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기 시작한 시점이 주식시장의 상승과 맞물려 묘한 느낌을 줍니다.
첫 장에서는 부채 위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부채, 특히 개인 부채 비율이 지나치게 높습니다.
자본주의의 특성상 부채를 통해 성장이 이루어진다고 하지만, 이는 결국 거품을 부풀리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며 그 거품은 언젠가 터질 수밖에 없습니다.
경제 상황을 미시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던 저에게 이 책은 거시적인 관점을 제시해 주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한빛비즈/책 증정] 레이 달리오의 《빅 사이클》 함께 읽어요 (+세계 흐름 읽기)
D-29
좋은세상

한빛비즈
저도 우리 모두 빚지고 살고 있는 거 아녔어, 라고 개개인으로만 생각했지 전체로는 생각해본 적이 없었어요. 이게 결국 어떤 문제를 불러일으킬지도 말이에요! 전세계적인 추세였다고 하니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괜히 두렵기도 하더라고요.ㅎㅎ
만렙토끼
저는 단순하게 집을 누가 현금으로사 다 대출끼고 살지 = 어 모두가 대출이면 이 돈은 어디서 나는거지? 같은 느낌으로 부채를 생각했었는데 읽다보니 좀 무서워지기도 했어요 특히 중앙 은행은 화폐를 발행해 중앙정부를 구제해 위험성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부분이 전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라 더 그랬던 것 같아요 책을 통해 거시적 관점을 배우고 스스로 좋은세상님 처럼 미시적인 관점에서 보는 법도 배워야겠습니다ㅎㅎ
uld
1-3장까지 어찌어찌 읽었습니다. 중요한 부분이 굵게 표시되어 있으니 따라가기가 좀 더 수월했습니다. 굵은 글씨를 먼저 읽고 나머지 부분도 읽으니 확실히 도움이 된 것 같아요. 그런데 108-113쪽은 영 모르겠네요..;;

한빛비즈
우선 레이 달리오가 중요하다고 볼드 처리해놓은 부분 위주로 이해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저도 모르는 부분은 챗GPT에게 초등학생 수준으로 이해시켜달라고도 해봤습니다 하하 :)

바닿늘
보면서 챗Gpt 활용했다고 말해놓고..
은근 혼나면 어쩌나 걱정했는데 다행입니다. 😆
만렙토끼
굵은 글씨를 의도하고 먼저 보지 않으려해도 딱 눈에 잘 들어와서 좋은 것 같아요. 집중해서 보고 다시 읽는 느낌이였달까요?

아베오베
책이 뭐랄까 이미 원칙을 봐서 신뢰는 물론이고, 이걸 읽으면 내 인생이 바뀔거같다는 느낌이 이유모르게 자꾸만 듭니다 ㅎ 함께 읽는것이 아니면 진짜 엄청 오래걸렸을 것 같아요🤣


한빛비즈
동감합니다. 이렇게 같이 읽으면 마감도 있으니 정말 하게 되지요. 인생이 바뀔 것 같다는 느낌, 레이 달리오가 주는 인사이트만 따라가도 도움될 것 같아요!
만렙토끼
그믐에 늦기전에 출석해야지! 같은 마음이 아니였으면 저도 읽다가 포기했을 것 같습니다 하하. 이 책이 아무것도 모르던 제 경제 지식에 정말 큰 지표가 될 것 같아요.

바닿늘
물론이죠!
인상 좀 쓰면 어떱니꽈.. 🤣🤣

니무네
안녕하세요~ 경제 분야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살아와서인지, 관련 책은 이번이 처음인데요. 그래서인지 1부를 읽는 지금도 쉽지만은 않네요....😢
그래도 목차를 훑어보니, 중반 이후부터는 앞에서 다룬 사이클에 관한 이론을 실제 사례와 함께 풀어내는 부분이 많아 보여서, 조금은 기대하는 마음으로 계속 읽어보려 합니다. 어렵지만 흥미로운 주제인 만큼, 나름대로 열심히 따라가 보겠습니다!
그믐 독서 모임도 처음이에요~ 잘 부탁드려요!!😁


한빛비즈
안녕하세요, @니무네 님! 용기 내어 모임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 접하는 분야인데도 이렇게 끝까지 읽어보려는 마음이 대단하신 것 같아요😊 후반부에는 각국 (우리가 어디서 들어봤던 최신) 사례들이 많이 나와서 훨씬 이해가 잘 되실 거예요! 계속 함께 이야기 나눠요, 남은 주차 동안도 잘 부탁드립니다!

