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blog.naver.com/melissa7662/223903673133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
D-29
느티나무

아티초크
인증샷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름 북클럽을 느티나무님과 함께할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읽으면서 인상적인 문장이나 번역가에게 궁금한 점이 생기면 편하게 올려주십시오.

stella15
책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락이 없으셔서 안된 줄 알았는데 막판에 받고보니 기쁨이 두 배네요. 잘 읽겠습니다.^^
https://blog.aladin.co.kr/759471287/16528703


아티초크
알라딘 서재에서 『기억의 유령』을 만나니 더 반갑습니다.^^ 이번 개정증보판의 부록에 수록된 제발트의 글쓰기 어록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글을 쓰는 목적은 이제까지 보이지 않던 것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그 "보이지 않던 것"을 독자인 우리도 발견해야 하니 그 여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발견하는 순간 그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지 않을까요?
내로
감사합니다. 표지부터 마음에 들어요.
https://blog.naver.com/ordinaryman_1/223902736652

아티초크
내로님이 책을 받고 아주 흥미로운 감상을 올려 주셔서 일부를 인용합니다.
"처음 표지를 봤을 때부터 으스스함을 느꼈다. 그를 감싼 초록들이 유령처럼 감시하는 것 같았다. 감시? 제발트는 유령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대리인일까? 아니, 오히려 그 반대일지도. 제발트가 유령을 이용해 무언가를 말하려는지도 몰랐다."
『기억의 유령』은 책 제목에서 본문까지 '유령'이라는 단어가 수없이 등장합니다. 내로님의 말씀처럼 제발트는 유령의 대리인일까요? 아니면 그 반대일까요? 이런 류의 질문들을 하다 보면 "도대체 제발트는 누구지?"라는 질문에 수렴하게 됩니다. 이 의문들은 2주차 북클럽에서 진행할 캐럴 앙지에(제발트의 전기 작가)와의 인터뷰와 『이민자들』에서 많은 부분 해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JINIUS
https://www.instagram.com/dbdb003/p/DLBV0npzH_0aBF34QekepMiX6_u3iJRtheiBsk0/
저도 당첨됐네요! 감사히 잘 읽고 재밌게 참여하겠습니다!!^^


아티초크
JINIUS님 감사합니다. 북클럽의 묘미는 재미이지요. 기억에 남는 문장이나 번역가에게 궁금한 점이 생기면 올려주세요. 함께 생각하고 함께 느끼면 재미가 두 배가 되지 않을까요? ^^
사부작
함께 읽기 하고 싶습니다!

물고기먹이

스마일씨
“ 제발트는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번역가를 이렇게 묘사했다. 그 번역가는 아마도 젊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우연히 번역을 하게 된" 사람일 것이다. 열정이 있고 "지난 세대의 언어를 기억"하고 있으며 양질의 일반 교양 교육을 받은 사람일 것이라고 했다. ”
『기억의 유령 - 폭력의 시대, 불가능의 글쓰기는 어떻게 가능한가』 17, W. G. 제발트 지음, 린 섀런 슈워츠 엮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스마일씨
언어. 제발트는 언어의 힘을 믿었다. 눈에 보이는 것은? 사진은? 그것은 불신의 대상이었다.
『기억의 유령 - 폭력의 시대, 불가능의 글쓰기는 어떻게 가능한가』 20, W. G. 제발트 지음, 린 섀런 슈워츠 엮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스마일씨
“ 제발트는 "문학의 효용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기억을 돕고 어떤 일들은 인과관계의 논리로는 설명되지 않음을 가르쳐주는 것뿐인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했다. "글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지만 문학만이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나 학식을 넘어 회복의 시도를 할 수 있습니다." 그의 회복의 제스처는 슬픔에서 시작되었을 것 같다. 그가 "물론 비종교적인 의미에서 하는 말이지만, 글은 영혼을 구원해야, 아니 최소한 구원하려는 시도여야 한다"라고도 한 것은 그때문이 아닐까. ”
『기억의 유령 - 폭력의 시대, 불가능의 글쓰기는 어떻게 가능한가』 23, W. G. 제발트 지음, 린 섀런 슈워츠 엮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스마일씨
제발트의 소설을 '산문픽션'이라 해야하는 이유와 그의 글 구조가 '다섯눈 모양, 퀸컹크스'라는 역자님의 설명을 읽으니 작품을 같이 읽고 싶네요.

