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한 일상이 우리를 구한다
우리의 모든 날 평범함 속에 담긴 그분의 은총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보여 주는 책
사막 같은 일상에서 희망을 잃지 말아야 할 이유
D-29
땅콩부인모임지기의 말
땅콩부인
프롤로그 은총, 일상을 파고들다
1장 행동 하나가 많은 것을 보여 줍니다
2장 대안적인 삶을 시작하다
3장 단순한 삶이 축복입니다
4장 김훈과 육필원고
5장 경계선에 서서
6장 천국은 '가는' 것만은 아닙니다
7장 하나님의 일등석
에필로그 반음 정도의 희망만이라도
땅콩부인
p5. 우리는 압니다. 인간은 자신에게 주어진 생명을 충분히 음미하고 현재 상태 그대로 꽃 피우는 능력을 상실했다는 것 말입니다. 따라서 풍성한 생명력을 잃어버린 이 사회 속에서, 세상을 회복하고 구속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일상이라 부르는 삶의 평범한 자리에 깊숙이 새겨져 있는 하나님의 은총을 찾아내 그 일상과 일상 너머가 하나로 통합되게 하는 일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땅콩부인
p.31 하나님이란 성스러운 호칭을 불러내지 않더라도 그(하덕규)는 이 세상의 진정한 평화는 모든 것이 그분이 만들어 놓은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자연스럽게 읊는다. 그는 영원한 고향을 그리워하며 길을 떠난 순례자이다. 나의 좋은 길동무며 길벗이다. 좋은 친구는 영혼을 맑게 해 준다.
"내가 돌아갈 영원한 고향, 하나님이 계신 그곳, 하나님 나라의 완성! 그립지만... 지금 여기서 나와 함께 계신 하나님을 기억해야 한다. 나만이 땅에 버려진 것이 아니니까 함께 하시니까 그러니까 자꾸 뭔가 아득해도 실체가 잘 안 보여도 괜찮다. 나 를 붙들고 인도하시는 하나님이 함께 계시니까..."
땅콩부인
연을 날리려면 먼저는 기다림에 익숙해야 합니다
바람 말입니다
바람 없이는 연을 날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연을 날리려면 힘껏 뛰는 수밖에 없습니다
처음에는 연을 날리기 위해 앞으로 빨리 달리지 않습니까?
그러면 연은 이륙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숨이 차서 멈추어 서면 연은 금방 떨어집니다
빨리 달린다고 해서 연이 나는 것은 아니니까요
궁극적으로 연은 바람이 있어야 납니다
바람이 불 때 비로소 연은 바람을 타고 창공으로 치솟습니다 p.54
땅콩부인
우리 앞에는 두 갈래 길이 있습니다
자기 삶을 스스로 풍성하게 만들려고 애쓰면서 세월을 보내든지
아니면 풍성한 삶을 선물로 받든지 둘 중 하나입니다
목표를 이루려고 애쓴다면 불평과 불만이 우리를 따라다닐 것입니다
우리는 아무리 얻어도 만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생 목표를 받아 누리는 것으로 한다면 감사라는 친구가 우리를 따라다닐 것입니다 p.52
채팅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