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D-29
생각할수록 아득한 이야기다. 일상이 이토록 무한히 반복된다면 그것을 일상이라고 불러도 좋은 것일까.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87, 황인찬 지음
그리고 다시 생각해보면, 김종삼이 그리는 여름이 어쩐지 앞서 이야기한 여름들과 닮아있다는 생각이 든다. 절망과 푸름과 죽음과 신이 결합된 여름의 세계라는 점에서 말이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89, 황인찬 지음
내가 김종삼의 시에서 좋아했던 것은 시간이 사라져버리는 것만 같은 어떤 초월성이었고, 그 무시간성을 품고 있는 여름의 이미지들이었고, 그 안에서 자기혐오 짙은 죄의식을 느끼는 김종삼의 자기의식이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1, 황인찬 지음
김종삼이 시의 언어에 있어 모범을 보여준 작가였다면, 존 치버는 시의 기법적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준 작가이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2, 황인찬 지음
그런데 일단 생각만 하고 혼자 지쳐서 그만두는 일를 그만둬야 한다. 생각만으로 혼자 만족하는 일을 그만둬야 한다. 생각만으로 지치거나 만족하는 일 말고 시가 할 수 있는 일은 또 무엇일까. 이 글은 여기까지만 쓰고 나는 일단 나가야겠다. 여름날의 거리가 밖에 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7, 황인찬 지음
물고기먹이님의 대화: 7월 11일(에세이) '나의 모범은 나의 미워하는 것, 나의 취미는 나의 부끄러운 것' 대체 에반게리온은 머선 내용이길래 전세계적으로 이렇게 가슴을 뜨겁게하는 가? 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에반게리온을 떠올리면 장강명 작가님의 #열광금지 에바로드 가 떠 오릅니다. 황인찬 시인이 나보다 나이가 좀 있으신가? 싶어서 검색해보고 뜨끔했습니다.... 제가 누나입니다 스즈미야 하루히라는 애니도 뭐지? 싶어서 검색엔진에 검색하려니 그 뒤에 붙는 단어가 '우울'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엥? 게다가 제가 장난식으로 쓰는 단어도 꽤 나옵니다 '파국' 파국이다!!! 시인이 여름을 좋아하지 않고, 여름의 이미지를 좋아한다는 것이 납득이 되는 요즘의 날씨에 시인의 에세이를 읽으며 점점 습기가 차듯 끈적거리며 살짝 불쾌한 느낌도 들듯 본인의 시를 굉장히 비하합니다. 이 부분은 최근에 고선경 작가님 #내꿈에 가끔만 놀러와 산문집에서 느꼈던 느낌과 비슷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엥? 시 라는 부분이 워낙에 해석하는 사람마다 내용이 다를 수 있고, 어려운 분야기도 하고, 잘 모르겠는 거 투성인데 시인님들 글에 자신감이 없는 글을 읽으면 되려 엥? 거리는 것 같습니다. 시의적절 11월 이원님의 #물끄러미 가 그리워지는 순간들 입니다. 시인들이여 자신감을 가지세요!! 제발ㅎㅎㅎ
에반게리온이라는 단어가 나와서 저도 장강명 작가님의 <열광금지, 에바로드>가 생각났어요 ㅋㅋ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라는 애니는 친구가 봤다고 해서 제목만 기억이 났어요. 마니아만 아는 애니인가봐요.
영원한 여름은 성장이 불가능한 세계자체를 은유하는 것이기도 하다는 문장이 인상적이네요. 영원하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낼지도 모르겠네요. 과거에 보았던 이미지가 현재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크게 미쳐서 중심을 이루나봅니다. 기회가 된다면 다양한 것들을 보고 싶네요.
이 시는 그다음을 상상하지 않습니다 이미지와 느낌 사이 어딘가에서 그만 멈추겠습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80 (7월 10일의 시, 부푸는 빵들처럼), 황인찬 지음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하금님의 문장 수집: "이 시는 그다음을 상상하지 않습니다 이미지와 느낌 사이 어딘가에서 그만 멈추겠습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생각나는 모호함과 아름다운 이미지가 가득한 공간. 기억이 추억이 되고 그 다음에는 끊임없이 미화되며 하나의 이미지와 느낌이 되는 순서가 오는 것 같아요. 그러다보면 언제나 기억할 것만 같았던 사람의 얼굴도 뭉뚱그려진 유화 풍경의 일부처럼 흐릿해지는데.. 그런 순간을 이야기하는 시 같았어요. 이미지와 느낌 사이 어딘가에서. 그땐 그랬는데, 하는 아련한 기운만 풍기면서요.
