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은 중국에서 소수민족으로 커서 그런지 자기 주체성이나 주인의식이 부족한 것 같다. 이런 건 상처 때문에 안 가르쳐 준다.
광마잡담
D-29
Bookmania
Bookmania
평소에 종교와 사이가 안 좋으면 그냥 수사에 필요해서 하는 것인데도 종교 탄압이라고 하는 것이다.
Bookmania
전엔 갈치가 고등어처럼 흔한 생선이었는데 지금은 안 그렇다.
Bookmania
마광수는 예쁘면 모든 여자를 다 용서한다.
Bookmania
예쁘고 섹시한 여자들이 많이 마광수 집을 찾아온다.
Bookmania
남자들은 곧잘 나이를 먹으면 뭔가 재미 있는 게 없어, 하고 말한다. 그러나 여자들은 안 그런다. 자신의 불행을 남에게 밝히고 싶지 않은 것이다. 확실히 여자들이 남에게 자기의 안 좋은 면을 밝히기를 더 꺼려하는 것 같다.
Bookmania
마광수 말대로 다 읽어보지도 않는다. 겉으로 딱 봐서 고생해 보이면 통과인 것이다.
Bookmania
예술가들은 대가 센 여자와 잘살지 못한다. 이혼하거나 돌거하고 산다.
Bookmania
자기 맘에 들고 자기 이상형에 가까운 여배우가 나와야 그 영화도 그 드라마도 본다.
Bookmania
나는 김치 등 누가 보내준 반찬이 냉장고에 쌓이는 게 싫다. 그래 가능하면 아예 냉장고가 텅텅 빈 게 좋다.
Bookmania
관심 있어야 소중히 여긴다
뭐든 자신이 관심을 갖고 그것에 대해 깊이 연구하면
그것을 아끼게 되어 있다.
한 화가에게 그림에 대해 혹평하면 그걸 자신이 진정으로
아끼기 때문에 “그림에 대해 좆도 모르는 새끼가
내 작품에 대해 뭐를 안다고 함부로 주둥이를 놀려!”
이렇게 심하게 욕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렇게 말한 사람에게
칼이라도 들고 당장 죽일 것처럼 덤벼들 것이다.
모름지기 예술가란 인간들은 입보다는 행동이
앞서는 법이니까.
아끼면 아낄수록 그 반응도 더 센 법이다.
뭔가 뜻을 갖고 운동을 열심히 하는 사람에게
별로 운동도 안 하며 피둥피둥 살찐 사람이
“야, 운동에 미쳐 뭐 하는 거냐? 운동도 자기 건강을 위해
하는 거지, 그렇게까지 몸을 축내가며 할 일이냐?”
틀린 말은 아니더라도, 그 둘은 그 후부터
다시는 안 보는 사이로 전락할 것이 거의 확실하다.
누구나가 다 자신이 아끼고 관심 가지는 것에 의미를 주고
그것에 대해 무한한 애정을 품는 법이다.
그것에 대해 공부도 많이 해 알기도 많이 알 것이다.
인생에 대해서도 그렇다.
평생 사람과 인생, 세상에 대한 글을 쓰는 작가는
그가 비록 결론으로 허무주의자가 되고 염세주의자가
되었어도-인생에 대해 대단히 시니컬해도-전혀
삶에 대해 깊이 연구하지 않고 생각하지 않은
사람보단 아낄 것이다.
작가가 결국 허무주의자라도 전혀 인생에 대해
생각하지 않은 사람보단 더 인생을 잘
살려고 애쓸 것이다.
왜냐면 뭐든 인간은 자신의 관심에 비례해
그걸 아끼기 때문이니까.
Bookmania
현실에서 받는 고통을 잊기 위해 종교를 만들어 위안을 얻기 위한 것이 예전부터의 사람들의 생각이다.
Bookmania
현실과 지금의 지구가 너무 힘드니까 미래와 극락을 만들어서 그 후엔 그곳에서 편히 쉬려는 사람들의 마음이 종교를 만든 것이다. 다 마음의 작용이다.
