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시와 문학평론을 쓰는 송승환입니다. 반갑습니다!
함께 책 읽는 것이 매력적이어서 저도, 그믐, 모임지기가 되었습니다.
부족한 점 많겠지만. 여러분의 도움과 적극적인 참여로 즐거운 순간들을 발명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에는 김혜순 선생님의 시집 읽기 시즌 3을 시작합니다.
시즌3, 7월에는 4권의 시집을 7.10(목)부터 읽습니다.
*신청 마감은 따로 없습니다. 언제든지 참여해주세요.
처음 김혜순 선생님의 시를 접하시는 분들도 함께 참여하시면 더 좋겠습니다! 글의 느낌, 궁금한 점을 자유롭게 올리시고 덧글도 서로 달아주시면 됩니다. 저도 올리면서 소통하겠습니다. 저의 인사글에 댓글로, 서로 반갑게 인사하고 가능하신 분은 간단한 자기소개도 해주시면 더 친근한 공간이 될 듯 싶습니다.
*
시즌 3
1주: 7.10(목) 『한 잔의 붉은 거울』, 문학과지성사.
2주: 7.17(목)『당신의 첫』문학과지성사.
3주: 7.24(목) 『슬픔치약 거울 크림』, 문학과지성사
4주: 7.31(목) 『피어라 돼지』, 문학과지성사
*시즌 4
8. 7(목): 『죽음의 자서전』, 문학실험실
8.14(목) 『날개, 환상통』, 문학과지성사
8.21(목)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 문학과지성사
8.28(목)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읽기 1 문학동네
*시즌 5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읽기 2 문학동네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읽기 3 문학동네
*아울러 매주 목요일 : 2025년 7월 10일부터 7월 31일까지 / 매주(목) am 10:00-12:00(2시간)
온라인으로도 세미나를 진행합니다.(당일 zoom접속 주소 알려드립니다) 온라인 세미나 참석 필수는 아닙니다. 게시판 활동만 하셔도 됩니다. 시즌 중 언제든지 참여 가능합니다.
[신청] 수정된 구글폼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S768FIx-kmhPtevJOmn6JHqImAQ5iWtaG6i-qfNWJw7ldSQ/viewform?usp=header
감사합니다! 송승환 드림.
김혜순 시집 읽기 시즌 3
D-29

송승환모임지기의 말
숨쉬는초록
안녕하세요. 시 읽기 다시 시작합니다.
이번 시즌 지정도서를 다 읽기는 힘들어 한 권 골라 읽으려 합니다.《피어라 돼지》1부가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된 돼지들에 관한 시"라고 하는데 읽어보겠습니다.
숨쉬는초록
“ 있지, 지금 고백하는 건데 사실 나 돼지거든. 있지, 나 태어날 때부터 돼지였어
더러워 나 더러워 진짜 더럽다니까. 영혼? 나 그런 거 없다니까
(...)
있지, 너 돼지도 우울하다는 거 아니? 돼지도 표정이 있다는 거?
물컹거리는 슬픔으로 살찐 몸, 더러운 물, 미끌미끌한 진흙 ”
『피어라 돼지』 <돼지는 말한다>, 김혜순 지음

피어라 돼지문학과지성 시인선 480권. 김혜순 시인의 열한번째 시집. 세상의 모든 약한 존재자들을, 죽음과 부활을, 사랑과 욕망을, 성과 식(食)을 제 몸에 구현한 다면체-돼지의 몸과 입을 빌려 우리가 발 딛고 선 이 땅, 이 세계의 부패와 폭력, 비참과 오욕의 현실을 거침없이 비판한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숨쉬는초록
“ 돼지다, 도무지 밖을 본 적 없는 돼지다,내내 돼지다, 우울한 돼지다 (...) 뒈지는 돼지는 돼지라고 생각하는 뒈지는 돼지다
(...)
qqqq 무엇보다 제가 돼지인 줄 모르는 우리나라 돼지들의 교성 ”
『피어라 돼지』 <뒈지는 돼지>, 김혜순 지음
문장모음 보기
숨쉬는초록
<뒈지는 돼지>라는 제목은 우리 사회와 인간이 생명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너무나 잘 보여줍니다.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에 따르면, ‘뒈지다’는 ‘죽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인간에 의해 살처분된 돼지들의 죽음은 생명으로서 존중받은 죽음이 아니라 “뒈지는” 죽음이었습니다. 이 시를 읽으면서, 존중받지 못하거나 “뒈지는” 수많은 생명들을 생각합니다. 전쟁, 학살, 혐오범죄로 인해 죽임을 당하는 수많은 생명, 소모품으로 취급받는 노동자들, 이동권조차 보장받지 못한 장애인들, 공부하는 기계로 전락한 학생들, 생명으로 존중받지 못하는 동물들 ...
이 시는 “돼지다”, “돼지”, “qqqq”를 반복함으로써(그래서 시의 리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인간이 함부로 다루고 죽이는, 그 수많은 돼지들 하나하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숨쉬는초록
돼지더러 돼지를 버리라 닦달하시니 대단하시네요
(...)
몸 바깥이 아파요
(...)
도대체 넌 누구야?
글은 왜 쓰는 거야?
(...)
타인의 고통을 먹고 사는 년아
『피어라 돼지』 <철근 콘크리트 황제 폐하!>, 김혜순 지음
문장모음 보기
레몬나
참여합니다!