니무네
“ 이 책에서 다른 것을 얻지 못하더라도 빅 사이클의 틀만이라도 알아간다면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믿기 힘든 사건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빅 사이클과 그것을 주도하는 5가지 힘의 작동 원리를 깨달으면 몇 년 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이러한 사건들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빅 사이클』 (p16) 서문에서 책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 마지막 문장, 레이 달리오 지음, 조용빈 옮김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처음엔 조금 어려운 것 같지만 중요한 내용을 계속 반복해서 얘기해 주고
수식이나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셔서 읽다 보면 적응이 되는 것 같아요.
가장 중요한 얘기는 부채 자체가 아니라 수입(현금)의 증가 속도와 금리의 증가속도 사이에서의 밸런스 임을
강조하시는 것 같네요. 미국의 수입 대비 부채 수준과 GDP 대비 부채 수준의 차이를 보면 왜 수입 기준으로 볼 것을 강조하는지 이해가 가네요. 그리고 미국 부채 규모에 대해 많은 우려가 있다고 들었는데 정부 수입 대비 부채 수준을 선진국 간에 비교해 보면 일본이 더 위험한 수준이라는 것 프랑스도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은 처음 알게된 사실이에요. 대학교 강의 부교재 로 써도 좋을 것 같아요.

한빛비즈
@Alice2023 님, 꼼꼼하게 읽으셨네요! 말씀하신 것처럼 읽으면서 단순히 “부채 규모가 크니까 > 위험하다”의 진짜 뜻을 알게 된 것 같달까요. 일본 얘기 읽으면서는 그 정도일 줄 저도 몰랐던 것 같아요. 이론과 사례가 잘 결합되어 있어서 공부하는 분들이 개념을 익히기에 딱이죠!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바닿늘
"대학교 강의 부교재로 써도 좋을 것 같아요."
교재로 쓰이면 정말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문득 든 생각인데요..
제가 학계의 분위기는 잘 모르지만;;
대체로 보수적일거란 추정은 하고 있거든요??
실제로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한빛비즈 혹시 트렌드에 대해 다수가
동의하는 내용 같은 게 존재하나요??
(다수가 아는데 못 바꾸고 있는건지..
아니면 정말 모르는 건지..
아니면 알 생각이 없는건지..
이쯤 되니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제가 너무 생각이 단순해서
그런건지도 모르겠지만...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바닿늘
2부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일단 시작부터 막혔습니다.
경화 대 불환 화폐.. 아리까리 한 개념으로 여겨져서 한참을 찾아봤습니다.
아주 단순화 한다면..
경화는 그 자체로 금전적 가치가 오랫동안 합의되어 온 것들, 예를 들어 금이나 은 같은 것들이라고 할 수 있겠고..
불환 화폐는 그 자체로는 아무런 금전적 가치가 없지만, 정부가 법으로 '이것은 돈이다!'라고 정해서 의미가 부여된 것들을 뜻한다고 이해했습니다.
저는 불환 화폐 이야기 보면서..
'레고랜드 사태'가 자동으로 연상되었습니다.
('김진태 사태' 라고 부르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경제와 정치의 공통점은..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는다는 점 같아요.
조금 더 쉽게 경제 이야기와 정치 이야기가
직관적으로 와닿게끔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이 큽니다.
(법이 그렇게 어렵게 느껴졌었는데.. 관심 갖고 들여다 보니..
그렇게 아주아주 어렵진 않더라고요.. 큰 틀에서만 본다면요.)
법이든 경제든 정치든 쉽게 까진 아니더라도..
보통 정도까진 노력 정도에 따라 전체적 이해도를
상승시킬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전문가 될 거는 아니지만.. 왠지 다수가 그렇게 된다면..
전문가라는 타이틀 걸고 나온 사람들이 말도 안 되는 논리로
말하는 모습을 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레이 달리오 책들을 붙들고.. 이렇게 저렇게 나름의 방식으로
풀어가다 보면.. 이해도가 많이 올라갈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 기회를 발판 삼아..
조금씩 더 경제 지식을 진화시켜봐야겠습니다. ㅎㅎㅎ

한빛비즈
와, @바닿늘 님. 깊이 고민하시고 읽고 계신 게 느껴져요. 맞아요. 법도, 정치도, 경제도 처음엔 어렵고 낯설지만, 계속 관심을 갖고 조금씩 파고들다 보면 어느 순간 큰 틀이 보이겟죠? 저도 이 책 읽으면서 더 찾아봐야겠다 싶은 게 많았는데, 이렇게 같이 배우면 훨씬 든든한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이번 기회를 발판 삼아 다 같이 한층 더 성장해봐요! 앞으로도 생각 많이 나눠주세요😊
만렙토끼
오 레고랜드 사태를 처음 검색해 봤습니다. 2022년에 있었던 일인데 처음 들었네요...아이고 여기서 이렇게 모르는게 많다고 얘기하려니 좀 부끄럽기도 합니다. 그래도 덕분에 알게되어 위키를 꼼꼼히 살펴봤어요 불환 화폐 이야기에서 왜 떠올랐는지 느낌을 알겠더라구요. 강원도지사의 신뢰가 정부의 법적인 지위와 사람들의 신뢰 그렇게 볼 수 있는거군요. 한번에 이 해 되었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