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D-29
북극제비갈매기, 참 긴 이름입니다. 이름에 북극이 들어가고 남북극을 오간다니 좀 자세히 알 필요가 있겠네요. 이 새는 생김새는 제비지만 사는 방식은 갈매기 같아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제비처럼 육지에 사는 게 아니라 갈매기처럼 바다에서 삽니다. 명명할 때 대개 정체성을 표현하는 단어가 뒤에 옵니다. 결국 생김새보다 삶의 방식이 중요하다는 뜻이겠죠.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79쪽, 박숭현 지음
'생김새보다 삶의 방식이 중요하다'라는 구절에서 뜬금없이 위안을 받네요. 과학자님들이 새로 발견한 존재에 이름을 붙이는 데에도 이런 원칙이 있었다니 마음이 따뜻해져요.
'드라이밸리는 남극에서 얼음이 없는 가장 넓은 곳으로 4,800제곱킬로미터 면적에 얼어붙은 호수, 말라붙은 하천, 건조한 바위부스러기 토양과 영구동토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저히 지구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운 황량하고 험한 지형 때문에 나사는 이곳에서 화성탐사선인 '바이킹 마스'의 테스트를 하기도 했다. / 네이버 지식백과' [바이킹 . 마스] https://youtu.be/_Sr5gWG9qUo?feature=shared
@오늘하루도 진짜 공감해요~오늘하루도님의 글을 읽고 생각해보았습니다. 극점에 서 있다면 지구에 온전히 홀로 서 있는 제 자신을 마주 볼 수 있는 순간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어디로 발을 내 딛어도 어느 방향이든 나아갈 수 있는 나 자신. 쓸쓸하기도 할 것 같고, 단단해지기도 할 것 같고, 용기를 얻을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상상을 해보았습니다. 경험해보지 못했지만 극지에 서 있는 제 자신을 상상해 볼 수 있게해 주셔서 감사해요! 극지는 참 마보로시이~ 경이로운 상상을 하게 해주는 것 같아요.
홀로 서 있는 '나'와 홀로 서 있는 '너'가 만나면 더 이상 혼자가 아니네요. 거기 서 계세요. ^^ 저는 여기 서 있을께요. 제가 손 흔드는 거 보이시나요?
때로는 혼자만의 시간이 꼭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결국 사람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라는 걸 자주 깨닫게 돼요. “혼자가 아니라는 말”에 괜히 울컥해졌어요. 누군가 내 곁에 서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렇게 큰 위로가 될 수 있다는 걸 다시 느낍니다. ifrain님의 글, 정말 큰 위로가 되었어요. 고맙습니다^^
너무나 따뜻한 말씀들이에요. 함께 위로 받네요, 저도 고맙습니다!
위로가 되었다는 말에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 혼자만의 시간을 충분히 보낸 후 열어본 창문으로 들어오는 공기는 정말 상쾌하죠.
간단한 글귀에 위로 받으셨다고 하셔서 마음 속에 떠오르는 대로 그림으로 그려봤어요. :) 날씨가 더우니 파란색을 더 찾게 되네요.
오로라 이야기를 읽으면서 갑자기 궁금해진 것이 있습니다. 극지에서도 무지개가 보일까요? 무지개는 물방을이 프리즘 효과를 내면서 빛을 반사시키는 거잖아요. 극지에서도 볼 수 있을 지 궁금해졌습니다.
예상하신 대로 극지에서도 무지개가 보일 수 있겠죠? 직접 본적은 없지만요^^ 빙원 위에 물방울은 없겠지만 드물게 작은 얼음 결정이나 눈에 의해서도 햇빛이 굴절되어 무지개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하네요~
오늘 집에 있는 책을 우연히 넘기다가 푸라비다님이 말씀하신 내용과 관련된 사진을 보았어요. '책과함께어린이' 출판사의 "100가지 사진으로 보는 지구의 신비'라는 책입니다. 지질학자이자 보석학자인 Cally Oldershaw 가 지은 'An Anthology of Out Extraordinary Earth'라는 책을 번역한 것이고요. 사진 옆 보충 설명을 옮겨보자면 p.167 '무지개를 볼 때 태양은 항상 여러분 뒤에 있고 비는 앞에 있어요. 자신에 보이는 아름다운 무지개는 남극 근처에 있는 사우스조지아섬의 산 너머 남대서양에 떠오르는 모습이에요.'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를 가장 처음 알아낸 사람은 영국의 과학자 아이작 뉴턴이에요. 하늘에 뜬 무지개를 보며 왜 저기에 있을까 궁금해한 적이 있나요? 비구름이 떴는데 동시에 햇빛이 비치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태양에서 온 빛이 비구름이나 폭포, 바다의 물보라 등 물방울 사이에서 빛날 때 무지개가 생겨요. 햇빛은 여러 파장의 빛으로 이루어졌어요. 파장마다 색깔이 다른데, 한꺼번에 섞이면 햇빛이 하얗게 돼요. 햇빛이 빗방울 사이를 통과할 때 마치 유리를 통과하듯 구부러지고 무지개에서 볼 수 있는 일곱 빛깔로 분리됩니다. 색깔은 항상 호의 바깥에서 순서대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순서예요. --------- 무지개가 생성되는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해 놓았어요. 사진에 등장하는 무지개는 바다 위라 수증기가 있었을 테고 사진 찍으신 분이 멋지게 포착하셨네요. 남극에서 볼 수 있는 무지개라 더욱 특별하게 느껴지네요. ^^
와~~~~ 이게 포샵이 아니고 진짜 사진인거죠..? @,.@ 사진으로라도 이정도로 선명한 빛깔의 무지개는 처음 보는 것 같습니다..^^bb
책의 사진을 다시 사진으로 찍으니 무지개 부분이 더 또렷해 보이네요. DK(Dorling Kindersley) 출판 책은 이미지 퀄리티가 아주 좋아요. ^^
