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친 문장들을 요약하고 감상을 적고자 모임을 만들었습니다.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완독 후 요약
D-29
캣닢모임지기의 말
캣닢
내일부터 조금씩 시작합니다!
29일이라는 시간제한이 있어서 좋네요 :)
밑줄 친 문장들을 요약 정리하고 감상평도 적어야지 생각만 한 것이 1년전. 역시 환경설정이 중요함을 느낍니다.
캣닢
1장. 아주 작은 습관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우리는 작은 변화들을 무시한다. 그 순간에는 그리 중요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결과는 당장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 보니 우리는 쉽게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간다.
-습관이 가져오는 변화는 비행기 경로가 몇 도 바뀌는 것과 같다.
캣닢
-과정 초기와 중기에는 '낙담의 골짜기'가 존재한다. 우리는 발전이 직선적으로 나타나리라 기대한다.
-의미 있는 차이를 만들어 내고 싶다면 정체기(잠재력 잠복기)를 돌파할 때까지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계속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은 결과의 배경이 된 시스템을 바꾸지 못했기 때문이다.
-목표에 도달하면 행복해질 거라 생각한다. 목표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태도의 문제는 다음 표지판에 도달할 때까지 행복을 계속 미룬다는 것이다. 목표를 달성하면 성공, 달성하지 못하면 실패하는 것이라 생각하게 한다.
-시스템 우선주의는 그 해독제를 제공한다.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좋아하게 되면, 이제 행복해져도 돼라고 말한 시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캣닢
2)정체성, 사람을 움직이는 가장 큰 비밀
-우리는 뭔가를 개선하고자 할 때 정체성 변화를 생각하지 않는다.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이 해야 할 행동만 생각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유형의 사람이라고 믿을 경우 그 믿음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투 표의 예)
-수년 동안 스스로에게 한 가지 이야기를 반복해서 들려주면 어떤 특정한 행동에 '그 일은 나답지 않아'라면서 저항하기 시작한다. 자신의 자아상과 반대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어떤 한 가지 모습의 정체성에 집착하면 안 되는 이유다.
자신의 믿음들을 끊임없이 편집하고, 자기 정체성을 수정하고 확장해야만 한다.
-습관은 정체성을 만들어나간다. 매일 글을 쓴다면 창조적인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만드는 것이다.
-행위를 반복해나갈수록 그 행위와 연관된 정체성은 강화된다. '증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행위를 반복해나가면, 증거가 서서히 쌓이고, 자아상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한 번의 특별한 경험은 그 영향력이 서서히 사라지지만, 습관은 시간과 함께 그 영향력이 더욱 강화된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결정하고, 작은 성공들로 스스로에게 증명하자. 습관이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우리의 정체성은 습관을 형성한다. 쌍방향 작용이다.
캣닢
-변화를 위한 첫 번째 걸음은 '무엇을' 또는 '어떻게'가 아니라 '누구'다. 우리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알아야 한다.
-습관은 자신에 대한 가장 깊은 믿음을 계발하는 최고의 수단이다(행동이 증거니까)
3)무엇이든 쉽게, 재밌게, 단순하게
-습관은 우리가 정기적으로 직면하는 문제와 스트레스를 푸는 일련의 자동화된 해결책
-뇌는 시행착오 과정을 건너뛰고 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한다는 규칙을 만들어낸다.(정신적 지름길)
-스트레스가 생기면 스트레스를 해결하고 싶어 근질거리고 퇴근하자마자 게임을 하는 것이다.
-의식은 한 번에 한 가지 문제에만 집중할 수 있다. 뇌는 늘 가장 본질적인 작업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인다.
-습관은 인지 부하를 줄이고 정신의 수용량을 늘려, 우리가 다른 일에도 신경 쓸 수 있도록 해준다.
-창조성을 발휘할 정신적 여유를 만들어낼 수 있느냐는 삶의 기본적인 일들을 더 쉽게 만드는 데 달려 있다.
캣닢
습관의 4단계
-신호(cue): 보상이 예상되는 정 보
-열망(craving): 우리가 열망하는 것은 습관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가져올 변화다.
모든 열망은 '내적 상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욕구와 연결
-반응(reaction):우리가 수행한 실제 습관
-보상(reward)
-네 단계 중 하나라도 충족시키지 못하면 습관이 되지 않는다. 어두운 방 안으로 들어가 습관적으로 스위치를 켠다: 몇 초 안에 이 네 가지 단계를 모두 밟은 것이다. 생각하지 않고도 행동한 것.
-좋은 습관을 만들고 나쁜 습관을 버리는 핵심은 이 기초 법칙들을 이해하고, 자신의 특성에 맞춰 적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캣닢
파트1까지 밖에 요약하지 못했네요ㅠ
같은 결과가 계속 나오면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이 책의 말이 떠올라, 최근에 독서 시간을 좀 더 세분화하고 있습니다.
매일 1시간 차분히 독서할 시간이 있는데, 30분: 읽고 싶은 책 (5분 휴식하고) 10분: 읽어야 할 책(미루고 있는) 15분: 재독할 책(밑줄요약하기) 으로, 1시간 동안 3개의 책을 읽기로 했습니다.
요약하기는 할애 시간이 적어 진도가 빨리 나가지 않겠지만, 꾸준히 끝까지 할 생각입니다.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