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 없는 경쟁의 순위가 경마랑 비슷한 점일까 생각도 드네요.
[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D-29

도리

지호림
알파고 이후 바둑계에 찾아온 패러다임 시프트가 체감되는 내용이었습니다. 기존에 알던 세계가 무너지고, '예술' 혹은 '철학'으로 여겨졌던 바둑의 개념이 완전히 뒤바뀐 경험을 프로 바둑기사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담은 대목이 압권이네요. 이를 바탕으로 문학에 찾아올지도 모르는 지각 변동, 그 과정에서 ‘변질’되는 게 무엇일지, 다음 장이 기대됩니다.

지호림
조 9단은 “바둑을 어떤 식으로 놓는다는 것은 세상을 어떤 식으로 살아가겠다는 나만의 선언”이라며 “거장들의 바둑 대결은 이러한 세계관과 가치관의 충돌”이라고 썼다.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33쪽,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호림
“ 알파고는 바둑을 제대로 둔 것이었고, 인간 기사들이 그걸 이해하지 못한 것뿐이었다. (…) 이세돌 9단은 알파고와 다섯 번의 대국을 마친 뒤 “인간의 창의력, 바둑 격언, 기존의 수법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었던 것이 정말 맞는가”라고 말했다.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38쪽,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호림
“ 바둑계에서 프로기사가 되는 것은 클래식 음악계에서 전문연주자가 되는 것과 비슷하다. (…) 프로기사들은 청소년기를 바둑 공부에 온전히 바친 사람들이다. 다들 두뇌가 대단히 비상하고 정신력도 매우 강하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기사가 될 수 없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이 배웠던 바둑이 틀렸음을 인공지능을 통해 알게 되었다.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38-39쪽,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호림
“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말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아무튼 심오한 게 문학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기 계는 그런 걸 구현할 수 없다’라고 자신 있게 주장할 수는 없다. 소설을 쓰는 데 필요한 게 창의성이든 문학성이든 뭐든 간에, 그걸 인간만 가질 수 있다고 말할 근거는 아무것도 없다. 알파고가 주는 교훈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가 막연하게 ‘그건 불가능할 거야’라고 생각한다고 해서 실제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47쪽,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호림
바둑이 인문학의 영역에서 누가 누가 AI를 잘 따라 하느냐의 싸움으로 바뀌었다는 게 꽤나 충격적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인공지능 덕분에 성장배경과 관계없이 누구나 바둑을 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화, 공평함을 이루어냈다는 평가에 고개가 끄덕여졌네요.
여기까지 읽었을 때, 인공지능이 정말 예술가가 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었습니다. 인공지능 아무리 바둑을 잘 둬도, 그를 프로기사라 부르지 않으니까요. 얼마 전 편집자 K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김연수 작가는 예술가는 시간을 거쳐야만 탄생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므로 작품을 만들어내는데 걸리는 시간이랄게 없는 인공지능을 예술가로 인정하기는 어려울 거라고요.(출처: https://youtu.be/hopqGn-omMo?si=cAZlzTurcSlV8Ah9) 이에 덧붙여 인공지능은 인격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도 염두에 둘 필요는 있을 것 같네요.
하지만 이렇게라도 ‘인정’ 받고자 하는 게 인간의 마지막 남은 자존심일 뿐이라면 어떨까요? 5장은 바로 그 지점을 짚고 넘어갑니다.

동아시아
이 논의에서 '예술'의 자리에 대체로 문학만 놓이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회화와 영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이미 예술 창작의 영역에 인공지능이 성큼 들어와 있지요. 인공지능을 예술가로 인정하기 어려울 수는 있지만,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예술가를 인정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지 않을까요? 예컨대 어떤 영화감독이 영상 생성 AI 구독료만을 제작비로 들여 훌륭한 애니메이션 장편영화를 만들었을 때(저는 곧 나타나리라고 봅니다), 그 영화는 영화제에 초대받을 자격이 없을까요? 작품을 생성하는 데는 실제 애니메이션 제작보다 턱없이 짧은 시간이 들었겠지만 그 영화감독이 자신의 상상을 구축하고, 이를 적절한 프롬프트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을 거쳐야 했을 텐데요.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은 몇 번으로 끝났고, 그 후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전문가 대 구세대 전문가의 구도가 된다는 (책에 여러 차례 반복되는) 내용의 의미가 이런 것이리라 생각합니다.
GoHo
“ 바둑 역사를 길게는 5000년으로 보거든요. 그 5000년 동안 바둑의 패러다임은 인간 중심이었는데, 그게 끝난 거죠. 단순히 포석이 변했다는 수준이 아니라 우리가 바둑을 대하는 방식, 바둑의 토양이나 문화 같은 게 송두리째 다 바뀌어 버렸어요. p55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프로기사들은 2018년부터 자신이 알던 바둑 이론을 머릿속에서 지워야 했다.' p56

sophia80
AI의 등장으로 일자리에 대한 걱정이 조금씩 커져가고 있습니다. 미래에 없어질 직업의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기에 이 책의 주제가 더욱 와닿는 거 같습니다. 바둑에 품고 있는 믿음은 제가 하는 일에 대한 믿음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AI가 우리 사회에 더 가까이 다가올 때 어떤 변화를 겪게 될지 앞으로 이야기가 기대됩니다.
GoHo
“ 지금 AI 공부를 아예 안 하면 시합에서 한 판도 못 이겨요. 어쨌든 먹고살기 위해서 승부를 하는 사람은 이 AI 시대를 무한긍정하면서 가야 하기는 하거든요. 그런데 AI 수법을 거부하고, 이걸 공부하느니 나는 그냥 바둑을 안 한다고 하는 분이 꽤 많아요. 제가 알기로 10명 이상인데 저는 그분들을 부러워하면서 AI 공부를 해요. 저를 잘 모르시는 분들은 조혜연은 AI 공부를 열심히 한다고 생각할 거예요. 저는 슬퍼하면서 공부하고 있는 거예요. p59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