아티초크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자타공인 “유령 사냥꾼”인 제발트의 『기억의 유령』 북클럽을 이끌어 갈 모임지기 문재영입니다. 이번 @모임 참여자를 보니 눈에 익숙한 분도 있고, 처음 만나는 분도 있습니다. 모두 환영합니다. 그리고 잘 부탁드립니다. 이번 1주차 모임은 아래와 같이 진행되며, 읽기 순서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 기간: 6.18(수)~6.27(금)
― 읽기: 옮긴이의 말→서문→부록→사냥꾼→유령 사냥꾼
― 활동: 번역가 Q&A, 문장수집, 자유롭게 이야기 (사진 업로드 가능)
1주차 모임은 제발트의 『기억의 유령』을 읽기 위한 일종의 몸풀기 시간입니다. 그래서 바로 본문으로 들어가지 않고 옮긴이의 말과 엮은이의 서문부터 읽습니다. 이다음에 부록인 버지니아 울프와 프란츠 카프카의 두 단편및 제발트의 글쓰기 어록을 읽고, 마지막으로 본문의 1~2장에 해당하는 「사냥꾼」과 「유령 사냥꾼」을 읽습니다.
이번 모임의 참여자들은 제발트의 작품을 읽은 사람, 읽다가 포기한 사람, 읽지 않은 사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후자의 두 부류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경우가 어떻든지 목표는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도대체 제발트가 누구이길래 그토록 탁월한 작가로 평가받는지 그 이유를 ‘제대로’ 알기 위함일 것입니다.
제발트의 작품을 한 편도 읽지 않은 상태에서 『기억의 유령』 모임이 가능하냐고 물으신다면 편집자로서 제 대답은 ‘예스’입니다. (그럼에도 굳이 한 편만 추천한다면 『이민자들』의 헨리 쎌윈 박사 편입니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속담처럼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다함께 전진하여 봅시다.
오늘은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격한 지 5일째가 되는 날입니다. 만일 제발트가 지금 살아 있다면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제발트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주요 키워드는 홀로코스트, 유대인, 기억입니다. 『기억의 유령』 책 소개에 나와 있는 것처럼 “홀로코스트를 겪은 이상, 예술은 존재할 수 없다는 아도르노의 금언에 배치되는 ‘진정 위대한 작가’로 평가받는 제발트 면모”를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아가 봅시다.
P.S. 그랜트 지 감독의 다큐멘터리 <페이션스(Patience: After Sebald)>(약 90분) 링크를 공유합니다. 제발트의 『토성의 고리』를 읽었거나 읽을 예정인 분들에게 많은 참고가 될 것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t-U5yssqh34
ㅡ
가장 주고 싶은 책
가장 받고 싶은 책
아티초크 출판 & 스토어
Artichoke Publishing House
https://litt.ly/artichokehouse


기억의 유령 - 폭력의 시대, 불가능의 글쓰기는 어떻게 가능한가2001년 유력한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된 W. G. 제발트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자 세계 문학계는 세상에 막 알려지기 시작한 이 “기묘하고 불가해한 작가”의 죽음을 애도했다. 『기억의 유령』은 제발트가 1997년부터 사망하기 한 달 전까지의 심층 인터뷰와 유명 평론가들의 에세이를 엄선한 책이다.
책장 바로가기

Aaaaan
책 잘 받았습니다. 어제 인스타그램에 인증샷 올렸는데 여기 올리는 걸 깜빡했네요 ㅜㅠ https://www.instagram.com/stories/mayo_eggheads/3657007296438729935?utm_source=ig_story_item_share&igsh=b2FhZzhsenhiMWkz

아티초크
책 소식을 인스타그램에서 보니 더 반갑습니다.^^ 이메일도 잘 받았습니다. 『기억의 유령』과 함께 여름 독서 생활이 즐겁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방보름
책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아티초크
방보름님 감사합니다. "유령 사냥꾼" 제발트와 함께 더위를 식혀 볼까요? ^^
사부작
'글 속에서 그 사실을 자주 언급하지 않아도 독자로 하여금 저자가 사실은 오랫동안 이 문제와 씨름했구나 하는 걸 깨닫게 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기억의 유령 - 폭력의 시대, 불가능의 글쓰기는 어떻게 가능한가』 (p.21) , W. G. 제발트 지음, 린 섀런 슈워츠 엮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