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생각에는 인공지능이 아직 할 수 없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이른 따로 있다. 좋은 상상을 하는 것, 우리가 미래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 것, 그렇게 미래를 바꾸는 것이다. 윌리엄 어니스트 헨리의 시 <인빅투스> 마지막 구절을 조금 변형해 책을 마무리 하도록 하자
우리는 우리 운명의 주인이다.
우리는 우리 영혼의 선장이다.
아직까지는.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 사람은 불확실한 상태에서만 결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결단을 통해서만 성장하고 운명에 맞설 수 있다. p324
사람은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고 미래가 어떨지 몰라야 사랑하고 모험하고 발견하고 결단할 수 있다. -데이터 시대의 사랑-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5장, 6장을 읽으며 바둑에 기풍이나 기세라는 것이 무엇인가 ai가 두는 바둑에 기풍이나 기세가 있다고 볼 수 있는가
이런 생각을 짚어보는 것이 재미있네요. 프로 바둑기사님들 사이에서도 생각이 다른 것 같고요.
좋은 바둑과 이기는 바둑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7장에서 바둑이 예술인지 스포츠인지 따라가 보는 것도 단지 바둑 만의 얘기가 아니라 많은 분야가 이런 고민을 하게 될 것 같은데 책에서 비유한 대로 사진 기술이 등장하며 인상주의 회화 심지어 현대 미술로 진화 발전된 경우를 생각하면 ai기술이 앞으로 바둑을, 문학을, 음악을 어떻게 진보시킬지 파괴시킬지 두고 봐야 할 것 같아요.
Alice2023
ai 시대에 인간은 예술적인 성취는 거둘 수 없고 스포츠적인 성취만 이룰 수 있다.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ssun
애니메이션 회사가 앞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왜 AI 회사가 좌지우지하는가?(중략)
문학작품을 읽고 쓰는 방식을 인공지능이 멋대로 바꿔도 되나?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8장,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ssun
우리는 과학기술이 가치 중립적이라는 헛소리를 경계해야 한다. 과학기술은 물질 세계 뿐 아니라 정신 세계 깊은 곳까지 힘을 미치는 강력한 권력이다.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9장,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ssun
“ 더 고려해 볼 문제는 기계가 압도함에 따라 손상되지 않을 인간 활동이 '과연' 있겠느냐는 점이다. (조지오웰)(중략) '1984'에서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가해 통제한다. '멋진 신세계'에서는 즐길 거리를 쏟아부어 사람들을 통제한다.(중략) 어떤 이들은 이를 두고 '오웰의 예상은 빗나갔고 헉슬리의 예상 이 옳았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10장,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ssun
내 생각에는 인공지능이 아직 할 수 없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은 따로 있다. 좋은 상상을 하는 것, 우리가 미래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 것, 그렇게 미래를 바꾸는 것이다.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10장,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ssun
완독했습니다. 알파고를 겪은 바둑 기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이미 인공지능이 깊숙이 삶에 들어온 - 우리의 가까운 미래를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 유명 SF 작가님의 내한 강연이 화제였지요. 그때 인공지능이 쓴 글은 인간에게 감동을 줄 수 없다는 그 분의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너무 낙관적이지 않나 생각하기도 했었는데, 책을 읽으면서 저는 그런 의견이 조금 더 구체화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글쓰기의 발전 이 전에 독자, 사람들의 삶 자체가 인공지능에 의해 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던지는 질문이 앞서 말한 강연 내용보다 더 현실에 가깝다 생각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인공지능이 할 수 없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이 따로 있다는 장강명 작가님의 의견에도 동의합니다. 가치가 기술을 이끌기 위해서는 이런 희망을 갖고 '늦기 전에'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해야겠지요. 실제 각 분야 별로 윤리 위원회를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분야에 걸쳐 있는 이익 때문에 폭넓게 적용하기 위한 논의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그리고 저도 기도합니다. '김새섬 그믐 대표님 건강하게 오래 살게 해주십시오.'
지구반걸음
글을 읽다보니 생각나는게 있네요
제가 엄청나게 좋아하는 싱어송라이터가 있는데
그분 목소리는 제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있어요
Ai 음악제작에 많은 이야기가 나올때
기회사에서 그분의 진짜 목소리 찾기 라며 발표했는데
쉽게 찾기는 했는데...
만들어진 목소리에 얼마나 울었는지 몰라요
느닷없이 흐르더니 멈출수가 없더라구요...
제 삶이 사라진 느낌까지 들면서...
꽃의요정
“ 한국의 SF 소설가 듀나는 2016년 3월 9일 트위터(현 X)에 이렇게 썼다. “인간이 앞으로 굳이 존재해야 할 이유는 없다는 데에 한 표.” “우리가 더 나은 지적 존재를 만들 수 있다면 우린 그들의 요람이 된 것으로 만족하고 자리 를 양보해 주는 것이 도리.”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맛
“ 국경을 초월하는 문제라 국민국가가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술에 대한 공적 통제라는 과제는 기후위기 대응과 닮았다. 가치는 생물종에 비유할 수도 있다. 어떤 가치는 죽으며, 한번 죽고 나면 되살리지 못한다. 바둑 AI를 전부 금지해서 없애버린다 해도 프로기사들의 자존감은 되살아나지 않을 것이다. 서식지를 과거처럼 복원한다 해도 멸종한 생물종이 돌아오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맛
가치를 살리려면 가치를 정의해야 하는데 우리는 가치가 무엇인지조차 모르고 있네요. 재미도 그렇구요. 저는 테크노-낙관주의자여서 기술의 진보가 막연하고 구체적으로 좋은 세상을 만들어줄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 책을 읽으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어요. 매일매일 hack과 solution을 찾아 헤매고 있지만 사실 그것들은 삶을 바꾸지 않죠. 삼권분립의 발명같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고민과 인간이 낼 수 있는 대답이 필요한데 그럼 개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큰 물음표를 남겨줘서 감사합니다. 김새섬 대표님의 쾌유를 빕니다.
동그란숲
가치있는 일을 하고 싶다고, 가치 있는 삶을 살고 싶다고 말하면서도 우리는 가치가 뭔지 잘 모른다.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62%,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창원북카페안온
이 부분을 듣고 읽었을 때만 하더라도 인간의 가치나 삶의 가치 등에 대해 많이 생각해봤었는데요.
시간이 지나고나서 드는 생각이, '왜 우리는 모든 것에 정답을 요구하는가'였습니다. 절대적 진리가 없는 것에 대해서 절대적 기준이나 정답이 있는 것처럼 생각을 유도하는 질문인건가 싶었어요.
사물은 사물 고유의 기능이나 형태에서 가치를 찾지만, 생명체를 어떤 기준을 가지고 가치 측정을 하거나 가치 의미를 부여한다면 오히려 그게 더 무서운 세상이 될 것 같아요.
천편일률적인 인간 가치를 세우고 그것을 공유해야한다는 방향은 책에서도 언급된 <멋진 신세계>나 <1984>로 가는 길인 것 같습니다. 그것을 실행하는 것이 긍정과 자유냐 부정과 억압이냐의 차이만 있구요.
꽃의요정
“인공지능이 인간 챔피언을 이기는 날은 절대로, 끝까지 오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우리가 그때 너무 무지하고 오만했어요. 반성을 많이 했죠.” 하호정 4단
『먼저 온 미래 - AI 이후의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꽃의요정
비단 바둑의 얘기만도 아니고 저 또한 오만함에 빠질 때가 종종 있어 이 문장을 다시 가슴에 새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