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XezkFT-G3Uk?feature=shared
[후지산이 백두산과 근본적으로 다른 활화산인 이유 |🥤콜라보다 (김기범x박숭현 1부)]
반가운 마음에 공유해 봅니다 ^^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D-29
GooZee

ifrain
박숭현 과학자님이 출연하신 가장 최근 영상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ifrain
“ 돔후지기지는 어떤 목적으로 지어진 기지이며 어떤 특성이 있을까요? ... 돔후지는 빙하 시추라는 특정한 목표를 가진 사람들만 이용하는 한시적 기지라는 말입니다.... 시기는 1994년이니 90년대 중반 입니다. 일본은 이미 그 당시에 독자적인 빙하 시추 기술을 갖고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일본 극지연구소는 오랫동안 빙하 시추의 리딩 그룹입니다. 빙하 시추가 가능한 나라는 미국, 러시아, 일본 정도입니다. ”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p.128,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ifrain
돔 후지 기지는 고도가 굉장히 높군요.
해발 3,810m에 위치한, 남극에서 두번째로 높은 지점이라고 합니다.
높이가 일본 후지산과 가깝다고 명칭을 그렇게 지었네요.
돔 후지 기지
https://ko.wikipedia.org/wiki/%EB%8F%94_%ED%9B%84%EC%A7%80_%EA%B8%B0%EC%A7%80
일본 최초의 남극 기지 - 쇼와 기지
https://namu.wiki/w/%EC%87%BC%EC%99%80%20%EA%B8%B0%EC%A7%80
일본 극지연구소
https://www.nipr.ac.jp/

ifrain
빙하를 연구하는 신진화 극지연구소 연구원과 관련된 기사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현장에서 육체적인 노동도 필요하고 연구를 지속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녹록지 않네요.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6874.html
https://www.mk.co.kr/news/economy/11104703
GoHo
국내 유일 여성 빙하학자..
그런데 여성 연구자로서 받는 기회의 차별..
게다가 비정규직으로 계약 갱신의 불안정함 속에서 연구를 해야 하는 신분..
안타까운 환경에서도 끝까지 연구자로서 남고 싶어 하시는 열정을 응원하며..
안정적인 신분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되길 바래봅니다..

ifrain
'지리의 힘' 10장 '북극, 21세기 경제 및 외교의 각축장이 되다' 부분에 참고할 부분이 있어서 옮깁니다. 2016년에 출간된 책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보시면 될 듯 해요.
우리나라도 최근 국가 미래 전략으로 북극항로 구축에 힘을 쏟으며 관련 기관과 협력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지리의 힘/ 팀 마샬 지음/김미선 옮김/사이
p.349
빙원의 녹다 보니 캐나다 다도해의 북서항로를 통한 운항이 여름 몇 주간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갈 때 걸리는 시간도 적어도 일주일은 단축할 수 있게 됐다. 2014년에는 쇄빙선의 호위를 받지 않은 화물선이 처음으로 단독 운항에 성공했다. 누나빅 호는 2만 3천 톤의 니켈을 싣고 캐나다에서 중국으로 갔다. 북극 루트는 40퍼센트나 단축되었으며 파나마 운하보다 더 깊은 수심을 이용할 수 있었다. 덕분에 화물선은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수만 달러의 연료비를 절약하고 1천3백 미터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2040년경에 이르면 이 뱃길이 연간 2개월은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렇게 되면 북극을 통한 무역 연결고리 자체가 바뀌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를 통해 적잖은 수입을 올리는 이집트나 파나마 같은 머나먼 나라들에도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줄 것이다.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5/07/31/KX6D64AB2FFKRKVNLHFHMWHXQQ/?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GooZee
북극항로가 우리나라에 어떤 경제적 기회가 될까만 생각해봤는데, 기후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군요. 감사합니다!

