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을 반대로 돌면 자기장이 뒤집히고.. 전자가 짝을 이루어 spin이 상쇄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원자의 순자기가 ‘0’ 이 되고요. ㅎㅎ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전자가 회전하는 경우라고 해요. 처음에는 발레하는 사람 같은 이미지를 그렸다가 동그랗게 단순화했어요.
polus
지구가 자기장을 띄는 이유는 외핵이 액체로 되어 있어서 하전된 입자들이 분포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이 하전 입자들도 같이 회전해서 자기장을 유도하는 것이죠.^^
polus
극지에 대한 책인데 전자기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네요~^^
GoHo
남겨주신 댓글들 덕분에 새롭게 새롭게 알게 됩니다~^^
극렬하게 예열했으니 이제 극지를 향해 가열차게 달려야지요~ㅎ
만렙토끼
오, 저도 그 생각 했어요, 극지라서 극에 관한? 전자기에 관한? 이야기들이 많이 들어가는 걸까?하구요
GoHo
극지에서 유난히 적응력이 남다른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
이런 분들은 생체자기장이 지구자기장과 좀 더 끌림 관계일까..
뭐.. 이런 생각을 잠시..ㅎ
ifrain
생체자기장에 대해서 한 번도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없네요! GoHo님의 댓글 덕분 검색을 해봤어요.
생명체가 활동하면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생체전자기장이라 하구요.. 몸의 세포들이 전기적 신호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이런 전기적 활동이 모여서 전자기장을 형성한다고 합니다. 세포들에 경이를 느끼게 됩니다. ^^
Na+, K+, Ca2+, Cl- 등 전기를 띤 이온들이 세포막을 통해서 이동하고 전류를 만든다고 해요. 그러면 그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요. 자기장은 우리 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과도한 자기장 노출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해요.
GoHo
'극점에서는 어떤 시간이든 선택할 수 있습니다.' p28
사진 출처 : 나무위키
ifrain
다른 것보다 표지판 디자인이 넘 마음에 드네요 ^^ 하얀색 바탕에 파란색 글씨 :) ‘어떤 시간이든 선택할 수 있다니..’ 다른 세계로 가는 관문 앞에서 망설이고 있는 사람을 유혹하는 문구 같아요.
아린
저는 귀요미 펭귄들이 걸어가서 책 볼때마다 넘 귀여워!!!이러면서 읽고 일어요.왠지 뽀로로 처럼 뿅뿅 소리가 날꺼 같아요.
진달팽이
저는 43쪽 펭귄 그림이 너무 사랑스럽더라고요. 펭귄 종류가 그렇게 많은 줄 몰랐고, 그 펭귄들 무늬랑 머리털(?)이랑 발가락 색깔까지 그렇게 다양한 줄도 몰랐어요. (일단 펭귄이 철새였다는 사실에서부터 신선한 충격, 그 다음 꼭지에서 크릴이 새우가 아니었다는 사실에서 또 충격...)
이과 공대생이신데 삼체를 읽으면서 문과생 출신인 저랑 똑같은 생각을 하셨다니 위안이 되네요. 되도록이면 '문과'라는 핑계로 어떤 부분에서 숨어버리거나 하지 않으려고, 또 문/이과를 나누는 프레임 자체에도 갇히지 않으려고 나름대로 노력은 하는데... 이게 막상 어떤 순간(?)에 맞딱뜨리면 생각처럼 잘 되지 않는 것 같아요. 저도 모르게 '난 문과라서 이런 것까진 모르겠어, 더 이해하지 않을래'라고 핑계를 댈 때가 있더라고요. (사실 그래서 삼체 앞부분 읽다가 덮었다는... 김초엽 작가님 작품처럼 뭘 몰라도 편하게 읽을 수 있는 SF에만 끌린다는...)
아린
네 저도 펭귄 그림 한참을 봤어요.
예전에 펭귄 다큐 ㅡ한 시간 정도 였고..남자 연예인이 나레이션 했던..제목은 기억이 안나요ㅡ 도 딸이랑 정말 재미 있게 봤거든요..
저도 크릴이 새우인줄 알았어요..
극지방이라는 단어만으로도 일반인인 저에게는 신비의 세계 라는 느낌이 있어요..
그 북극이나 남극이나 딱 그 위치에 서있으면 낮일지 밤일지 날씨는 어떨지. 어떤 느낌일지..궁금해요..
@아린 저에겐 극지방이 신비의 세계라기 보다는 급변하는 불안정한 자연환경으로 느껴집니다 ㅎㅎ 너무 T적인가요?
ifrain
펭귄 그림 예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지금 지구상에 있는 펭귄이 18종이라는 건 절대로 잊지 못할 것 같아요. 저도 펭귄을 그리면서 털의 색상과 위치, 발가락의 모양과 색 등을 최대한 실제 펭귄과 비슷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했어요. 무엇보다 펭귄의 눈빛, 털이 뻗어나간 모양새, 땅을 딛고 선 두 발의 힘 등을 보면서 '펭귄의 생명력'에 감탄했답니다.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을 다 읽고 나면 그래도 극지에 대해서만큼은 좀 더 이해하게 되시겠죠?
진달팽이
알고 보니 일러스트에도 정성이 무척 많이 들어갔군요! 섬세하게, 생동감 넘치게 그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책 곳곳에 들어간 그림과 지도도 더 꼼꼼하게 들여다봐야겠어요. 오늘 1장 마지막 꼭지까지 다 읽었는데, 흑동고래의 이동 경로도 지도 덕분에 한눈에 이해가 되었어요.
고래나 펭귄이나 북극제비갈매기 들은 어쩜 그렇게 먼 길을 헤매지 않고 잘 찾아다니는지 참 신기해요. 저처럼 심각한 길치에 느림보는 고래나 펭귄이나 북극제비갈매기로 태어났다면 금세 동떨어져서 미아가 되었을 거예요. 다행히 사람으로 태어나서 지도도 보고 책도 읽고 극지 공부도 하네요~
ifrain
혹등고래의 이동경로에서 여름서식지가 ‘오렌지색 동그라미 -> 푸른색 동그라미, 겨울서식지가 푸른색 동그라미 -> 오렌지색 동그라미’ 로 수정되어야 해요. 저도 좀 전에 잘못된 점을 발견했어요. ^^; 꼼꼼히 살피지 못해 죄송해요. 2쇄에는 수정되어서 나갈 것입니다.
언젠가 새들이 무리지어 이동하는 모습을 보았는데.. 말로 표현하기 힘든 감동이 느꼈어요. 무리에서 이탈되는 새도 무리가 방향을 바꿀 때 신속하게 대열에 합류시켜주는(합류하면서 합류되는) 모습이 일사불란했었죠. 사람은 언어로 대화하지만 동물들도 분명 자신들의 방식으로 대화하겠죠..?
센스민트
삼체 손절인 여기 또 있어요ㅎ 참고로 전 문과라 이로써 문과에 대한 선입견을 굳히는 데 일조하네요; 김초엽 작가님 작품 추천해 주세요~
아린
개인적으로 전 이거요
지구 끝의 온실김초엽 첫 장편소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통해 이미 폭넓은 독자층을 형성하며 열렬한 사랑을 받고 있는 김초엽 작가는 더스트로 멸망한 이후의 세계를 첫 장편소설의 무대로 삼았다.
[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