Bookmania
마광수는 필화사건으로 감옥에 가고 사람들이 배신해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이혼도 하고 그래 그런 힘든 것이 글의 바탕이 되어 많은 글을 쏟아냈다. 힘듦이 이런 글을 쏟아내는 원천이 된 것이다.
Bookmania
마광수는 여자를 향한 마음이 지칠 줄을 모른다.
Bookmania
전의 아파트 단지가 더 낫다. 아파트들이 멀찍이 떨어져 있고 주변에 공터와 공원이 많아 더 여유롭다. 지금은 너무 콘크리트만 있어 숨이 막힐 지경이다.
Bookmania
나는 마광수의 글을 존중해 여기선이 아니고 여기서는 이라면 그걸 그대로 옮겨 적는다.
Bookmania
마광수
그가 50권 이상의 책을 내고 죽었지만
나는 그의 책을 거의 다 읽었다.
아마도 나와 비슷한 소음인의 체질을 타고나 그와
통하는 게 있어 그럴 것이다.
지금도 그의 책을 읽고 있고 앞으로 더 읽을 것 같다.
요즘엔 통 내 마음을 끄는 책이 없는 것도 그 한 이유다.
그는 시와 수필과 소설, 문화비평서, 문학 이론,
손수 그린 그림 등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26세에 홍익대에서 교수가 되어 30대부터
쭉 연대 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1992년「즐거운 사라」라는 소설로
필화(筆禍) 사건을 겪으며 감옥살이까지 하는 고초를 겪었다.
그는 너무 앞서갔고 주변 관변 단체와 법으로
먹는 사는 인간들이 자기의 편협한 생각에 예술을
감히 끼워 맞춰 그렇게 된 것이다.
나는 그가 1951년에 태어난 2017년에 죽어
66세밖에 못 산 게 너무나 아깝다.
더 살아 자기 생각을 마구 글에 옮겼으면 한다.
주변을 의식하지 않는, 거리낌 없는 그의 생각을 더 듣고 싶다.
거의 모든 인간이 속의 생각을 그대로
글로 옮기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주변을 의식해 그렇고 교수라는 체면 때문에.
그는 어디에 소속되지 않고 오직 혼자 독고다이로
움직여 학계나 문단에서 왕따를 당했지만, 그는 조직에
굴복하지 않고 변절 없이 그대로 솔직성을
유지한 채 죽었다.
나는 그가 시퍼런 달빛 아래서 광활한 초원의 늑대가 되어
고독 속에서 홀로 사냥하는 모습을 좋아한다.
그런 모습을 하고 글을 쓰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가 주장하는 건 실용과 합리, 낭만, 권위가 아닌 유연성,
생산보단 재분배, 자유로운 상상력에 대한 사랑,
표현의 자유, 정신보다는 육체, 솔직성 이런 것을 좋아했다.
사회에서 욕 안 먹으려고 솔직하지 못하고
적당히 양다리 걸치는 글을 경멸했다.
에로티시즘(Eroticism) 글이면 그것으로 끝내라는 거다.
거기에 시대 정신, 이데올로기 같은 걸 넣지 말라는 거다.
그가 특별히 숭상하는 것은 아름다움, 유미(唯美)와 탐미다.
그리고 인간은 자기 정신, 신념 같은 걸 지키려고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몰살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성에 대해서도 삽입 성교보다 성희(性戲)와 애무에
중점을 두는 사랑을 외쳤다.
그는 사람에겐 성욕, 식욕, 파괴욕이 있는데 실컷
성욕을 자유롭게 충족하면 자연히 식욕, 파괴욕이
사라져 인간들 간의 전쟁도 사라진다는 것이다.
나는 그의 이런 생각들을 지지하고 존중한다.
Bookmania
시즌 2 나오듯이 일본 AV도 인기를 끌면 배우를 바꿔가며 계속 그 상황이 나온다.
Bookmania
일본인은 태국에서 많이 사는 것 같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