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정말 모르는 단어가 너무너무 많아서 이게 맞나...? 나 이대로 괜찮은가? 하면서 읽었답니다 ㅠㅅㅠ 아직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것 같아서 그믐의 글을 보면서 다시 펼쳐보고 있어요ㅋㅋ
[한빛비즈/책 증정] 레이 달리오의 《빅 사이클》 함께 읽어요 (+세계 흐름 읽기)
D-29
만렙토끼

바닿늘
“ 1978년 덩샤오핑이 중국의 권력을 장악한 이후 1980년대에 큰 변화가 있었고, 이는 현재까지 변화하는 세계 질서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덩샤오핑의 등장은 중국식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의 시작이자, 대규모 부채/신용/통화/경제 사이클의 시작을 알렸다. 이전에는 중국에 부채/신용/저축/경제 활동이 거의 없었다. 덩샤오핑은 외국 자본가들의 돈과 재능을 끌어들인 중국의 '개방' 및 '개혁' 정책을 통해 이를 변화시켰다. 순수하고 극단적인 공산주의에서 시장 지향적이고 자본주의가 가미된 '공산주의'로의 전환은 중국과 나머지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 변화는 중국이 다른 곳보다 휠씬 낮은 비용으로 무역 가능한 상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중국을 역사상 가장 큰 무역 및 제조 강국으로 이끌었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이는 중국과 다른 국가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과의 관계와 금융시장에 대한 지식 덕분에 나는 이 기간 동안 중국의 엄청난 변화에 기여하면서 가까이서 지켜볼 수 있었다. 15장에서 중국 빅 사이클의 전개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지금은 중국이 매우 생산적이 되어 매력적인 가격의 상품으로 세계를 압도하고 막대한 돈을 벌었다. 그리고 미국인과 다른 사람들에게 중국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막대한 돈을 빌려주었다는 것만 이야기하고 넘어가겠다. 그래서 미국인들은 상품을 얻었고 중국인들은 미국인들의 채권을 얻었는데, 누가 더 나은 거래를 했는지 아직도 파악하려고 노력 중이다. ”
『빅 사이클』 p. 268~269, 레이 달리오 지음, 조용빈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한빛비즈
[모임 4회차] 7/14(월) ~ 7/20(일), 일주일 동안 15장부터~끝까지 읽고 자유롭게 이야기 나눠요. 이번에는 중국과 일본의 사례도 살펴볼 예정입니다. 미중 관계가 앞으로 미칠 영향도 주목해서 볼 만합니다. 레이 달리오는 마지막 4부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이야기를 마무리합니다. 마지막까지 힘내어 읽어 보아요. 모임에 참여하신 소감도 함께 들려주세요!

동그란숲
인도, 아세안 국가, UAE,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이 강력한 펀더멘탈을 가진 성장하는 국가들을 잠시 살펴보는 것이 가치가 있을 것이다.
『빅 사이클』 p.360, 레이 달리오 지음, 조용빈 옮김
문장모음 보기

동그란숲
덕택에 중국, 일본에 대한 다른 시각을 얻었습니다. 달리오가 단순 중국빠라 생각했는데, 일본 정책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네요. 관세가 이슈로 한창인 지금 덕택에 새로운 시각 가질 수 있어 감사합니다.

메롱이
벌써 모임의 끝이네요. 레이 달리오의 책들은 마지막 챕터가 정수라고들 하던데 기대하면서 서둘러 달려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