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믐클럽지기입니다! 6월,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와 함께 19세기 프랑스 사회와 인간 욕망의 본질을 깊이 탐구하는 시간 잘 보내셨나요? 에마 보바리의 삶을 통해 현실과 이상 사이의 균형에 대해 생각해 보는 뜻 깊은 경험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제 7월에는 사회학의 거장이자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저서,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과 함께 또 다른 지적 여정을 시작하려 합니다. 6월의 문학적 탐색을 넘어, 근대 서구 문명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경제적 배경을 깊이 있게 통찰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왜 지금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어야 할까요?
-근대 자본주의의 기원을 탐구합니다. 베버는 서구 자본주의의 독특한 발전이 프로테스탄티즘, 특히 칼뱅주의의 윤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 책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사회의 뿌리와 그 작동 원리를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합리성과 직업윤리의 의미를 성찰합니다. 베버는 프로테스탄트 윤리가 '세속적 금욕주의'와 '소명 의식'을 통해 합리적인 직업 활동과 부의 축적을 정당화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강조되는 합리성, 효율성, 그리고 개인의 직업윤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사회과학적 통찰력을 기릅니다.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 종교와 문화가 사회 구조와 경제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탁월하게 분석되어 있어요. 저자의 통찰력 있는 분석 방식은 복잡한 현대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사회과학적 사고력을 길러줄 것입니다.
-현대인의 삶과 '합리성의 굴레'를 고민합니다. 저자는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종교적 동기는 사라지고 오직 합리성만이 남은 '철장(iron cage)' 속 현대인의 모습을 예견했습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물질적 풍요 속에서 진정한 의미와 행복을 찾아가는 현대인의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습니다.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D-29

그믐클럽지기모임지기의 말

그믐클럽지기
[그믐클래식 2025]
1월 책 <일리아스> 기원 전 8세기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191
2월 책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기원 전 4세기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273
3월 책 <군주론> 16세기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351
4월 책 <프랑켄슈타인> 1818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452
5월 책 <월든> 1854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527
6월 책 <마담 보바리> 1857년 : 진행 중
https://www.gmeum.com/meet/2653
7월 책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모집 중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완역본현대지성 클래식 19권. 막스 베버의 저서로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대담한 시도 중의 하나로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읽히고 있는 책이다. 이 책에는 국내 최초로 ‘카를 피셔의 반박문과 베버의 답변’을 부록으로 수록했다.
책장 바로가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함께 읽기, 이렇게 진행됩니다.
-읽기 기간: 7월 1일 ~ 7월 29일 (29일간)
-모임 방식: 온라인 독서 모임 플랫폼 그믐을 통해 진행
-주요 내용: 함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를 읽고, 각자의 감상과 생각을 자유롭게 공유합니다.
-함께 하는 대상: 텀블벅의 후원자들과 2025년도 내내 함께 하는 모임입니다. 혹시 이번 달만 함께 하기 원하시는 분들은 따로 신청해주세요.
신청링크 : https://forms.gle/iiwc3t27iMxyBEzE6
(6/30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sam 1개월 구독권을 드려요. 참가비 1만원)
근대 세계의 근본을 이해하고, 오늘날 우리의 삶을 성찰하는 귀한 7월이 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려요.

장맥주
읽기 시작했습니다. 막스 베버 경력도 예사롭지 않지만 번역가님도 프로필이 흥미진진한데요. 두 분 모두 법학도였네요.

장맥주
“ 베버가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던 1897년 여름에 그의 어머니가 그를 방문했다가, 갑자기 찾아온 그의 아버지와 열띤 논쟁을 벌이게 되었는데, 어머니가 여러 해 동안 아버지로부터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한 것을 그동안 목격해왔던 베버는 아버지를 자신의 집에서 내쫓았고, 아버지는 그로부터 7주 후에 죽는 불상사가 벌어졌다. 이 사건으로 베버는 정신질환을 얻어서 5년 이상을 고생해야 했고, 교수직도 그만두어야 했으며, 죽기 2년 전까지 다시는 가르치는 일을 할 수 없었다.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완역본』 막스 베버 지음, 박문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근본은 효자였던 사람인가 보네요, 베버 박사님.

김새섬
아버지와 어떻게 싸웠길래 저런 일이 일어난건지 궁금하네요. 혹시 싸움 때문이 아니라 아버지가 원래 지병이 있으셨던 건 아닐지... 아무튼 그걸로 마음고생이 저렇게 심했다니 막스 베버에게 급 동정심이 갑니다. T.T

장맥주
“ 베버가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던 1897년 여름에 그의 어머니가 그를 방문했다가, 갑자기 찾아온 그의 아버지와 열띤 논쟁을 벌이게 되었는데, 어머니가 여러 해 동안 아버지로부터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한 것을 그동안 목격해왔던 베버는 아버지를 자신의 집에서 내쫓았고, 아버지는 그로부터 7주 후에 죽는 불상사가 벌어졌다. 이 사건으로 베버는 정신질환을 얻어서 5년 이상을 고생해야 했고, 교수직도 그만두어야 했으며, 죽기 2년 전까지 다시는 가르치는 일을 할 수 없었다.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완역본』 막스 베버 지음, 박문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베버가 속해 있던 세대는 과거와 현재라는 두 “세계” 중간에 끼여 있었다. 여전히 봉건영주들과 소작인들로 이루어진 독일의 농촌 사회는 기본적으로 수 세기 동안 변함없이 이어져 왔지만, 19세기 후반의 유럽 도시들에서는 산업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서, 도저히 가늠할 수 없는 새롭고 거대한 물결이 쇄도해왔고, 그 엄청난 변화를 체감하게 된 베버와 그의 동료들은 깊은 불안감을 감출 수 없었다. 도시화와 관료화와 세속화, 자본주의의 숨 막히는 팽창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과거와 현재 간의 모든 연속성은 영원히 사라져 버린 것처럼 느껴졌다.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완역본』 막스 베버 지음, 박문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2,000년이 넘는 서양 역사에 걸쳐 유구하게 보존되어 왔던 친숙한 전통들과 가치들을 가차 없이 밀어 버리고 와해시키는 새로운 시대의 거대한 물결들을 자신들의 눈으로 생생하게 목격한 베버와 그의 동시대인들은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질문들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오랜 전통들과 윤리적 가치들과 인격적인 관계들보다 시장의 법칙을 앞세우는 “근대 자본주의” 아래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 새로운 시대에서 우리의 삶을 이끌어 줄 지도 이념은 도대체 무엇이어야 하는가?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완역본』 막스 베버 지음, 박문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7월도 잘 부탁드립니다 ~_~

김사과
세상에! 갑자기 바빠졌다가 정신차리고보니 7월이네요! 20년전에 읽다가 때려치웠던 막스 베버. 이번에는 완독해보겠습니다.

거북별85
이번에도 참여합니다!!^^ 그런데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제목이 근사하면서도 왠지 무겁게 다가옵니다~^^;;

김새섬
그러게요. 제목이 있어빌리티가 있어요. 제목은 들어 봤는데 안 읽은 책 1순위일 듯 합니다.

거북별85
ㅎㅎ 이번에 완독 성공하면 거실 책장에 꽂아 놓을까봐요^^
(거실 책장의 도스토옙스키 3부작(죄와 벌, 악령, 까라마조프 형제들)과 장맥주님 재수사와 함께~~^^)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