ifrain
더 정확히 말하자면 북극항로 개척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고민해봐야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
북극의 빙하와 해빙 감소, 해류 변화 현상 등이 전 지구적 기상이변과 해수면 상승을 불러일으켰고 .. 북극은 기후변화를 가장 먼저 극적으로 보여주는 지역이 되고 -> 북극 항로 개척에 속도를 더하게 되었으니까요.
nanasand
남극은 지구를 좀 더 알수 있을 때까지 개발을 하지 말자고 합의를 하고 이 기간이 끝난 후에도 개발을 할 확률은 낮다고 하지만 그 누가 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불안이 책을 읽으면서 들기도 했어요. 그런 일은 정말 없어야 겠죠

Jenna
남극조약은 1959년 12월 1일 체결한 국제 협약으로, 남극 대륙과 주변 해역의 평화적 이용과 과학 연구를 보장하며 군사 활동과 영유권 주장을 동결하면서 만들어지는데, 1945년 제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유엔이 만들어질 때 감동과 비슷하게 느껴졌어요. 여전히 전쟁이 끊이지 않는 세상에 살고 있으니 남극조약 정신은 부디 잘 지켜지길 바라게 되네요.

아이스라테
저도 남극은 현재의 합의가 계속 연장이 되어서 앞으로도 개발을 하지 않는채로 남아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뭐랄까... 지구열대화 시대의 마지막 희망같다고 할까요.

ifrain
최근에 보게 된 '눈부신 심연'이란 책에서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언급이 있어서 옮겨봅니다.
pp.332~333
그렇다면 어떻게 심해를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을까? 이런 야심에 가장 가까운 선례가 남극 조약이다. 남극 조약은 평화와 과학을 위해 남극 대륙의 동토를 자연 보호 지역으로 선언한 국제 협약이다. 심해처럼 남극에도 토착 인구는 없으며 많은 나라가 원유와 가스, 광물을 포함해 이곳에 매장된 자원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냉전 충돌 중에도 최초 12개국은 영토 주장을 포기하고 모든 군사 활동과 채굴을 금지한다는 조약에 합의할 수 있었다. 적어도 지금은. 그때 이후로 수십 개국이 더 가입하면서 협약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많은 국가가 언젠가 손에 들어올 자원에 눈을 돌리고 있다. 2048년에 협약이 재검토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때가 되면 반反채굴 정책이 끝을 맺을지도 모른다. 남극을 둘러싼 바다에서 어업이 허락되면 펭귄을 굶어 죽게 만들 크릴잡이까지 허용될 것이다. 하지만 아직 남극 대륙은 가장 덜 개발된 바다로 둘러싸인 청정한 대륙으로 남아 있으며 심해와 마찬가지로 독특하고 민감하며 지구 기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남극 보호에서 손을 떼는 것은 곧 지구의 미래에 대한 암울한 선언이 될 것이다.
--------------------
이 책의 저자는 헬렌 스케일스Helen Scales라는 영국의 해양 생물학자입니다. 해양 보존 자선 단체인 'Sea Changers'의 과학 고문으로도 활동하고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해양 생물에 대해 접근하는 태도나 심해를 보호하고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에 상당 부분 수긍할 수 있었습니다.

눈부신 심연 - 깊은 바다에 숨겨진 생물들, 지구, 인간에 관하여인류세의 가장 큰 피해자이자 모두의 생존에 직결된 바다(심해)를 제대로 알고 더 이상 망가트리지 않는 방안을 연구할 때라고 말한다. 그는 어떻게 지금의 상황에 이르렀는지, 인간의 관점 변화를 추적·조사하며 여러 국가와 산업이 어떻게 환경 재앙을 몰고 왔는지를 생생하게 밝힌다.
책장 바로가기
독서중
사회과학 전공자들도 극지연구소에서 일할 기회가 많다고 되어 있는데, 보통 어떤 일을 할까요?! 남북극 관련 다양한 정책 이슈 중에 개발과 관련된 이슈는 충분히 알겠는데, 다른 정책 이슈는 잘 떠오르지가 않네요...

