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패러데이(Michael Faraday, 1791년 9월 22일~1867년 8월 25일)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1831년 6월 13일 ~ 1879년 11월 5일)과 함께 전자기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고 해요. 두 과학자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었던 것 같아요.
자기학의 아버지는 그보다 두 세기나 앞선 시대의 윌리엄 길버트(William Gilbertt, 1544년 5월 24일~1603년 11월 30일)이구요.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D-29

ifrain
GoHo
아하~~~^^bb

ifrain
마지막 한 방울까지.
마지막 한 글자까지.
좋았다.. 음미하며 — *

GoHo
오~ 맥스웰 고유 색상이 빨강인줄 알았는데..
파랑이 있네요..ㅎ

ifrain
지구의 역사 동안 지구 자기장의 방향은 여러 번 역전되어 왔으며, 지자기 북반구가 지자기 남반구가 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현상을 지자기역전이라고 한다. 지자기 역전의 증거는 지각판이 갈라지는 중앙 해령에서 볼 수 있다. 마그마가 맨틀에서 스며나와 굳어 새로운 해저가 되면, 그 안의 자성 광물은 자기장 방향으로 자화된다.
…
따라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해저에서 시작하여 더 오래된 해저로 이동하면 이전 시대의 자기장 방향을 읽어낼 수 있다.
https://en.m.wikipedia.org/w/index.php?title=Geomagnetic_pole&wprov=rarw1

Jenna
과학자님, 남극 세종기지에서 먹는 음식은 맛있나요? 저희 동네에 이런 곳이 생긴다네요. 🤣

만렙토끼
와, 한번 쯤 가보고 싶게 홍보를 하네요ㅋㅋ 저기 가게의 주방장님이 남극까지 가서 셰프로 있게 된 이야기도 궁금해지는 군요.
GoHo
사진 누르고 빵 터졌어요~ㅎ
색깔 때문에 연상된 게..
남극에서 운영하면서 눈보라를 뚫고 '짜장면 시키신 분~~~' ㅎ

polus
@Jenna ㅎㅎ 님극 기지에 수많은 셰프들이 오갔는데 이런 식당이 아직 없었다는 것도 신기하네요^^ 남극 기지음식.....;;; 제가 굳이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진달팽이
남극 기지에 셰프들도 많이 다녀가셨다는 사실도 신기하게 다가오네요. 극지에 계신 과학자님들의 '평범한 일상 이야기'도 궁금해요. 혹시 우리나라에도 세종, 장보고, 다산 과학기지의 잔잔한 일상 이야기를 담은 책이나 영화 같은 것이 있나요? 이번 기회에 '남극의 쉐프'도 찾아 봤는데, 그런 잔잔한 이야기를 좋아해서요. 실제로는 소중한 기회로 극지까지 와서 쉽지 않은 연구를 하느라 전혀 잔잔하지 못하게 지내시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ㅎㅎ

ifrain
박숭현 과학자님은 중앙해령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셨어요. 남극 근처 바다 위로 배를 타고 나아가 바다 아래로 탐사 기구를 내려보내 시료를 채취하는 등의 작업을 하셨어요. 그러니 바다의 여러 가지 상황이 변수로 작용하였을 테고.. 당연히 탐사 과정은 전혀 잔잔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어요. ^^ 제가 말씀드린 내용들은 '남극이 부른다'에 상세하게 나와 있어요.
진달팽이
아하, 직접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대신 탐사 기구를 내려보내셨군요.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는 일이 쉽지 않을 것 같아요. 남극 여행 상품 광고를 본 적 있는데, 비행기를 타더라도 세 번인지 네 번인지를 갈아타야 하는 모양이더라고요. 게다가 '극지에 있는 중앙해령'을 연구하신다니 상상조차 가지 않네요. 엄청 추운 데다 화성만큼 건조한 곳도 있고, 선크림도 꼭 발라야 하고 고글도 꼭 써야 하고, 사막처럼 신기루까지 보이는 곳에서,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서 수천 미터 바닷속을 연구한다니... 상상만 해도 더위가 싹 가실 만큼 무시무시해요. 네모 선장과 아로낙스 박사의 모험하고는 비교도 안 되게 짜릿할 것 같아요. 과학자가 되려면 먼저 몸도 마음도 튼튼하게 가꾸고 담력도 길러야겠어요.
그나저나 다음 주부터는 '남극이 부른다'도 함께 읽어야겠어요. 과학자님 이야기가 더 궁금해져서요.

ifrain
“ 저도 가본 적 없어 경험담을 말할 순 없지만, 극점만의 특수성은 존재합니다. 극점에 선다는 것은 자전축 위에 선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자전축에선 밤과 낮이 하루가 아닌 한 해를 기준으로 바뀝니다. 반 년 동안 밤이다가 별안간 낮으로 바뀌어 반년을 지속하기 때문이죠. 시간 기준도 다릅니다. 서울에 살면서 밤낮이 다른 뉴욕에 맞춰 살 수는 없지만, 극점에서는 어떤 시간이든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경도선이 만나거든요. 그러니 극점에 선다면 시간에 대해 새롭게 느껴볼 수 있지 않을까요? ”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pp.28~29,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감사합니다~ 잘 받았습니다~
'극지가 극기에 밀리다니, 충격이었다.' ㅎ
[극지연구소]
https://www.kopri.re.kr/


ifrain
이번 주는 계속 덥네요. ^^ '극기'가 중요했던 시절이 있었던 것 같아요. ㅎㅎ

얼치기맘
책 감사히 잘 받았습니다.
북극 남극을 닿을 수 없는 먼 곳이라고만 느꼈는데
갑자기 친숙해진 느낌입니다.

ifrain
극지는 저에게도 먼 곳이었는데 일러스트 작업을 하다 보니 제가 지금 남극에 서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 너무 더워서 그런 생각을 하며 착각을 하는지도 모르겠어요.

ifrain
자극에 대해 알아보다 여기까지 왔네요. :)
전자가 회전spin하면 자기장이 생긴다고 해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 무작정 그려봤어요. ^^

오늘하루도
자기장이 움직이는 것 표현했는데, 왜 저는 춤추는 것처럼 보일까요? 너무 귀엽습니다ㅎㅎ

ifrain
자기장이 움직이는 것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전자가 회전하면 자기장이 생긴다고 해서 그려본 거에요. ㅎㅎ '회전'이라고 하면 발레가 떠올라서 그런 느낌으로 그렸어요. ㅎㅎ 전자가 실제로 어떻게 생겼는지는 모르지만 전자와 친해지고 싶어서 귀여운 표정을 만들어봤어요.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