송승환
@레몬나 반갑습니다!! 무더위와 습기, 모두, 잘 이겨내시길요!
숨쉬는초록
“ 여자들의 머리칼이 수세미처럼 흩어지고 아이들의 송곳니 아래서 살찐 암소들이 누운 벌판이 뼈를 발리는 곳 이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여자는 굴 껍데기 속에
굴처럼 미끈거리는 집을 지었습니다
집은 굴처럼 쉽게 상하고
입속에서 미끈미끈 씹혔습니다
(...)
엄마는 입속에다 아기를 길렀습니다
아기는 엄마를 아껴서 파먹었습니다
아기가 여물어갔습 니다
(...)
엄마의 가슴이 아이스크림처럼 폭폭 떠 먹히고 실밥이 풀린 손들이 너덜너덜 국냄비 속으로 쏟아져 들어가는 곳 이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피어라 돼지』 <키친 컨피덴셜>, 김혜순 지음
문장모음 보기
숨쉬는초록
이 시에서 부엌은 생명을 죽이고 잡아먹는 잔혹한 행위가 일어나는 곳. 자기 아이 먹이느라 (생명을 죽이는) 여자의 생명도 닳는 곳.
이 시를 읽으면서 심란해집니다. 우리는 부엌에서 생명을 죽이고 잡아먹는 일을 일상적으로 하면서도 생명을 죽이고 있다는 생각조차 하지 않는데...
숨쉬는초록
“ 돼지9 길러서 먹어주세요
돼지9 먹고 울어주세요
돼지9 새끼도 낳아 드릴게요
돼지9 슬픈 인생이었다고 한 번만 말해주세요
(...)
맛있는 걸 당신이라고 불러도 되나요?
(...)
당신은 돼지를 사랑했다
익숙하게 살집을 가르고 신문지에 싸서 검은 봉지에 담아 주었다
모두 이름이 같은 돼지
돼지들이 걸어온다
다 먹어 치웠는데 또 걸어온다
배가 불러 죽겠는데 또 걸어온다 ”
『피어라 돼지』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당신>, 김혜순 지음
문장모음 보기
숨쉬는초록
돼지 축산에 종사하거나 돼지를 기르는 마을에 사는 사람이 아니라면 살아 숨쉬는 돼지를 만날 기회를 갖기 힘들 겁니다. 주로 책이나 사진, 그림, 영상으로 돼지의 이미지를 접하겠지요. 살아있는 돼지는 우리의 일상과 거리가 먼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돼지'라는 단어는 일상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돼지고기'라는 단어로. '돼지'라는 단어는 '생명체'라는 기의보다 '고깃덩이'라는 기의로 더 강하게 남아 있는 듯합니다.
고기를 얻기 위해 수많은 돼지를 사육하는 인간에게는 반드시 '이 돼지'를 고수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 돼지'가 없더라도 얼마든지 다른 돼지로 대체할 수 있으니까요. "돼지들이 걸어온다 다 먹어 치웠는데 또 걸어온다". 인간에게 돼지는 "모두 이름이 같은 돼지".
그런데 시인은 돼지를 "당신"이라 부름으로써 돼지가 생명을 지닌 타자임을 깨닫게 합니다. "맛있는 걸 당신이라고 불러도 되나요?" 여태까지 "당신"을 맛있게 먹어왔음을 불현듯 깨닫고, "당신"을 맛있게 먹는 행위에 마음이 불편해집니다. "당신"이라 부르며 어떻게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요? 돼지의 살처분이나 도축에 참여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당신"을 맛있게 먹는 우리 모두 생명을 죽이는 데 가담한 자들이라고 시인이 말하는 듯합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