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43쪽 펭귄 그림이 너무 사랑스럽더라고요. 펭귄 종류가 그렇게 많은 줄 몰랐고, 그 펭귄들 무늬랑 머리털(?)이랑 발가락 색깔까지 그렇게 다양한 줄도 몰랐어요. (일단 펭귄이 철새였다는 사실에서부터 신선한 충격, 그 다음 꼭지에서 크릴이 새우가 아니었다는 사실에서 또 충격...)
이과 공대생이신데 삼체를 읽으면서 문과생 출신인 저랑 똑같은 생각을 하셨다니 위안이 되네요. 되도록이면 '문과'라는 핑계로 어떤 부분에서 숨어버리거나 하지 않으려고, 또 문/이과를 나누는 프레임 자체에도 갇히지 않으려고 나름대로 노력은 하는데... 이게 막상 어떤 순간(?)에 맞딱뜨리면 생각처럼 잘 되지 않는 것 같아요. 저도 모르게 '난 문과라서 이런 것까진 모르겠어, 더 이해하지 않을래'라고 핑계를 댈 때가 있더라고요. (사실 그래서 삼체 앞부분 읽다가 덮었다는... 김초엽 작가님 작품처럼 뭘 몰라도 편하게 읽을 수 있는 SF에만 끌린다는...)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D-29
진달팽이

아린
네 저도 펭귄 그림 한참을 봤어요.
예전에 펭귄 다큐 ㅡ한 시간 정도 였고..남자 연예인이 나레이션 했던..제목은 기억이 안나요ㅡ 도 딸이랑 정말 재미 있게 봤거든요..
저도 크릴이 새우인줄 알았어요..
극지방이라는 단어만으로도 일반인인 저에게는 신비의 세계 라는 느낌이 있어요..
그 북극이나 남극이나 딱 그 위치에 서있으면 낮일지 밤일지 날씨는 어떨지. 어떤 느낌일지..궁금해요..
GoHo
남자 연예인이 나레이션이라.. 이거 아니었을까요..
오래전 저도 열심히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남극의 눈물 : 펭귄의 삶],
https://youtu.be/WS-7eFpzNhQ?feature=shared
[남극의 눈물]
https://naver.me/GC2rKkGT

polus
@아린 저에겐 극지방이 신비의 세계라기 보다는 급변하는 불안정한 자연환경으로 느껴집니다 ㅎㅎ 너무 T적인가요?

ifrain
펭귄 그림 예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지금 지구상에 있는 펭귄이 18종이라는 건 절대로 잊지 못할 것 같아요. 저도 펭귄을 그리면서 털의 색상과 위치, 발가락의 모양과 색 등을 최대한 실제 펭귄과 비슷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했어요. 무엇보다 펭귄의 눈빛, 털이 뻗어나간 모양새, 땅을 딛고 선 두 발의 힘 등을 보면서 '펭귄의 생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