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D-29
그러나 자꾸 도망가기를 좋아하는 나는 얼마 안 가 나의 얄팍한 윤리 의식으로 나 자신을 비난하는 일을 통해 쾌감을 얻고 있었다. 죄책감을 느끼고, 그로부터 수치심을 느끼고, 그것을 비난함으로써 쾌감을 느끼고, 다시 그로부터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는 일이 계속되고 있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49 (7월 6일의 에세이, 어떤 검시관), 황인찬 지음
저도 작가님이랑 비슷한 성향이였어서 더 공감이 되네요. 실패가 두려워서 겁쟁이가 되어 스스로 도망치기를 반복하다가 도망칠 곳이 없을때 쯤에 비로소 한 걸음씩 내딛었던 것 같아요.
저도 그런 경험들이 곳곳에 있는 것 같아요
실패란 삶에 있어서 필연적이라서 그럴까요? ..
헉 저도 정말 회피형 인간이었던 사람이었어요. 지금도 회피형이 아니라고는 할 수는 없는데... ‘불행을 회피하는 일이 행복해지는 길이라고 착각하지 말라‘라는 조언을 늘 되새기며 살고 있어요.
하금님도 저랑 비슷하셨군요... 저도 회피형 인간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힘든 순간이 다가오면 다시 회피형 인간으로 잠시 도피하려고 하지만 금방 멈추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려고 애쓰고 있어요. '불행을 회피하는 일이 행복해지는 길이라고 착각하지 말라'는 조언을 저도 새겨들어야겠어요 ~~
시의 자유가 버겁다. 시의 아름다움을 믿을 수 없다. 불가능에 대한 시의 지극한 애호가 부담스럽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53 (7월 6일의 에세이, 어떤 검시관), 황인찬 지음
나를 멍청하게 만들고자 시를 필요 이상으로 거대하고 신비한 것으로 대하는 나의 태도가 실로 멍청하게 느껴진다. 그것을 극복하고 싶어서 시를 낡고 왜소한 것으로 몰아세우는 나의 태도가 정말이지 안일하게 느껴진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54 (7월 6일의 에세이, 어떤 검시관), 황인찬 지음
옛날 일을 떠올리면 수치스러운 장면들이 끝없이 줄지어 걸려 있는 회랑을 걷는 것 같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47, 황인찬 지음
무엇인가를 포기할수록 나는 더욱 부끄러운 인간이 되었다. 그러나 그것을 스스로 절감하면서도 이러한 태도를 쉽사리 바꿀 수는 없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48, 황인찬 지음
어쨌든 나는 어릴 때부터 그랬던 것 같다. 무서워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애였고, 아플 것이 두려워 아픔을 참는애였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52, 황인찬 지음
나는 사랑하는일조차 두려워했던 것이다. 나의 삶이 누군가에 의해 변해버리는 것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언제나 씩씩하고 용감한 아이들이 부러웠다. 위험 속에서, 위험을 감수하면서, 꿋꿋하게 걸어나가는 아이들이 항상 빛나 보였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52, 황인찬 지음
솔직하다고 스스로 여기는 방식이야말로 가장 솔직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이먼서 가장 투명한 거짓말이 되겠지. 그런 기대를 하면서.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56, 황인찬 지음
7월 6일 (에세이) '어떤 검시관' 수치심, 포기, 두려움, 증오, 자기기만 이런 단어들이 주류를 이루는데요. 저도 어릴때 유난히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편이여서 스스로 자포자기하면서 시작도 전에 멈춰버리기도 하며 상처받지 않기위해 합리화를 하면서 지내곤 했죠. 머리로는 상처 없는 삶은 없다는걸 알면서도요. 그래도 지금은 아주 조금씩 앞으로 한걸음 내딛고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
맞아요... 느티나무님이 얘기해주신것 처럼 우리는 알고 있는데, 그 시도가 참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아주 조금이라도 나의 속도에 맞게 내딛고 그 걸음에 힘이 차오르면 되는 거겠지요... 느티나무님의 한걸음을 응원합니다. 우리 함께 이렇게 나누고 걸어가고 있으니 좋은 곳에 다다를 거라 믿어보면 어떨까요? 저도 한걸음....부터 시작해야 할 것들 챙겨보겠습니다.
