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까지 읽었습니다. 확실한 주인공을 내세우고 그 주변에 주인공의 내면을 보여줄 수 있는 조연들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라는 메세지가 강하게 입력되었습니다. 앞으로 읽기에 속도를 더 내 보겠습니다.
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
D-29

드라이아이스
책방연희
책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를 어제 봤어요. 여러 수상도 하고 이정민×이정재 투톱이라 궁금해서 봤습니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천만코드를 대비하여 최근 한국영화를 보면 재밌네요. 특히 이번엔 주인공 챕터를 주로 대입하여 봤어요.
바림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경험의 한계를 시험하고 갈등을 깊게 파면서 주인공의 캐릭터 아크가 선명하게 부각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시련을 극단까지 밀어붙이는 부정의 부정은 주인공이 변화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고 주인공 캐릭터의 본성이 극적으로 달라지면서 이전과 전혀 다른 사람이 되도록 한다. 그 결과 정의라는 가치가 관객에게 더욱 강렬하고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p.164
바림
최상의 캐릭터 아크는 시작할 때의 세계관에서 정반대의 세계관으로 극적으로 변하는 것이다.(브라이언 아놀드, 브렌던 에디) -p.167

비연
저 완독했습니다!
<범 죄도시> 외엔 다 본 영화들임에도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분석이 참 달라지네요. 그나저나 <범죄도시>가 이렇게 천만영화일 줄은 몰랐는데 봐야하나.. 흠.
밥심
<범죄도시>는 별로 분석할 거리도 없는 영화인줄 알았는데 이 책을 보고 저의 그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범죄도시5>는 과연 어떤 스토리를 담고 나올지, 여전히 흥행할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책방연희
<범죄도시5>는 스릴러로 장르 변주를 한다고 하는데 궁금하네요. 요 책에서 범죄도시는 그 자체로서의 분석보다 시리즈를 대표하는 성격으로도 보여요. 4편 이상 시리즈가 된 영화가 별로 없지만, <타짜>가 3까지 나왔고 원작자도 4를 염원하며 작업한다고 했고요.:)
밥심
“ 7 인생의 은유: 삶의 아이러니에 주목하라
237쪽
스토리는 삶의 모습을 담고 있어야 하지만 아무런 깊이나 의미가 없는 보통 삶의 단순한 복사판이 되어서 는 곤란하다. 누군가(주인공)의 삶을 그려내 우리(관객)의 삶으로 느끼고 받아들이게 해야한다. 그것이 바로 스토리텔링이다. 그리고 잊지 말자. 스토리텔링의 핵심 키워드는 ‘갈등, 딜레마, 아이러니’라는 것을. ‘다크 나이트’가 딜레마의 참고서라면, ’서울의 봄‘은 아이러니의 교과서다.
8 시리즈 기획: 지킬 것과 새롭게 할 것을 명확하게 하라
270쪽
시리즈영화는 철저하게 관객을 위한 영화다. 후속편이 만들어질 때마다 관객과의 암묵적인 약속을 지켜야 한다. 그 약속은 전편만큼 또는 그 이상의 재미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전편과 비교해 친숙함과 참신함의 절묘한 균형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
『천만 코드 - 매혹적인 이야기의 8가지 스토리텔링 비밀』 길종철 지음
문장모음 보기
책방연희
<천만코드> 보시는 분들 중에 한국 영화 중 좋아하는 영화는 무엇일지 궁금하네요!!!

꽃의요정
전 이 책에서 아쉽다고 평한 <외계+인>이 정말 재미있어서 <외계인+2> 안나오나 계속 기다리다 나중에 나와서 보게 되었는데, 실망하지 않았습니다. 한 명의 영웅이 아닌 모두가 힘을 합쳐 겨우 이겨낸 부분도 마음에 들었고요. 특히 신선 캐릭터들 코믹하고 매력적이었습니다. 발휘하는 신공들까지요.
밥심
<외계인>을 혹평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저는 나름 재밌게 본 일인입니다!
책방연희
오!! 저 <외계인+2> 재밌었어요. 1-2가 동시에 개봉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밥심
책 294-295쪽에 실린 역대 천만영화목록에는 33개의 작품이 올라있는데 그 중 한국영화는 24개입니다. 33개의 작품들은 천만을 동원한 영화답게 제가 안 본 것이 5개 밖에 안 됩니다. 겨울왕국2, 알라딘, 신과 함께-인과 연, 아바타: 물의 길, 택시운전사 이렇게 다섯 작품입니다. 한국영화인 <신과 함께-인과 연>을 안 봤는데 <신과 함께-죄와 벌>을 보고 실망해서 안 본 기억이 나고요, <겨울왕국2>와 <알라딘>은 제 취향이 아니어서 안 봤습니다. <겨울왕국>은 하도 TV에서 방영해서 어쩌다 본 것 같습니다. ㅎㅎ <아바타: 물의 길>은 크게 끌리지 않아 안 보았습니다. <택시운전사>는 어쩌다 보니 놓쳤구요.
가장 좋았던 천만영화라.. 아이러니하게도 잘 떠오르지 않고 오히려 이 영화가 천만영화라니 하는 것들로는 <신과 함께> 시리즈와 <해운대>를 꼽고 싶고 <명량>은 너무 많은 관객수가 믿기지 않습니다.
비록 천만영화에 들진 못했지만 <범죄도시> 첫 편이 당시에 굉장한 쾌감과 재미를 주었다는 기억이 있습니다.

꽃의요정
허거덩~ 저랑 안 본 영화가 똑같네요!! 저도 <신과 함께>는 한 번 보지 두 번 볼 영화는 아닌 것 같아 뒤에 나온 건 안 봤거든요. 근데 <명량>도 안 봤네요....이유는 쩜쩜쩜
전 가장 좋았던 천만 한국 영화는 <왕의 남자>입니다. 이준기도 좋았지만, 감우성 씨가 그 영화에서 평소보다도 더! 특출나게 연기를 잘 하셨다고 생각해서요.

구반장
이번 달은 빨리 완독했습니다. 그리고 정리한 내용을 NotebookLM으로 팟캐스트로 변환해 봤습니다. 가볍게 들어보실 만합니다^^;
https://notebooklm.google.com/notebook/30fb3d1a-cf8d-413d-b4ca-98fba5af85ca/audio
밥심
AI를 이용한 쓰임새가 많은 도구들이 속속 만들어지네요. 요약 정리를 아주 잘 하신 것 같아요. 팟캐스트로 만들어진 아웃풋을 들어보니 말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강작가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이기원
완죤 대단합니다. 배우고 싶습니다.

구반장
항상 감사합니다. 아래 만드는 방법을 정리해서 올렸습니다^^ 참고하셔요~
https://blog.naver.com/ribis9/223941258484

소란보동
참여합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