무지개가 빨주노초파보가 좀 더 정확?한데..7을 맞추기 위해서 남을 넣어 7로 만들었다고 하더라고요 7음계 일주일이 7일 이런거 처럼요.. 나라마다 무지개를 7개로 나누지 않는 나라도 많은 거 보면 보기 나름인 거 같아요
또 우연히 집에 있는 '물리.화학 사전/ 와쿠이 사다미/ 그린북'에서 관련 내용을 발견했네요. ^^ p.73 무지개를 '일곱 가지 색'으로 정한 사람은 뉴턴? 뉴턴은 역학 연구로 잘 알려져 있지만, 실은 광학 연구로도 무척 유명하다. 무지개를 '일곱 가지 색깔'로 규정한 사람도 뉴턴이다. 뉴턴은 빛은 무엇인가에 대해 늘 고민했다. 이를 연구하던 중 태양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분해되어 무지개가 나타난다는 것, 즉 빛에는 다양한 색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렇게 분해된 빛을 순서대로 일곱 빛깔(빨, 주, 노, 초, 파, 남, 보)로 구분지은 것이다. ----------------------------------- 무지개를 7가지 색으로 나눈 건 뉴턴이 그랬네요. '경계'에 대한 이야기인 것 같아요. 미묘한 색 변화를 일일이 말하자면 더 다양한 이름을 붙일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또 사람(민족?)마다 더 예민하게 구분할 수 있는 색이 있고요. 문화에 따라 색의 이름이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는 것을 보면 놀랍더라구요. 무지개의 7 색깔은 언어의 분절성을 보여주는 예시로 자주 등장한다고 해요. 우리가 어떤 사실을 규정하면 규정한 틀 안에서 사고하게 되는 면이 있죠.
마침 색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적절한 문구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아시는 분들도 많을 테죠. 천선란 작가의 '천 개의 파랑' 중 한 대목입니다. p.21 하늘은 매일, 매시간 색과 모양이 바뀌었다. 하늘은 파란색이었지만 가끔 보라색이나 분홍색, 노란색, 회색이 섞이기도 했다. 그렇게 섞인 색을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 몰라 콜리는 '파랑분홍'이나 '회색노랑'으로 단어를 합쳐서 불렀다. 세상에는 단어가 천 개의 천 배 정도 더 필요해 보였다. 동시에 걱정이 들었다. 혹시 세상에 이미 그 만큼의 단어가 있는데 자신이 모르는 건 아닐까. 그렇다면 그 단어들은 어디에서 알 수 있을까.
화산이 대륙에만 분포할까요? 남극대륙 주변 해저에는 거대한 활화산 산맥이 분포합니다. 중앙해령인데, 남극대륙을 둘러싸고 있죠. 차가울 거라고만 생각하는 남극에서 뜨거운 화산활동은 상상보다 훨씬 규모가 크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p.66, 박숭현 지음
세 번째 보물은 남극에서 이루어지는 국가 간 협력을 들고 싶습니다. 남극은 유일하게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않은 지역입니다. 인류 공동관리 구역이고 미래를 위해 남겨둔 장소죠. 남극은 영토와 영해를 초월한 국제 협력의 장입니다. 인류에게는 새로운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남극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국제 협력이 미래에 갖는 의미는 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p.90, 박숭현 지음
삼체 이야기가 나와서 떠올랐는데, 지구상의 극지나 바다뿐 아니라 달, 화성 같은 우주 공간에서도 국제적으로 민감한 소유권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들었어요. 남극에서 앞으로도 계속해서 평화로운 협력이 이루어져서 좋은 선례가 만들어진다면, 미래 우주에서도 인류를 비롯한 모든 존재가 평화롭게 지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상상을 문득 해 봤어요. 쓰고 보니 어째 너무 거창한 상상 같지만...ㅎㅎ;; 삼체 같은 무시무시한 문명을 맞딱뜨리지 않고 무사히 우주 평화를 이룰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상상을, 뉴스를 보다가, SF 소설을 보다가 가끔 하고는 해요. ^^;;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
8월 22일은 그믐밤입니다~ 함께 읽어요!
[그믐밤] 38.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4탄 <오셀로>[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밤] 36.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2탄 <맥베스> [그믐밤] 35.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1탄 <햄릿>
이디스 워튼의 책들, 지금 읽고 있습니다.
[그믐클래식 2025] 8월, 순수의 시대[휴머니스트 세계문학전집 읽기] 3. 석류의 씨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여기가 아닌 저 너머를 향해...
[함께 읽는 SF소설] 07.화성 연대기 - 레이 브래드버리[함께 읽는 SF소설] 06.앨저넌에게 꽃을 - 대니얼 키스[함께 읽는 SF소설] 05.생명창조자의 율법 - 제임스 P. 호건[함께 읽는 SF소설] 04.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 케이트 윌헬름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