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이제 14장을 읽었습니다. 진도에 맞추지 못하고 1장씩 뒤쳐지는데, 이번 주말에 따라잡을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ㅎㅎ
이번 장은 브레즈네프 시대라는 제목이었지만, 저는 데탕트의 시작이라고 읽었습니다. 제가 인상적으로 보았던 내용을 순차적으로 적어보면, 먼저 소련과 미국은 정말 표현과 방식만 달랐지 똑 같은 조폭 두목 놀이를 하고 있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체코슬라바키아가 조직(바르샤바 조약기구)을 탈퇴하려고 하자, '음. 그건 안돼. 들어올때는 너희 맘대로 할 수 있지만, 나가는 건 아니야.. '식의 기강(?)을 잡는 폭력을 행사했던 것이 잘 나타낸다고 생각합니다. 맘에 안드는 국가가 나타나면 패거리(헝가리, 폴란드, 불가리아)와 연합해 혼내주고 맘에 안드는 둡체크 변방으로 쫒아내고 꼭두각시 구스타프 후사크 세워 지역관리 하는... 이건 정말 조폭영화와 너무 유사하지 않습니까? 이전 장에서 보았던 미국이 남미 여러 나라들에서 했던 만행과 어찌 그리 닮았는지...
한가지 더 미국과 소련의 행태 중 조폭프레임으로 이해했던 것은, 미국의 베트남전과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대해 양국은 침묵(또는 매우 소극적 대응)을 지켰다는 것입니다. 서로 각자의 나와바리는 건드리지 말자인가요?
아울러 베트남전쟁을 기점으로 미국의 제국주의적 행태에 분노하고 반발하는 양상이 구체화되고 거듭되었는데요. 그렇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자신이 속한 사회(서구 유럽)에서 실질적 민주주의가 부재(평등과 대표성이라는 실현되지 않는 꿈으로 전락되었다는 상실감) 하고 때로는 무기력하다는 성찰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들의 눈에는 미국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가 비록 경제적 성장을 가져왔을지는 몰라도 실질적 민주주의와 평등을 만들어내지는 못했다고 평가하고 했으며, 오히려 점차 증가하는 빈부격차로 인해 민주주의의 핵심가치(자유와 평등)이 훼손되고 있다고 믿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깜짝 놀란 부분은, 1960년대 말 서유럽에서 기존의 질서에 반발하는 사상으로 마오주의가 젊은이들에게 주목을 받았다는 것이었습니다. 문화대혁명의 중심세력이 젊은 세대(홍위병)였다는 것이 공감대를 불러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지금 보면 한숨만 나오는 작태라고 생각합니다.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을 통해 중국의 문화가 얼마나 많은 자국민이 죽었으며(제가 지금 생각나는 것은 4천만으로 기억합니다만..) 중국이 문화적으로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퇴보를 가져오게 했고, 세대간의 불신과 갈등의 골을 깊이 파놓았는지 몰랐을까요? 물론 충분히 사후적인 해석이라는 점이 있지만, 그래도 서유럽의 젊은이들, 특히 네덜란드의 일부 급진파에서 당시에도 매우 문제가 많았던 마오주의가 유행했다는 것이 참..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1960,70년대는 데탕트의 시대인 만큼 빌리브란트를 얘기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이 장에서도 블리 브란트 서독 총리의 자국의 통일을 위해 눈물겨운 노력과 지혜로운 협상이 잘 나타나있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한때 북한과 정상회담도 하면서 한 껏 무르익었던 한반도 평화분위기가 생각났습니다. 독일은 이러한 데당트 분위기에 편승하여 결국 독일 통일을 이루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양국 간 불안한 정전상태를 이어가고 있으니 저같은 민초는 그저 안타까운 마음을 달랠 수 밖에 없네요...
개인적으로 이번 장에 장 주인공은 브레즈네프가 아닌 빌리 브란트라고 생각하여, 1970년 12월 바르샤바를 방문하여 무릎꿇고 나치의 만행을 사과하면서 온 세계에 독일이 전시에 벌인 잔학행위에 가담한 적이 없는 새로운 세대의 한 사람이 이끄는 새로운 독일 정부가 평화를 원한다는 것을 보여줬던 사진을 첨부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