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권력과 진보』는 읽었어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
D-29

YG

꽃의요정
너무나 놀랍게도 전 오늘 완독했어요. 읽기 쉽지는 않았지만, 어떻게 이렇게 세세하게 그 때의 상황을 묘사했는지 놀라울 따름입니다. 그러나....누가 누구인지 아직도 헷갈려요. 고르바초프-옐친-부시만 구분할 뿐....그래도 외워 보려 발음 한 번씩 더 해 보고...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들었던 생각은 소련? 혹은 고르바초프는 어쩜 이렇게 당당하게 차관을 요구하는 건지...그 점이 의아했습니다. 우린 가난하니까 돈 많은 너네가 '당연히' 도와야지?란 생각인 걸까요?
돈을 빌릴 수는 있지만, 그 당당함에 또 한번 문화충격?을 느꼈습니다. 아님 국제적으로는 그래도 되는 건가요?! 제가 너무 나이브한 건가요?!
사람의 감정이란 알 수 없는 것이지만, 고르바초프에 대한 부시의 편애도 좀 이상했고요.
(터닝 포인트는 아직도 보고 있습니다. ㅎㅎ)
중간에 푸틴이 잠깐 등장했을 때는 '드디어!'란 생각에 잠깐 가슴이 떨렸는데, 이 책에서 활약하기엔 시기상조였던 것 같습니다.
항상 훌륭한 책들을 선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borumis
그쵸 당시 그들의 대화나 회의 분위기 등 너무 생생하게 잘 전달해주는 것 같아요. 푸틴은 마치 prequel을 보는 듯합니다.
전 돈 빌리는 당당함 속에서 또 맘 바뀌기 전에 빨리 챙기라는 베이커의 직설적인 조언도 쇼 킹하더라구요. 생각보다 더 민낯을 많이 보여주는 외교현장입니다..ㅎㅎ

꽃의요정
전 베이커 씨가 15억 달러라도 챙기라는 거 보고, 무슨 조폭 드라마인가 했어요. 근데 저 같았으면 받았을 거 같은데 안 받고 가는 모습에서 너무 굴욕적인 금액이라 안 받아 간 거냐고 묻고 싶었어요. 제가 그릇이 작아서 그런지 저라면 받았을 거 같거든요. 그래서 전 정치가가 못 되나 봐요.

롱기누스
11장 읽으면서 푸틴이 나오길래. 저도 같은 생각을 했었는데요...ㅎㅎㅎ 아직은 시기상조였군요.

borumis
앗 그렇군요! 같은 작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