polus
@독서중 극지는 과학적으로 중요하기도 하지만 외교 무대이기도 합니다. 남극은 다자 관리 시스템이기에 관련된 협의체도 많고 이 협의체에선 과학은 물론 정책이나 상호 협력도 논의가 되죠. 국제 조약인 남극 조약에 대한 연구도 필요합니다. 북극권에는 많은 원주민들이 살고 있고 북극권에서 일하기 위해선 원주민들과의 협력도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북극권 원주민 문화에 대한 이해도 있어야 겠죠? 몇가지 예를 들었지만 남극과 북극은 과학적으로는 물론 사회문화적으로도 중요합니다. ^^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관련연구자들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토베루
“ 해저산은 여러 가지 특징을 공유하기에 해저산 계열 전체를 묶어 이름 붙이고 연구합니다. 재미있는 예를 하나 들자면, 하와이 북쪽에 ‘음악가’라는 이름을 가진 해저산 계열이 있습니다. 음악가 해저산 계열에는 수십 개 해저산이 속하는데 그 해저산 하나하나에 유명 작곡가 이름이 붙어 있죠. 멘델스존, 거슈윈, 베토벤, 모차르트, 말러, 슈베르트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처음으로 음악가 해저산을 명명한 사람은 미국 해양지질학자 윌리엄 메너드였습니다. 그는 전후 해양지질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한 학자인데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음악가 이름을 해저산에 붙이지 않았을까요? 음악가 해저산 외에도 수학자 해저산 계열도 있습니다. 굉장히 낭만적이죠? ”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진달팽이
“ 심해 생물은 빈약한 먹이, 햇빛이 전혀 없는 칠흑 같은 어둠, 차가운 해수, 높은 압력이라는 최악 조건에서 살아야 하기에 우리가 흔히 접하는 생물과 크게 다릅니다. 제가 심해 생물 전문가도 아니고 심해 생물 연구도 많지 않기에 자세히 설명 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심해 생물은 적게 먹고도 살아갈 수 있도록 신진대사율은 낮고 남은 에너지는 지방으로 잘 축적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202-203쪽,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진달팽이
“ “그러니까 몸의 길이가 수백 미터나 되고 그에 걸맞은 몸통 둘레를 가진 척추동물이 그렇게 깊은 심해에 살고 있다면, 체표면적은 수백만 평방센티미터나 될 테고, 그 몸을 짓누르는 수압은 수십억 킬로그램이나 될 걸세. 그런 수압을 견디려면 골격이 얼마나 튼튼하고 몸의 저항력이 얼마나 강할지 상상해보게.”
“그런 수압을 견디려면 몸이 장갑 군함처럼 20센티미터 두께의 철판으로 되어 있어야 할 겁니다.” ”
『해저 2만리 1』 4장. 네드 랜드, 아로낙스 박사와 네드 랜드의 대화 장면 중에서., 쥘 베른 지음, 김석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진달팽이
‘해저 2만리‘와 함깨 읽으니 비교도 되고 재밌네요. 쥘 베른 작가님은 심해 생물이 수압을 견뎌야 하니 골격이 엄청 튼튼하리라고 생각하셨나 봐요. 문외한인 저로서는 작중 아로낙스 박사의 설명도 나름대로 일리 있게 들려요. 그런데 다시 우리 책에 실린 사진을 보면 참 작고 연약해 보이고요.

진달팽이
음악가 해저산 계열 이야기가 너무 마음에 들어요! ❤️ 실제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왠지 막 멘델스존이나 슈베르트, 모차르트 해저산은 경사가 완만하거나 마그마가 부드럽게(?) 흘러나올 것만 같고, 베토벤이나 거슈윈 해저산은 경사 기복이 심하거나 마그마가 열정적으로 또는 정신없이 또는 즉흥적으로(?) 터져나올 것만 같아요. ㅋㅋ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