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북다 출판사입니다.
달달북다 시리즈의 열한 번째 이야기,
‘로맨스×비일상’ 키워드의 <애정망상> 독서 모임과 이어지는
권혜영 작가님의 라이브 채팅을 위한 모임입니다.
<애정망상>을 읽으신 후, 권혜영 작가님과 함께
자유로운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신 분들 모두 환영합니다! 💬
📚 <애정망상> 독서 모임 보기
- https://gmeum.com/meet/2594
📅 라이브 채팅 일정
- 7/2(수) 오후 7시
───────────────────
실체도 상처도 없는 새로운 연애의 영역
귓속에 존재하는 나의 고막 남자친구💘
“현실 남자에게는 이제 아무 감정 없음. 사랑 없음.
이해 없음. 의미 없음.”
일방적 사랑으로 점철된 애정과 망상,
고막 남자친구의 목소리를 되찾기 위한 분투가 시작되는데….
도서 자세히 보기▶ https://bit.ly/3H3K91A
[북다] 《애정망상》 권혜영 작가와 함께하는 라이브 채팅! (7/2)
D-29

북다모임지기의 말
느티나무
라이브채팅 기대되요 !!!!

북다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느티나무님! 내일 라이브 채팅에서 뵙겠습니다.😊

물고기먹이
이번에는 안하시나? 기웃기웃거려봤는데!!! 기다렸습니다 :D

북다
이번에는 모임과 텀이 좀 길어졌지요.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일 7시에 뵈어요!😙

포테포튜드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웃기웃
푸린
오늘도 기대하며 기다리고 있습니다! >.<
화제로 지정된 대화

북다
💘 잠시 후, 7시부터 권혜영 작가님과의 라이브 채팅이 진행됩니다!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향
안녕하세요. ‘일상에서 가장 비현실적인 사건, 사랑’ 로맨스x비일상을 키워드로 한 달달북다의 열한 번째 작품, 권혜영 작가님의 《애정망상》 라이브 채팅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사회를 맡은 북다의 편집자 정수향이라고 합니다. ( •̀ ω •́ )✧
제가 먼저 준비한 질문을 다 드린 후, 독자 여러분께 따로 질문 시간을 드리려고 합니다. 이 점 참고하시어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먼저 작가님과 함께 인사를 나누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편집자향
안녕하세요. 작가님! 이렇게 채팅으로 인사드리니 감회가 새롭네요. ㅎㅎ 요즘 어떤 나날을 보내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권혜영
안녕하세요, 저 역시 채팅으로 인사드려 감회가 새롭습니다. 저는 일하고, 소설 쓰고, 책 읽고……. 그런 반복적인 나날을 보내고 있어요. 아 참! 제가 요즘엔 절판 도서를 중고로 사 모으는 새로운 취미가 생겼습니다. 며칠 전에 이사카 코타로의 소설 『사막』을 구입했어요. 나나난 키리코와 콘 사토시의 만화책도 구입했고요. 『잘 자, 뿡뿡』이라는 만화책도 사고 싶은데 이건 시세가 너무 높아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편집자향
오! 작가님 재미난 취미가 생기셨군요. 나중에 작가님의 책장을 구경해보고 싶습니다. +_+ 흐흐.. 절판 책 구매 흥미로워용

도림천
왁 안녕하세요 편집자님 작가님!
푸린
안녕하세요 작가님~! 뵙는 날을 기다렸습니다 ㅎㅎ

포테포튜드
안녕하세요~~~!

편집자향
그럼 본격적으로 작품 이야기로 슝! 들어가보겠습니다.
작가님께서는 소설집 《사랑 파먹기》를 통해 일상과 비일상을 교차시키며 인물들이 슬픔 너머의 현실을 비로소 마주 볼 수 있도록 이끌어오셨는데요. 달달북다 시리즈를 통해 ‘로맨스 소설’, 그중에서도 키워드 ‘비일상’을 청탁받으셨을 때 어떤 마음이셨는지, 그리고 작가님이 생각하시는 ‘로맨스’란 무엇인지 함께 말씀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φ(゜▽゜*)♪
오지
잘자뿡뿡 이란 이름이 귀여워서 저도 궁금해졌어요! ㅎㅎ 특별한 취미네요
권혜영
‘비일상 로맨스’라는 키워드로 소설 청탁을 받은 것이 23년 연말 즈음인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키워드와 테마가 있는 청탁이었지만 ‘비일상’도 그렇고 ‘로맨스’도 그렇고 두 가지 모두 저한테 그리 생소한 느낌은 아니었습니다. 근거 없는 자신감이 있었죠. 내가 쓰고 싶은 것을 쓰면 되겠구나, 그런 마음이었습니다. 그런데 글을 쓰다 보니, 비일상은 그럭저럭 써나가는 것 같았지만 ‘로맨스’에서 고민이 많아졌습니다.
권혜영
흔히 ‘로맨스’라 하면 두 사람이 만나서 사랑이 이루어지기까지 가슴 설레고, 이런저런 말들을 주고받다가 오해하고, 또 애달파하다가, 결국엔 좋은 쪽으로 결실을 맺게 되잖아요. 그런 이야기를 접하면 아름답고, 절절하고, 좋지요. 저도 로맨스를 읽을 때 그런 식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를 좋아하기도 하고요. 그런데 제가 직접 쓰다보니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지더라고요. 저의 삐딱한 시선 때문일까요?

편집자향
작가님의 '삐딱한 시선'(positive)이 소설에 잘 녹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ㅎㅎㅎㅎ
권혜영
이루어지는 ‘로맨스’, 상호 합의된 쌍방의 ‘로맨스’라는 것이 어찌 보면 나라를 세운 건국의 역사, 전쟁에서 싸워 이긴 ‘승자의 역사’만을 기록하는 것과 다를 게 없지 않나? 그런 생각이 문득 들었어요. 그렇다면 나라를 세우지 못한 로맨스, 전쟁에 싸우다 패배한 로맨스는 로맨스가 아닌가? 제가 내린 답은 아니다, 였어요. 그렇게 정하고 나니 여러 형태의 ‘로맨스’들이 보이기 시작하더라고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