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라주의 첫 몸짓은 폭력을 담고 있지만, 그 마지막행위는 봉합과 수정, 가능성에 대한 은유다. 형태가 은유적이고, 끊임없이 탈바꿈하며, 반항적이고, 교정적인 콜라주는 삶과 예술 모두에서 지속되는 페니미스트 전략이다. 그렇게 권위주의의 산물로서 만들어진 책의 상징 또한 허물어진다. ”
『서울리뷰오브북스 18호』 p97, 최현진 외 지음,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콜라주가 책을 해체한 것도 참신했는데요.처음에는 무슨 의미일까하는 궁금증이 생겼는데요. 권위주의의 상징인 책을 허물어뜨리기 위한 표현이였다는걸 보고 멋있 다고 느꼈어요.
느티나무
“ 하나의 원고가 열 명의 편집자를 만나면 각기 다른 열 가지 책이 된다. 편집자 한 사람이 가진 생각, 감각, 열의 그리고 집요함이 책을 만들기 때문이다. 그만큼 책을 만드는 일에서 편집자 한 사람이 중요하다. 산업이 처한 어려움을 교육이 해소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나 사화 자본으로서 출판 인프라의 사정을 알고 책을 만드는 일을 시작하는 것에는 의미가 있다. ”
『서울리뷰오브북스 18호』 p107, 최현진 외 지음,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책을 구매하기전에 표지를 자주 보는편인데요. 표지의 색감이나 구성을 볼 때 제 취향일 때 구매할 때가 많은데요. 편집자님의 정성이 들어가서 책이 더 매력적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만렙토끼
저도요! 특히 서리북은 지난호 표지와 이번호 표지를 비교하면서 어떤 부분에 신경을 쓰셨을지 글을 읽으며 보이니까 더 좋더라구요
느티나무
“ 그러나 당연하게도 원칙적으로는 모든 책이나 논설은 개인의 일기장이 아니다. 커뮤니티로 출판되는 순간부터는 자신만의 글이 아니라 사회가 소비하는 글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서평자가 타인의 저작물을 어떻게 소화하는지는 온전히 서평자의 몫이다. 그에 대해 여전히 동의를 하지 않고 다시 반론을 펼치는 것도 당연히 원저자의 권리다. ”
『서울리뷰오브북스 18호』 p206, 최현진 외 지음,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인생은 그리 길지 않고, 책장은 15년이 지나도 멀쩡하다. 어쨌든 욕심껏 장만했던 책과 책장 을 정리해야 할 순간이 되니 좀 마음이 산란하다. 다시 강조하지만, 인생은 짧고 책과 책장은 인생보다 더 길다. ”
『서울리뷰오브북스 18호』 p208, 최현진 외 지음,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화이결실 낙화역생. 꽃 피우고 열매를 맺는게 훌룡한 인생이고 모두 그처럼 꽃과 열매를 얻기를 축원하는 바이나, 떨어지는 꽃도 인생의 일부가 아닐 리 없다.
『서울리뷰오브북스 18호』 p211, 최현진 외 지음,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음
문장모음 보기
stella15
아, 저도 김만수 교수님 글 뭉클하게 읽었습니다. 은퇴하시면서 그 많은 책들을 어찌 보내셨을까 싶더군요. 예전엔 무조건 책을 모아두는 게 좋던데 나이드니까 꼭 그렇지만도 않더군요. ㅋ
느티나무
문화는 결코 상품이 아니며 산업이 아니다. 문화는 달콤한 솜사탕이 아니라, 인간의 근본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근원적인 것이다.
『서울리뷰오브북스 18호』 p214, 최현진 외 지음,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독서 모임은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교류하는 시간이 필수적이다. 그때 비로소 참가자들은 자신이 이 모임에 참여한 진짜 이유를 발견하게 된다.
알라딘에 남기신 리뷰 잘 보았습니다. 저도 창간호를 가지고 있는데 그사이 시간이 이렇게나 흘렀네요.
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꼼꼼히 잘 읽어보자 생각했는데 읽지 않은 책에 대해, 그것도 평소 거의 접하지 못한 책에 관한 이야기다보니 감상 한 줄 남기는 것도 쉽지 않았네요.그래도 두 권 정도는 독서 목록에 추가해 두었습니다.
여전히 제게 서리북의 담장은 높지만, 오늘이 마지막이라니 아쉬운 마음에 이렇게 스텔라님 글에 얹혀갑니다. :)
참여할 수 있어서 즐거웠습니다.
stella15
그러게요. 동감입니다. 담장이 높긴하지만 몰랐던 책을 알아가는 기쁨도 크죠? 저도 즐거웠습니다.^^
아, 근데 웬지 @hyunjung 님 이름이 저의 본명과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ㅎㅎ
hyunjung
앗, 닉네임인 척 하려고 했는데. ㅋㅋ
그렇다면 즐거운 우연이네요. :)
stella15
ㅎㅎ 그러게요. 반갑습니다.^^
김새섬
<라이프 이즈 하드>와 <이것이 기술 윤리다> 서평 역시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저도 @hyunjung@stella15 님처럼 서리북 창간호 발간될 때의 기억이 생생합니다.
@서울리뷰오브북스알렙 님께서 저의 졸고를 실을 기회를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덕분에 서리북의 다른 글들도 차분히 읽어볼 기회를 갖게 되어 즐거운 한 달이었습니다. 올 여름 날이 많이 무더운데 함께 참여해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서리북의 가을호도 기대할게요. ^^
stella15
아, 저도 새섬님 글 읽었습니다. 저는 그믐이 타 플랫폼과 다른 게 뭘까를 생각할 때 그건 바로 누구든지 자유롭게 모임을 이끌 수 있는 있는 것에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저 개인적으론 글타래로 말풍선이 주렁주렁 달린다는 것이죠. 어떻게 이런 시스템을 만드실 생각을 하셨을까? 쓸 때마다 감탄하곤 합니다. 하하.
GoHo
무지한 채 달려들어서 마지막 날까지 마무리를 제대로 못했습니다..
그래도 올려주신 링크 따라 반론.재반론을 읽어가는 중이고..
(김새섬 대표님의 글은 제일 먼저 읽었습니다..ㅎ)
그리고.. 밀리를 통해 '국가는 어떻게 무너지는가' 또한 짬짬이 읽고 있습니다..
저는 '국가는..' 이 책 한 권을 잘 완독하는 것으로 '서울 리뷰 오브 북스 18호' 함께 읽기 마무리로 정했습니다..
제겐 좀 벅찼지만 가벼운 독서에서 무게감 있는 독서도 접해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도서증정-고전읽기] 셔우드 앤더슨의 『나는 바보다』[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 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커리어와 나 사이 중심잡기 [김영사] 북클럽
[김영사/책증정] 일과 나 사이에 바로 서는 법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함께 읽기[김영사/책증정] 천만 직장인의 멘토 신수정의 <커넥팅>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구글은 어떻게 월드 클래스 조직을 만들었는가? <모닥불 타임> [김영사/책증정]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 편집자와 함께 읽기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