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소련의 종말에서 무엇보다도 돈이 결정적이고 가차 없는 역할을 했음을 깨닫고 크게 놀랐다. 소련 시절에 경제적 무지라는 내 사회적 배경을 고려해보면, 예전에는 완전히 놓친 것이었다.
”
『소련 붕괴의 순간 - 오늘의 러시아를 탄생시킨 '정치적 사고'의 파노라마』 서문, 27~28쪽, 블라디슬라프 M. 주보크 지음, 최파일 옮김
문장모음 보기
YG
주보크랑 베스타랑 그 주제로 수다를 한 번 떨었을 거라는 데에 500원 겁니다. 주보크가 서문에서 이런 얘길 써 놓았잖아요.
향팔
네, 정말 그랬을 것 같네요 ㅎㅎ 지금 @YG 님 문장을 보고 서문을 다시 한번 뒤적여봤는데, 아? 모임 첫날에 읽었을 때에 비해 눈에 확 들어오네요! ‘아, 이 말이 이뜻이었구나’ 하는 대목들, 본문을 다 읽기 전에는 잘 몰랐던 의미도 다시 보이고, 제가 오해했었던 부분들도 있고… 아무래도 결론을 다 읽고난 뒤 서문을 다시 한번 정독 해봐야겠습니다.
꽃의요정
제가 너무 물질주의자라 '돈'이란 키워드만 보이나 했는데....역시 개인이나 집단이나 현세에선 돈이 모든 걸 지배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는 100퍼센트 공감하는 게, 만약에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개방이 경제적 파탄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면 고르바초프의 소련의 운명은 많이 달랐으리라 생각합니다.
YG
모임 마무리를 하려다 보니, 제가 주보크 옹 얼굴을 한 번도 본 적 없다는 생각이 나서 갑자기 찾아봤습니다. :)
YG
참고로, 오드 아르네 베스타의 사진은 이렇습니다.
연해
오호, 사진으로 접하니까 또 새롭습니 다. 막연히 상상하던 모습이 있었는데, 생각보다 인자하게(?) 생기셨네요. 두 분 다 잔잔히 미소 짓고 계셔서 더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6월, 7월, 두 분 덕분에 힘드ㄹ... (아, 이거 아니지) 유익하고 의미 있었어요! 근데 이 사진들 보니까 불현듯 새폴스키 사진도 떠오르네요. 락(개코원숭이)과 함께 한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