스탈린 말기 소련에서 연쇄 살인 사건을 맞닥뜨린 레오 데미도프의 첫 번째 이야기부터, 니키타 흐르쇼프의 스탈린 비판, 이른바 The Secret Speech 이후 소련의 혼란상을 그린 두 번째 이야기, 1960년대 냉전기 미국과 소련의 민간 외교부터 1980년대 아프가니스탄-소련 전쟁까지를 그린 세 번째 이야기까지 냉전기 소련 내부의 평범한(?) 시민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수작입니다. 추천합니다!

차일드 44 - 1 - 차일드 44전 세계 36개국 출간, 400만 부가 넘게 팔린 <차일드 44> 3부작. 철저한 감시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벌어진 44명의 연쇄 살인 사건을 파헤치게 된 한 남자의 길고 외로운 싸움을 담은 작품으로,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CWA 대거 상 수상, 맨 부커 상 후보 등 7개의 국제 문학상을 수상했다.

차일드 44 - 2 - 시크릿 스피치전 세계 36개국 출간, 400만 부가 넘게 팔린 <차일드 44> 3부작. 철저한 감시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벌어진 44명의 연쇄 살인 사건을 파헤치게 된 한 남자의 길고 외로운 싸움을 담은 작품으로,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CWA 대거 상 수상, 맨 부커 상 후보 등 7개의 국제 문학상을 수상했다.

차일드 44 - 3 - 에이전트 6전 세계 36개국 출간, 400만 부가 넘게 팔린 <차일드 44> 3부작. 철저한 감시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벌어진 44명의 연쇄 살인 사건을 파헤치게 된 한 남자의 길고 외로운 싸움을 담은 작품으로,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CWA 대거 상 수상, 맨 부커 상 후보 등 7개의 국제 문학상을 수상했다.
책장 바로가기

향팔
오, 스릴러도 좋아하고 연쇄살인스토리도 좋아하고(?) 역사도 좋아하는 저 같은 사람한테 아주 완벽한 책이겠어요!

YG
@향팔 님, 지금 3개월째 독서 모임 함께 한 감으로 취향에 맞으실 거라 확신!

꽃의요정
어머나, 이 책이 3권짜리였군요. 저희집에 있는 건 1권이네요. 예전에 지하1층 재활용 쓰레기장에서 주워 왔는데, 언젠가 읽을 날이 오겠죠!! 영화만 봤어요.
aida
“ 거대한 군사 기구와 대규모 무기 산업의 이러한 결합은 미국 역사에서 새로운 현상입니다(…..) 우리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군산복합체가 부당한 영향을 확보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아이젠하워 고별사) ”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문장모음 보기
aida
핵무기가 이때쯤 4만개로 늘었다고 책에 나왔는데.. 서치를 좀 하면 2만여개인듯하면.. 여튼 많네요.
10년동안 소련이 얼마나 있는지 잘 몰라서 그랬는지 정말 엄청하게 늘었네요.. 전쟁이 있고, 긴장관계가 많아야 돈 버는 기업들이 마구 팽창한 시기인 거군요.

YG
@aida 오죽하면 전직 장성 출신이 고별사로 이런 경고를 했겠어요. 혹시 올리버 스톤 감독의 <JFK>(1991) 영화 보신 적 있으실까요? 이 영화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을 음모론의 시각에서 보는데. 이 영화의 첫 장면에서 아이젠하워가 이 연설을 하는 모습이 나옵니다. (제 기억력이 맞다면.)

