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D-29
시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기 시란 저에게 있어 동떨어진 것이라 생각했어요. 학교 다닐때만 가끔 보던것이었죠. 그러다가 최근에 그믐 모임에서 낭독회겸 북토크에 참여해서 낭독하는 것을 들었어요. 그 이후로 낭독이란 것의 매력을 알게 되었어요. 기회가 된다면 시를 자주 접해보고 낭독을 하거나 들어보고 싶네요 ~~ 여러분에게 있어 '시'란 어떤 의미인가요?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황인찬 시인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이동진의 [빨간 책방]에서였다. 황인찬 시인이 자신의 시를 꺼내어 낭독하는 순간, 흔한 표현으로 숨이 멎었다. 대화를 나눌 때와는 전혀 다른 호흡과 발성으로 온 공간을 울리는 그의 시를 듣고 있자면, 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짜릿함이 느껴졌다. 오늘, 황인찬 시인의 시를 소리내어 읽어야 한다는 말에는 고개를 끄덕거리지 않을 수 없다. 그저 읽는 것과 소리내어 낭독하는 것은 전혀 다르니까.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느티나무님의 문장 수집: "다수와 나누는 낭독은 그 마음을 모으는 일이었습니다. 누군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의 복잡하고 낯선 의미를 헤아리려 하고, 때로는 헤아리지 않고 그저 목소리에만 집중하기도 하면서, 사람들의 마음은 모종의 결속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것~~경청이라는 단어로 말할 수 있는 이 일이 참 멋지고 깊이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느티나무님의 문장 수집: "앞으로도 때로 사람들은 제게 시를 어떻게 읽느냐 묻겠지요. 그러면 저는 마찬가지로 눈으로 읽는 것이라 답할 것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이렇게 말을 덧붙일 수도 있겠습니다. 같이 읽어요. 소리를 내면서요. "
눈으로 읽는 시는 눈으로 듣는 소리...시라는 생각이 드네요~^^
느티나무님의 대화: 시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기 시란 저에게 있어 동떨어진 것이라 생각했어요. 학교 다닐때만 가끔 보던것이었죠. 그러다가 최근에 그믐 모임에서 낭독회겸 북토크에 참여해서 낭독하는 것을 들었어요. 그 이후로 낭독이란 것의 매력을 알게 되었어요. 기회가 된다면 시를 자주 접해보고 낭독을 하거나 들어보고 싶네요 ~~ 여러분에게 있어 '시'란 어떤 의미인가요?
시를 낭독하는 멋진 일이 그믐에서도 있으면 좋겠는걸요~~^^
느티나무님의 대화: 시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기 시란 저에게 있어 동떨어진 것이라 생각했어요. 학교 다닐때만 가끔 보던것이었죠. 그러다가 최근에 그믐 모임에서 낭독회겸 북토크에 참여해서 낭독하는 것을 들었어요. 그 이후로 낭독이란 것의 매력을 알게 되었어요. 기회가 된다면 시를 자주 접해보고 낭독을 하거나 들어보고 싶네요 ~~ 여러분에게 있어 '시'란 어떤 의미인가요?
시는 노래이고 음악인것 같아요.. 예쁘고 멋진말들을 담는~ 깊고 넓은 마음을 담는~ 상처나고 깨진 마음, 그리움, 사랑....무엇이든 담아도 되는 그릇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삭이님의 대화: 황인찬 시인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이동진의 [빨간 책방]에서였다. 황인찬 시인이 자신의 시를 꺼내어 낭독하는 순간, 흔한 표현으로 숨이 멎었다. 대화를 나눌 때와는 전혀 다른 호흡과 발성으로 온 공간을 울리는 그의 시를 듣고 있자면, 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짜릿함이 느껴졌다. 오늘, 황인찬 시인의 시를 소리내어 읽어야 한다는 말에는 고개를 끄덕거리지 않을 수 없다. 그저 읽는 것과 소리내어 낭독하는 것은 전혀 다르니까.
이삭이 님의 글을 읽고 있으니...저도 그 공간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소리내어 읽는것, 말하는 것.... 그것은 참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져요. 내안의 마음을 소리에 담아 밖으로 내뱉고 , 그 소리를 다시 나의 귀로 듣고, 때론 다른 이들에게 들려주는 일... 매일매일 하는 일이지만 이것을 좀 더 진지하게 행하는 그 느낌은... 생각만해도 짜릿함...감동을 주는 일인것 같아요
7월 4일 (에세이) ‘시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다’ 문학을 통해 우리의 내면과 마주한다는 작가의 글을 읽으니 ~모든 예술을 대하는 것이 이와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미술 작품을 바라보는 것, 음악을 듣는 것 그 모든 것은 만든이로 시작되고, 그 작품을 퍼포밍 하는 사람의 손을 떠나 다시 나와 연결을 만들어 내는 것 같아요. 저는 음악을 들을 때, 예술작품을 볼 때 눈과 귀로 그 작품을 대하고 있지만, 사람을 만나고 있는 듯한 느낌에 휩싸일 때가 종종 있습니다. 시를 눈으로 읽는다.. 정말 공감되는 내용이었어요. 저는 음악을 대할 때도 시각이 참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거든요. 특히 악보를 읽는 작업을 할 때면 쓰여진 음표, 음표의 개수, 쉼표들 시의 행과 비슷한 음악의 프레이징 같은 것들이 그림처럼 다가오곤 합니다. 함께 읽는 낭독도 너무 공감이 되더라구요. 그믐밤으로 진행하고 있는 낭독도 생각이나구요... 아직 시를 낭독하고 있지는 않은 듯 하여 시를 낭독하는 날도 가져보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시각적인 것은 의식의 영역에 더욱 가깝지만, 청각적인 것은 의식을 넘어서는 지점에서 출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지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37, 황인찬 지음
기존의 행갈이가 의미의 망설임이었다면 낭독에서의 행갈이는 육체의 호흡과 가까웠습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37, 황인찬 지음
낭독회에서의 시 읽기란 시를 지면으로부터 떠나 보내는 일입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38, 황인찬 지음
화제로 지정된 대화
만약? 시 낭독회를 한다면? (만약입니다........ㅎㅎㅎ) 이 시를 낭독해보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골라 이야게해보면 어떨까요? 7월의 책에 실린 시여도 좋고,, 다른 시인의 글이도 좋습니다. 이번 모임이 끝나기 전까지.. 계속 나누어보아도 좋을 이야기일것 같습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 <그 남자는 책을 읽었다> 편집자와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밀리의 서재로 📙 읽기] 22. 네버 라이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