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된 장소에서>가 그런 책이었군요. 전 지금까지 <1Q84> 1권만 두 번 읽고 아직도 완독을 못하고 있습니다. '약속된 장소' 읽으면 완독할 수 있으려나 모르겠습니다. ㅋ 그나저나 그의 신간 소식이 안 들리네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
D-29

stella15
Elqn
저도 함께 달려가보겠습니다. 냉전을 아직 마무리 하지 못했어요~ 금새 따라 잡을게요 ^^

YG
@Elqn 그렇지 않아도 이번에도 따라 오셨을 것 같은데, 하고 궁금했습니다. 얼른 따라잡고 합류하세요!!! :)
달맞이
냉전 마지막장을 남겨두고 있는데 냉전의 마무리는 고르바초프인거 같아서 이번달에도 참여합니다 책 선택이 정말 환상입니다 이번달에도 열심히 따라가겠습니다

YG
@달맞이 님! 『냉전』은 마지막 장과 에필로그가 특히 압권이에요! 얼른 읽으시고 이번 달에도 즐겁게 함께 해요.

꽃의요정
저도 책GPT에서 빵 터졌어요~ 우리나라 사람들 역시 작명센스 굿이에요!

꽃의요정
저는 드디어 어제 대출 받아 책을 받아 와서 남편 보러 들라고 했더니, 왜 이렇게 두꺼운 책을 읽냐며 구시렁구시렁...집에 와서 다시 보니 제가 첫 대출자 같더라고요. 아이 좋아~
오늘 출근길에 서서 읽는데...오십견 올 뻔 했어요. 600쪽 남짓이지만, 한 장 한 장의 내용이 묵직해서 천천히 곱씹으며 읽고 있습니다....그리고....또 러시아 사람들 이름의 늪에 빠져 허우적~어푸어푸~!!

stella15
전 대출 받으셨다고 해서 그 대출인 줄 알고 깜짝 놀랐어요. 아니 뭔 책을 대출꺼정! 뭔지 알죠? 암튼 축하합니다.ㅎㅎㅎ

연해
어머, 반가운 이름 등장! 얼마 만에 @꽃의요정 님 이름 보는 건지 모르겠어요(흑흑). 대출이 늦어져서 합류하지 못하셨던 거군요. 첫 대출자라는 말씀에 미소가... 저도 그런 것 같더라고요. 지하철 대출로 신청했는데 받자마자 너무 새책. 아이 좋아2
저도 <냉전>보다 짧아서 괜찮을 줄 알았는데, 오히려 더 집중해서 읽어야 맥락을 따라가게 되더라고요(제가 그걸 잘 하고 있는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뭐 일단은). 그리고 위에서 @향팔 님과 @borumis 님이 '페이지 수는 적은데 글자 수가 많아 보인다'는 의견을 올려주시기도 했는데, 그 영향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러시아 이름 미로에서 엄청 해메고 있어요. 읽다가 문득 궁금한 게 그 나라 사람들은 서로 이름 부르기 안 불편한가? 싶더라고요. 요즘도 이 책 읽으면서 연인한테 '고르바초프'를 종종 언급하게 되는데, 저는 왜 이 발음도 입에 잘 안 붙는지...

borumis
러시아 소설 보면 그 이름도 다양하게 바꿔 부르잖아요;; 흐미 헷갈려..;;;

borumis
아아 그래도 도서관에 있나보네요. 좋은 도서관입니다. 저희 도서관은 가격이 비싼 건 신청을 아예 안 받더라구요..(아니 이런 책을 도서관에 신청해야지;;)

꽃의요정
저도 상호대차해서 받는 거라, 저희 동네 도서관이 좋은지는 잘 모르겠어요. ㅎㅎ 그래도 감사한 마음으로 빌립니다. 근데 가끔 아무 생각없이 빌렸는데 엄청 두꺼운 책이면, 도서관에서 나가자마자 보이는 책반납함에 바로 넣고 줄행랑치고 싶은 욕망에 휩싸입니다. 허나 소심한 A형이라 끙끙거리며 집에 들고 갔다 며칠 묵히고(읽지는 않고-이유는 지하철에 들고 다닐 수가 없어) 고대로 반납할 때도 많아요.
그러믄요
인트로 읽었는데 냉전 후에 읽을 책으로는 이만한 게 없을듯합니다. 더운데도 계속 진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G
@그러믄요 서문 강렬하죠? 내일(7월 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다들 책들은 구하셨나요? 이번 달에는 스물네 분이 신청을 하셨어요. 아무래도, 대중적인 관심사가 있을 법한 주제는 아니니 소박하게 꾸려서 끝까지 즐겁게 진행하겠습니다.
내일 7월 4일 금요일부터 '서문: 퍼즐'을 읽는 것으로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서문: 퍼즐'은 6월에 함께 읽었던 『냉전』 말미에서 갑작스럽게 몰락한 동유럽 사회주의와 소련의 모습과 곧바로 연결되는 장입니다.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부터 시작해서, 그의 핵심 문제 의식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니 분량은 짧더라도 꼼꼼히 읽기를 권해드립니다.
전체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1부가 조금 어렵고 (내용이 어렵다기보다는 러시아식 인명, 당시의 복잡한 상황, 특히 아주 구체적인 정책 실패 사례 등이 복잡해요) 2부는 다큐멘터리 같습니다. 감안하시고 따라오세요!

stella15
말씀 드리는 순간, 25분이 되었습니다! ㅎㅎ

Nana
책 딱 맞게 어제 도착했습니다! 7월 잘 따라가보겠습니다!

YG
@Nana 님, 7월에도 환영합니다. 종종 감상도 남겨 주세요!

꽃의요정
말씀하셨던 '터닝포인트'도 하루에 10분씩 아주 느림보 거북이처럼 보고 있는데, 책 읽는 데 많은 도움이 돼요~ 확실히 영상은 깡패입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