그리고 다시 생각해보면, 김종삼이 그리는 여름이 어쩐지 앞서 이야기한 여름들과 닮아있다는 생각이 든다. 절망과 푸름과 죽음과 신이 결합된 여름의 세계라는 점에서 말이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89 (7월 11일의 에세이) , 황인찬 지음
저 신적인 것의 현현은 어쩌면 도피 같은 것이 아닐까. 인간을 지워버리는 일, 관계를 그만두는 일, 신적인 것을 발견하거나 자기도 모르게 신이 되어버리는 일을 문학이 계속해도 좋은 것일까.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2 (7월 11일의 에세이) , 황인찬 지음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문학은 삶의 진실을 비추고, 우리의 남루함을 폭로하고, 그 남루함이 오히려 모종의 아름다움으로 승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이 구원은 아니다. 문학은 아무것도 구원하지 않는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4 (7월 11일의 에세이) , 황인찬 지음
내가 시쓰기를 계속하며 알게 된 것은 문학은 구원의 과정이 아니라는 것이었고, 구원은 문학의 밖에 있거나 어디에도 없으며, 문학이 할 수 있는 일이란 그 구원을 향해 나아갈 결심을 하도록 아주 조금 돕는 일에 불과하다는 것이었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5 (7월 11일의 에세이) , 황인찬 지음
나의 부족함과 멍청함을 내가 사랑하거나 사랑했던 것들의 탓으로 돌리는 일도 이제는 그만둘 때가 되지 않았나 싶기 때문이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p.95-96 (7월 11일의 에세이) , 황인찬 지음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내가 사랑하는 것은 결국 내가 미워하는 것이 되고, 내가 좋아하는 것은 나의 부끄러운 것들이 되어버렸다. 그 역 또한 자주 일어났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6 (7월 11일의 에세이) , 황인찬 지음
그런데 일단 생각만 하고 혼자 지쳐서 그만두는 일을 그만둬야 한다. 생각만으로 혼자 만족하는 일을 그만둬야 한다.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 황인찬의 7월 p.97 (7월 11일의 에세이) , 황인찬 지음
하금님의 문장 수집: "저 신적인 것의 현현은 어쩌면 도피 같은 것이 아닐까. 인간을 지워버리는 일, 관계를 그만두는 일, 신적인 것을 발견하거나 자기도 모르게 신이 되어버리는 일을 문학이 계속해도 좋은 것일까."
아주 다른 말이지만, 저는 이렇게 파괴적인 여름을 그리고 영원히 성장을 거부하던 청소년을 그리던 에반게리온의 작가가 만화 <슈가슈가룬>의 작가와 결혼한 이야기를 아주 좋아해요. <슈가슈가룬>은 누군가를 끊임없이 사랑하는 인간의 에너지를 크리스탈화하여 취하는 청소년 마녀들의 이야기를 그린, 아주 화려하고 다정하고 또 외로운 여성 청소년(들)의 성장 이야기거든요. 성장을 거부하던 남자 청소년의 이야기를 그리던 작가가, 사랑과 함께 성장하는 여성 청소년의 이야기를 그리던 작가와 결혼하여 아주 행복하게 살고 있다니. 가끔은 현실이 더 문학 같을 때가 많아요.
하금님의 문장 수집: "나의 부족함과 멍청함을 내가 사랑하거나 사랑했던 것들의 탓으로 돌리는 일도 이제는 그만둘 때가 되지 않았나 싶기 때문이다."
저는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지만 결국 온라인 마케터가 되었는데, 되짚어보니 고등학생 때 참 좋아하던 네이버 웹툰 <들어는 보았나, 질풍기획>의 탓이 아닌가 할 때가 있었어요. 광고 기획사를 배경으로 한 웹툰이었거든요. 물론 광고와 마케팅은 분야가 너무 다르고, 제가 참 좋아하던 캐릭터가 하는 일과 지금 제가 하는 일도 서로 전혀 다르지만요. 어쩌면 거기서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른다고 자주 생각했어요. 그렇게라도 접점을 유지하고 싶었던 맘 아닐까 싶어요.
오늘의 에세이를 쓰신 그 마음이 너무 공감이 되었어요. 저도 여름은 싫어하지만 여름의 이미지는 좋아하거든요. 시원한 수영장 그림을 집에 걸어 두고 싶고 수박의 느낌도 좋아해요. 여름이면 감자, 옥수수, 복숭아가 맛있지 하며 혼자 기대하구요. 하지만 여름의 루프란 조금 무섭네요. 저는 이왕 고른다면 봄이나 가을의 루프로 하렵니다. ^^
7월 7일 (시) '이름 이야기' 무엇으로 불리어지는가?가 중요하기도 하고 때론 그냥 이름은 이름이지하고 생각을 하기도합니다. 이름의 뜻. 무엇으로 불리느냐보다 불리어지는 중인가?가 중요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해보았구요. ~ 한번더 생각난 7월7일 글의 느낌과 생각들을 적어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