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전 지구적 임무 가운데 하나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실행하는 다른 나라의 능력을 점차 높이는 것이었다. 이런 사명을 위해 윌슨은 뚜렷한 '인종적 위계'를 두고 사고 했다. 미국 백인과 서유럽인은 이미 이 임무를 맡기에 적합했다. 중앙,동부, 남부 유럽인은 이에 대비해야 했다. 라틴아메리카인과 아시아인, 아프리카인은 스스로 문제를 책임질 수 있을 때까지 지도나 신탁통치를 통해 계몽되고 교육되어야 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얼마나 제한적인 외침이었는지, 1919년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피식민지배인들은 알지 못했다는 것. 3월 1일의 밤에서 언급한 내용이 생각납니다. 조금 오바하면, 윌슨도 결국 인종을 차별했다는 점에서는 히틀러와 다를 바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인종적 위계'라... 얼마나 폭력적인 생각입니까... 다만 표현하는 방식과 강도가 달랐으니 망정이지요... ”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pp.40-41.,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유강은 옮김, 옥창준 해제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