JFK1963년 12월 22일 텍사스에서 케네디 저격사건이 일어난다. 범인으로 체포된 오스왈드는 계속 저격 사실을 부인 하다가 경찰에 호송되던 중에 암살당한다. 이후 사건의 수사를 위해 진상조사 위원회가 열리고 오스왈드의 단독범행으로 결론이 내려진다. 그러나 수사방법에 의문을 제시한 많은 사람들 중의 한 명인 지방검사 짐 개리슨(케빈 코스트너)은 각고의 노력을 거듭해 많은 증거를 확보하는데...
책장 바로가기
aida
으어 당연히 봤죠!!! 하지만 너무 오래되어.. 기억이 가물이네요.. ㅎㅎ 다시 봐야 겠네요.. 젊은 케빈 코스트너도 보고 ㅋ

YG
저는 케빈 코스트너(1955년생) 좋아했는데, 21세기에도 계속 활동도 하고 흥행도 하지만 젊었을 때 만큼의 존재감이 없어서 아쉬운 배우입니다. 저는 코스트너가 클린턴 이스트우드(1930년생)처럼 늙어갈 줄 알았거든요. 새삼 찾아보니 코스트너는 올해 만 70. 이스트우드는 올해 만 95세네요!!!
aida
70!! 나이는 공평하죠.. 그만큼 우리도 같이 늙어 가니까요;;; (얼마전 미션 임파서블 보러 갔는데... 이젠 정말 마지막편이어야만 하겠더라구요.. ㅎ)
aida
이것도 다시 보면 다르게 보이려나요! 재미있게 봤었지만.. 소련의 입장은 잘 안나왔던 것 같기도 하고.

D-131962년 10월 16일, 쿠바 상공을 비행하던 미국의 U-2정찰기에 소련이 쿠바에 미사일을 수송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된다. 이것은 워싱턴을 포함한 미국의 남서부를 단 5초 안에 초토화시킬 수 있는 중거리 핵탄두 미사일. 존 F. 케네디 대통령(브루스 그린우드)은 '쿠바를 해상 격리 조치(봉쇄)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한다. 이제 13일 동안 일촉즉발의 위기가 시작된다.
책장 바로가기
aida
“ 빌리 브란트는 장벽을 따라 확성기를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그 확성기에서 다음과 같은 말이 반복해서 나왔다. “독일에서 독일로 가려는 사람을 사살하는 것은 누구든 살인을 범한 것입니다. 어느 날 책임이 추궁될 때 지시에 따라 행동했다고 주장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명령에 따라 행동했다 하더라도 살인은 살인입니다.” ”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문장모음 보기
aida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것 만 여러번 보았지 어떻게 세워진 것인지는 몰라서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케네디에게는 무력 충돌 대신 장벽이 유럽의 균형인 셈이 되었군요.
이 와중에도 같은 (동독) 독일인에게 하는 빌리 브란트의 말이 적절한 경종이 됩니다..
aida
“ 베를린 위기는 유럽 냉전이 뚜렷이 안정화되었다는 의미에서, 쿠바 위기는 미국과 소련 둘 다 일정한 형태의 데탕트가 필요 하다고, 또는 적어도 장래에 극단적인 핵 위기를 피해야 한다고 보았다는 의미에서 분수령이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1960년대 초에는 반드시 그렇게 여겨지지 않았다. 냉전이 계속되었고, 언제든 새로운 위기가 생길수 있었다. 다만 유럽이 아니라 제3세계에서 그런 위기가 벌어질 가능성이 놓아졌을 뿐이다. ”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문장모음 보기

향팔
@YG 7월부터는 <월간 강양구> 줌 강연 시 간이 월요일 저녁으로 변경되네요. 저 개인적으론 화요일엔 다른 읽기 세미나랑 겹치는 경우가 있어서 바뀐 요일이 더 좋아요. 이번달 강연(6/24 화 19시) 주제는 “본성과 양육, 이기적 유전자가 말하지 않은 진실”이라… 벽돌 책 5월 독서와도 연결되는 테마라 몹시 기대됩니다. 지난달에는 강연에 못 들어가서 아쉬웠는데, 이번달엔 꼭 참석할게요. (어머니의 탄생은 현재 22장 ‘인간의 결속에 대하여’를 읽는 중입니다. 저는 이 챕터가 제일 맘에 들어요! 내일이나 모레까진 책을 다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료증 받은 값을 이제서야 하겠네요 하하)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4160&page=
월간 강양구 <우리시대 과학 읽기> 2분기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4243&page=1&s_cate=
월간 강양구 <우리시대 과학 읽기> 3분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