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급하게 진도 따라잡기하고 있는 일인입니다; 다들 과학에 조예가 깊으신 것 같아서 눈팅만 하고 있었어요ㅜ 평소에 과학 서적을 읽을 기회가 진짜 없어서 신청했는데 너무나 생소한 분야라 책을 읽으면서 제 무식함에 더 놀라고 있어요ㅎ 다들 보셨다는 <남극의 셰프>도 봐야 할 것 같고 <해저 2만리>와 <남극이 부른다>도 읽어야 할 것 같고.. 과학 문외한이라 갈길이 멀지만 댓글만 읽어도 공부가 되네요!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D-29

센스민트

ifrain
몰랐던 것들을 하나씩 알아가는 것만큼 즐거운 것도 없죠. ^^ 이번 독서 모임을 통해서 형성된(찾아낸?) 과학지식 구슬과 연결짓는 독서를 앞으로도 이어나가다 보면 머지않아 과학과 친숙해져 있을지도 몰라요. 독서모임 신청 감사합니다. :)

ifrain
푸른빛을 녹색과 혼동해 나무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지구의 푸른빛은 바다 때문입니다.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p.216,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ifrain
빛은 파장이 길고 짧음에 따라서 물에 흡수와 반사, 분산되는 정도가 달라지고 .. 그래서 보여지는 색이 달라집니다. 파장이 짦은 푸른색은
금방 반사되고 물분자에 부딪혀서 가장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우리 눈에 바다는 파랗게 보인다고 합니다. ^^
https://youtu.be/0H65IRY9o4Q?si=hN3Q2MvTPoB1zoAp

ifrain
“ 지구 전체 열대우림의 절반을 차지하는 아마존 지역을 지구의 허파라고 합니다. 제 생각에 지구의 진짜 허파는 바로 바다입니다.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만들어지는 산소량은 전체의 20% 정도이고, 바다를 떠다니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생산하는 산소량은 70%에 달하거든요. 바다는 대기와 가장 넓게 접하고 다양한 기체를 녹이거나 다시 방출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바다는 대기 중 기체 농도 조절에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p.217,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polus

GoHo
지금은 한겨울에도 쌓여 있는 눈을 보기가 쉽지 않아서..
가끔은 발이 푹푹 빠지도록 쌓인 눈 풍경이 아련하게 그리울 때가 있습니다..
사진을 보니.. 그랬던 날들이 생각나네요..
아이들 등교를 위해 온 마을 어른들이 빨그레한 얼굴로 수북 수북 쌓인 눈을 치워주던 날들이요.. 시골 살아서..^^
더운데.. 한 줌 만져보고 싶네요..ㅎ

ifrain
아름다운 추억이네요. 아련하게 떠오르는 지난 시간들 ^^

ifrain
이 세상에서 보기 드물지만 분명히 지구상에 존재하는 풍경이네요. 연하게 푸르른 색감도 신비롭고.. 얼마나 오랜 세월이 축적되어 있을지.. 오래 전 생성된 암석도 그렇지만 오래된 것들은 묘한 미감을 자아내는 것 같습니다. :)

polus
사진 올리는 기능 오늘에야 알았네요 ㅎㅎ 시원(?)한 남극 사진 하나 올려봅니다^^
GoHo
'중앙해령은 해저에 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오대양 모두에 분포하고 길이가 65,000km 정도됩니다. 감이 잘 안 올 것 같은데 지구 둘레가 40,000km 라고 하면 좀 감이 오나요? p171'
'중앙 해령(길이 15,000km)의 정상부에는 깊이가 약 1000m에 이르는 V 자의 열곡이 있다. 여기서는 지하의 마그마가 올라와 새로운 암석층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심해저 평야의 나이는 해령에서 멀수록 많고, 가까울수록 생겨난 지 얼마 되지 않는다. / 위키백과'
세계 10대 산맥을 합해봤는데.. 짧습니다..ㅎ
https://naver.me/57QXog7q
GoHo
지구 나이는 46억 년입니다. 지구가 현재 모습으로 계속 있어 왔다면 바다는 몇 번이고 메워졌겠죠.
하지만 바다는 아직도 평균 3,000m 수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p172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어쩌면 지구는 평균화시킬 임계점까지 참을인(忍)자를 파도에 새기며 인내하고 있는 중인지도 모르겠습니다..

ifrain
너무 멋있는 표현입니다. ㅠㅠ 파도에 참을 인(忍) 자를 새기다니.. 저도 사실 물결을 보며 그 안에서 글자를 찾으려고 한 적이 있죠. ^^
넓고 깊은 바다를 보면서 참을 인 자를 떠올리는 건 어쩌면 자연스러운 것 같아요. 사람의 인품을 그릇의 크기에 비유해서 논하는 것처럼요.
GoHo
'적어도 2억 년 주기로 해양지각이 리노베이션되는 것이죠.'
해양지각이 해령에서 생성되어 해구에서 소멸이라는데..
해령과 해구의 거리가 대체로 비슷한가요?
2억 년의 주기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 것인지...^^;;?

polus
@GoHo 해령과 해구의 거리는 비슷하지 않습니다. 북서쪽으로 섭입하는 태평양판의 중앙해령은 매우 멀지만 동쪽으로 섭입하는 후안데 푸카, 코코스, 나즈카판의 중앙해령은 해구와 매우 가깝죠. 2억년이라는 시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해양지각의 나이에서 추론한 것입니다. 쥬라기 해양지각이 서태평양에 일부 남아 있는 것이죠. 더 오래된 해양지각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암튼 그래서 2억년이란 말을 쓴건데.... 2억년 주기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좋은 질문이지만 매우 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ㅎㅎ 지구에 대해선 모르는 것이 태반이죠. 잘 모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문제에 대해 과학적으로 수긍할 만한 답을 한다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러나 제가 보기엔 아직 멀었습니다. ^^ 지구 내부를 움직이는 메커니즘과 관련있을 텐데 아직 모르는게 너무 많습니다.^^

ifrain
정말 심도 있는 질문이네요. ^^ 2억 년은 지구 역사에 비하면 아주 짧다는 .. 그래서 해양지각은 아주 젊다는 그런 느낌 정도에요. 인간의 피부가 계속해서 새로 생성되듯이요. 피부의 재생 주기는 28-30일 정도라고 합니다. ㅎ 아시다시피 나이가 들수록 재생주기가 길어지고요.

아린
“ 음악가 해저산 계열에는 수십 개 해저산이 속하는데 그 해저산 하나하나에 유명 작곡가 이름이 붙어 있죠. 멘델스존, 거슈읜, 베토벤, 모차르트, 말러, 슈베르트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pp. 179-180,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 지구의 진짜 허파는 바로 바다입니다.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만들어지는 산소량은 전체의 20% 정도이고, 바다를 떠다니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생산하는 산소량은 70%에 달하거든요. p217 ”
『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박숭현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탐사나 항로 개척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까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