우리는 알고 있지만 그 시도를 하기전에 망설여서 쉽지는 않죠. 그렇지만 우리 함께 걸어가고 있으니 좋은곳이 다다를거에요. 저의 한걸음에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나님의 한걸음도 함께이기에 계속 내딛을거라고 믿어요 !!!
느티나무 님의 응원에 힘이 나요. 저는 오늘 새로운 탐험? 실험을 위해 지방 출장을 가는 중인데요. 발걸음에 힘이 실릴것같아요^^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부끄럽지 않았다. 이러한 자기 기만이야말로 가장 부끄러운 태도라는 것은 스스로도 잘 알고 있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황인찬 지음
7월 6일 (에세이) ‘어떤 검시관’ ‘나는 무엇이든 빠르게 잊는 편이다.’라고 말하니 묻고 싶어졌어요 진짜 그렇습니까?하고요... 빠르게 잊어지는 것도 있고, 잊어졌다고 생각하는 것도 있고, 잊어지길 바라면서 기억 어딘가로 밀어버리는 것이 있을 것 같아서요.. ‘누군가를 상처 입히는 일이 너무 무서워서~ 이후의 일을 도무지 감당할 수가 없어서~’ 어릴적 누군가를 상처 입히는 일이라 생각되어지는 것, 그 이후의 일들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것은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어요. 그 일들이 옳지 않은 것임엔 틀림 없지요... 그런데 그 일이 무섭다라고 표현된것에 자꾸 시선이 가더라구요... ‘부끄럽고 싶지 않아서, 부끄러운 것을 피하고 싶어서, 무엇인가를 선택하거나 포기했다.’ 선택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것 같아요. ‘무서워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애~ 아플 것이 두려워 아픔을 참는 애~’ 저도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으려 했던 부분이 있었던 것 같아요. 저의 경우 그것은 두려움과 닿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OOoo해도 괜찮아’~ ‘괜찮아’의 경험이 나에게 부족한건 아닐까? 생각하기도 했어요. 두려움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 저는 ‘나는 요즘 나의 삶에서 실험하는 중입니다.’ 라는 문장이 좋더라구요. 저도 종종 쓰곤 합니다. 실험은 실패할수 도 성공 할 수 도 있어요. 그렇지만 도전해보는 거죠.. 그리고, 성공이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으로 애쓰는 것이 실험이니까요.... 때론 누군가에게 거절 당할 수 도 있고 내 안에서 생겨나는 두려움과 맞서기도 해야겠죠.. 저도 완벽한 실험 중인 것은 아니지만, 이런 마음이 생각이 든 이후로는 조금 용감해 진 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매일 읽고 쓰고 나누는 이 모임을 시작한 것도 저에게는 실험 중 하나랍니다. 무엇을 위한 실험이죠? 라고 물으신다면.. 조금 더 생각해보고 답할께요 ㅎㅎㅎ
어제의 글을 읽고 생각을 나누는 글을 하루 지난 오늘 나누어 봅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 증정] 독서모임의 필독서 <다정한 나의 30년 친구, 독서회>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일과 나 사이에 바로 서는 법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함께 읽기[도서 증정] 안톤 허 첫 소설 《영원을 향하여》 함께 읽어요.[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매달 1일 시작합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그믐클래식 2025] 8월, 순수의 시대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 비트코인과 달러, 같이 공부해요!
『트럼프 시대의 비트코인과 지정학』 함께 읽기 (비트코인, 그리고 달러의 지정학의 개정판)책 [레이어드 머니 돈이 진화한다] 읽기 모임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