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문학도서관님의 대화: 📢(1주차)⭐첫번째 질문입니다.
[관련 발췌] 첫번째 단편 <길트클럽:호랑이만지기>는 추문과 낭설이 팽배한 영화감독 "김곤"을 추종하는 모임 "길티클럽"에서 활동하게 된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김곤은 아역배우와 관한 일말의 사태로 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는 영화감독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은 길티클럽에서 김곤에 대해 지적하는 다른 참여자에게 김곤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데요. 그러나 새로운 영화가 개봉하고 참여한 GV에서 김곤이 물의를 일으킨점에대해 적극적으로 사과를 하자 주인공은 "내안에서 무언가 터졌다."(p.57)라고 느끼며 지독한 허무함과 헛헛함을 느끼게 됩니다. 여러분은 이러한 주인공의 심리 변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 심지가 다 타기 전에 누군가는 이 폭탄을 멀리 던져야 했다. 던지지 못한다면 몸으로라도 덮어 막아야 했다. 나라도 그래야겠다고 다짐한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나는 그만큼 지독한 사랑에 빠져 있었으니까.(중략)입증된 것도 없는데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되죠.제대로 된 증거도 없는 사건을 어떻게 사실이라 단정짓는지, 무고한 사람을 왜 죄인으로 모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그게 더 가혹한 일 아니냐고 나는 말했다.(p.49)
✍️ 일말의 죄책감이 들었지만 그것도 잠시뿐이었다. 어찌되었던 폭탄은 불발되었고 그 잔해나 연기도 시간이 흐르면 사라질 터였다.내 사랑을 제대로 입증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숨지 않고, 속이지 않고. 그래. 잘한 거야. 잘했어.(p.50)
✍️ 아역배우가 등장하는 문제의 장면은 전부 편집되어 있었다. 애초에 그 장면은 찍지도 않은 것처럼 말끔하게. 안도하면서도 다른 한 편으로는 찜찜했다. 그치만......이게 맞겠지. 정교하게 맞물리는 서사에 집중하며 찜찜함을 애써 묻었다.(p.53)
✍️ 김곤은 자리에서 일어나 허리를 굽혔다.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거듭 말하며 정수리가 보일 정도로 깊이 수그렸다. 그리고 그 순간.......펑. 내안에서 무언가 터졌다. (중략) 모든 게 흠없이 온전한데 왜 나만 팔다리가 떨어져나간 것처럼, 살점이 다뜯겨 너덜너덜해진 것처럼 괴로운가. 왜 지독히도 헛헛한가.(p.56-58)
📢(1주차)⭐두번째 질문입니다.
두번째 단편 <스무드>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에 대해 전무한 이민 3세가 업무상의 사유로 한국에 처음 방문하며 겪게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인공은 업무상 잠시 여유시간이 생겨 종로 일대를 방문하게됩니다. 그러던 중 길을 잃고, 설상가상으로 핸드폰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사태를 맞이하게되죠. 그리고 마침 태극기와 성조기를 든 시위대를 만나게되고 그들로부터 도움을 받게되는 과정 보여주는 것이 이 소설의 큰 내용입니다. 소설의 초반과 마지막에 소설의 이름이기도 한 작중 등장인물인 화가 제프의 작품 <스무드>이 언급되는데요. 여러분은 <스무드>라는 제프의 작품이 이 소설에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관련 발췌]
✍️ 리와 상의하여「스무드」를 갤러리 중앙에 설치했다. 리는 「스무드」를 유심히 살피며 전작과의 차별성이 두더리진다고 말했다. 구 안쪽에 뭔가 숨겨진 것 같기도해요. 제프의 작품에는 의도도 동기도 비밀도 없었다. 작품의도를 물을 때마다 제프는 그저 어깨를 으쓱하고 말핬다. 굳이 의미를 붙일 필요가 있냐는 듯이 나는 「스무드」를 가만히 응시했다. 광택이 도는 구의 표면엔 나와 리가 비쳤다. 흰 셔츠를 입은 동양니 둘이. 리는 이 작품을 소장하려는 입주민들이 많을 거라고 확언했다.(p,71)
✍️ 큐레이터가 「스무드」를 극찬했어요. 그래요? 구 안쪽에 무언가 숨겨진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제프는 인스타그램 피드를 넘기며 건성으로 답했다. 재밌네요. 듀이도 그렇게 생각해요? 골똘히 답을 생각하다 나는 셔츠 주머니에 넣어둔 배지들을 꺼냈다.(p.110-111)
두번째 질문에 대한 생각
스무드에선 이 단편의 주제인 '타자와의 만남'를 드러내기 위해 그와 대비되는 이미지가 많이 쓰였다고 생각했습니다.
스무드가 설치된 아파트는 폐쇄적인 공간이며 제프는 어느 나라 어떤 숙소에 머물던 똑같은 습도와 온도, 루틴을 유지합니다.
제프의 작품 스무드는 요철 없이 매끈한 구로, 그 위에서 모든 것은 정해진 경로대로 흘러가겠죠. 낯설고 이질적인 존재가 주는 온갖 부대낌이 제거된 세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 같았습니다.
반면 주인공 듀이와 태극기부대는 서로에게 완벽한 타인입니다. 생김새 말고는 서로 공유하는 특성이 없어보입니다. 이들은 듀이의 무지함에 기대어 정 넘치는 시간을 함께 보내며 앞서 제시된 폐쇄적이고 매끄러운 세계가 과연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게 맞는지 반문하는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