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36/ 100가지 사진으로 보는 지구의 신비/ 캘리 올더쇼/ 책과함께어린이
파란 얼음
파란 얼음 속 작은 방울은 그 속에 갇힌 공기 때문에 하얗게 보여요.
무엇이든 꽁꽁 얼려 버리는 남극에 푸른 빛깔을 띤 빙하가 바다 위에 모습을 드러내요. 얼음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데에는 이유가 있답니다. 눈이 층층이 쌓일 때 아래에 꽉 눌린 얼음으로 변하며 공기 방울을 밖으로 쥐어짜 내요. 하얀 얼음이 꽉 눌릴수록 더 파랗게 보인답니다.
얼음이 빨간색이나 초록색이 아닌 파란색인 이유는 빛이 이동하는 방식 때문에 그래요. 우리 주변의 공기처럼 무지개 일곱 빛깔이 모두 섞이면, 모든 색깔을 반사하기 때문에 하얗게 보여요. 그러니 빛이 공기 방울을 머금고 있는 얼음을 통과하면 모든 색깔을 반사하니까 하얗게 보이겠지요. 하지만 두껍게 꽉 찬 얼음에는 공기가 없어요. 그래서 파란색만 뺀 나머지 무지개 색을 흡수하게 됩니다. 빙산이나 빙하의 크기가 클수록 더 파랗게 보여요.
------------------
얼음 속의 공기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됩니다. 얼음 속에 있는 공기의 양에 따라 색이 달라 보이기도 한다는 사실이 신기하네요. 남극 관련 사진을 보다가 유난히 푸른 얼음들이 있으면 왜 그런지 궁금했었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